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3학년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설명 담화의 구조 분석 =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Explanatory Discourse in the Third Grade Social Studies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282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 the structure of explanatory discourse in social studies textbooks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present basic data for structure-oriented discourse instruction. Methods: The frequency according to type w...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 the structure of explanatory discourse in social studies textbooks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present basic data for structure-oriented discourse instruction.
      Methods: The frequency according to type was analyzed by dividing texts into a single structure and a complex structure. Then, the existence of a structural aspect according to the sub-topics was confirmed.
      Results: First, in the single structural text, collection accounted for 50% and causality 39.3%; comparative comparison and problem solving rarely appeared. Second, the complex structure showed 61% of collection+causality, 23% of causal+comparison/contrast, 9.5% of collection+comparison/contrast, 4.7% of comparison/contrast+problem solving, and the rest did not appear. Third, the frequency of appearance by sub-topic was 21.8% in geography, 58.6% in history, and 19.5% in general society. In terms of form diversity, history had a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but the forms were not diverse; collection and causal structures were shown mainly. However, the general society showed the most diverse forms despite the frequency being low.
      Conclusions: Both the frequency and form of explanatory statement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second semester. In addition, in both the single structure and the complex structure, the form containing the causal and the collection was the most frequent, while problem-solving was the rarest. The structure that frequently appeared differed depending on the sub-topic. Therefore, the explanatory discourse guidance reflecting these results may help children understand the explanatory discour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초등 3학년 사회 교과서의 설명 담화 구조를 알아봄으로써, 구조 중심 담화 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담화 유형에 따른 빈도를 단일 구조와 복합 구조로 나누...

      목적: 초등 3학년 사회 교과서의 설명 담화 구조를 알아봄으로써, 구조 중심 담화 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담화 유형에 따른 빈도를 단일 구조와 복합 구조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하위 주제에 따라 나타나는 구조적 양상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단일 구조 텍스트는 빈도 측면에서 수집 구조가 50%, 인과 구조가 39.3%를 차지하였고, 비교 대조 구조와 문제 해결 구조는 드물게 출현하였다. 둘째, 복합 구조에서는 수집+인과가 합쳐진 구조가 61%, 인과+비교/대조가 합쳐진 구조가 23%, 수집+비교/대조가 합쳐진 구조가 9.5%, 비교/대조+문제 해결이 합쳐진 구조가 4.7%를 차지하였으며 나머지는 출현하지 않았다. 셋째, 하위 주제별 설명 담화 출현 빈도는 지리 영역이 21.8%, 역사 영역은 58.6%, 일반 사회 영역은 19.5%로 일정하지 않게 나타났다. 형태의 다양성 측면에서 역사 영역은 설명 담화의 출현 빈도는 높았으나 출현 형태가 다양하지 않고 주로 수집과 인과 구조가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 사회 영역은 출현 빈도는 낮은 데 반해 형태는 세 하위 영역 중 가장 다양하게 나타났다.
      결론: 설명 담화의 빈도와 형태 모두 2학기에 확연히 증가하였다. 또한 단일 구조와 복합 구조 모두에서 인과 구조와 수집 구조가 포함된 형태가 가장 빈번했으며 문제 해결 구조가 가장 드물게 출현하였다. 그리고 하위 주제에 따라 자주 출현하는 구조가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반영한 설명 담화 지도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설명 담화의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주영 ; 손승현,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학생들의 사회과 지식 향상을 위한 중재의 특징"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111-140, 2012

      2 박민해 ; 정경희, "텍스트구조와 질문유형에 따른 학령기 아동의 설명글 읽기이해 특성"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3 (23): 83-93, 2018

      3 박진용, "텍스트구조 관련 읽기교육 내용 고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1) : 67-100, 2013

      4 김미정 ; 이성은, "텍스트 구조 학습이 아동의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설명문을 중심으로 -" 교육과학연구소 34 (34): 131-148, 2003

      5 이미림 ; 이희란, "설명담화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 언어학습장애아동의 말하기 특성"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9 (19): 456-466, 2014

      6 윤신원, "설명 텍스트의 연령대별 담화 구조 분석- 초등학교 1, 6학년 읽기 교과서 대비 고찰"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3 : 435-468, 2012

      7 김보림 ; 윤효진, "비교/대조와 원인/결과를 중심으로 본 초등 2, 4, 6학년 일반아동의 설명담화 요약하기 능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3 (23): 890-901, 2018

      8 이경화, "기초 문해력과 읽기 부진 지도" 청람어문교육학회 (71) : 223-245, 2019

      9 Foorman, B. R., "The role of instruction in learning to read:Preventing reading failure in at-risk children" 90 (90): 37-55, 1998

      10 Meyer, B. J., "The interaction of reader strategies and the organization of text" 2 (2): 155-192, 1982

      1 이주영 ; 손승현,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학생들의 사회과 지식 향상을 위한 중재의 특징"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111-140, 2012

      2 박민해 ; 정경희, "텍스트구조와 질문유형에 따른 학령기 아동의 설명글 읽기이해 특성"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3 (23): 83-93, 2018

      3 박진용, "텍스트구조 관련 읽기교육 내용 고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1) : 67-100, 2013

      4 김미정 ; 이성은, "텍스트 구조 학습이 아동의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설명문을 중심으로 -" 교육과학연구소 34 (34): 131-148, 2003

      5 이미림 ; 이희란, "설명담화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 언어학습장애아동의 말하기 특성"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9 (19): 456-466, 2014

      6 윤신원, "설명 텍스트의 연령대별 담화 구조 분석- 초등학교 1, 6학년 읽기 교과서 대비 고찰"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3 : 435-468, 2012

      7 김보림 ; 윤효진, "비교/대조와 원인/결과를 중심으로 본 초등 2, 4, 6학년 일반아동의 설명담화 요약하기 능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3 (23): 890-901, 2018

      8 이경화, "기초 문해력과 읽기 부진 지도" 청람어문교육학회 (71) : 223-245, 2019

      9 Foorman, B. R., "The role of instruction in learning to read:Preventing reading failure in at-risk children" 90 (90): 37-55, 1998

      10 Meyer, B. J., "The interaction of reader strategies and the organization of text" 2 (2): 155-192, 1982

      11 Soland, J, "The impact of COVID-19 on student achievement and what it may mean for educators" Brown Center Chalkboard

      12 Kim, S. J., "Teaching early literacy through reading and writing" 28 : 41-59, 2021

      13 van Dijk, T. A., "Strategies for discourse comprehension" Academic Press 1983

      14 Catts, H. W., "Prologue: Reading comprehension is not a single ability" 48 (48): 73-76, 2017

      15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s Work Plan for 2021 Announcement"

      16 Brown, A. L., "Macrorules for summarizing texts:The development of expertise" 22 (22): 1-14, 1983

      17 Hadley, P. A., "Language sampling protocols for eliciting text-level discourse" 29 (29): 132-147, 1998

      18 Paul, R.,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e-book: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communicating" Elsevier Health Sciences 2012

      19 Owens, R. E., "Language development: An introduction" Pearson 2012

      20 Lee, C. S., "Language arts for young children" Hakjisa 2004

      21 Oh, Y. K., "How social studies underachievers understand explanatory geography texts: An analysis of their writing for graphic organizers" 23 : 53-73, 2015

      22 Meyer, B. J., "Effects of discourse type on recall" 21 : 121-143, 1984

      23 Ju, N. H., "Characteristics of the text structure shown in expository writings by elementary school learners and teaching methods"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1-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peech, 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 Korean Speech- 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KCI등재
      2015-10-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언어치료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08 1.80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