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인성 코칭 프로그램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436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학대예방을 위하여 부모를 대상으로 코칭을 활용하여 인성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부모가 가정에서 적용 가능한 부모인성코치 양성을 위한 코 칭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서 자녀의 존엄성과 권리를 보장하고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를 형 성하여 아동학대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에 국내외 부모인성교육 에 관한 자료들을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부모인성함양에 코칭을 적용한 전문적인 아동학대예 방 부모인성코치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코칭프로그램은 총 10회기, 20시간으로 구성되며, C-PLUS코칭원리를 바탕으로 ACTIVE코칭 대화모델과 코칭기술 및 아동학대 예방교육자료를 바탕으로 개발하였다. 구체 적인 프로그램은 부모인성코치의 기초(아동학대와 부모인성코칭의 이해, 부모로서의 나 이해 하기), 부모인성코칭을 위한 이론과 발달(발달단계와 부모이론, 부모인성코칭의 영역), 부모인 성코칭의 기술(코칭과 대화모델, 역량강화기술), 부모인성코치의 전문성(부모인성코칭의 상호 작용), 부모인성코치의 다짐(부모인성코치의 비전)으로 구성하였다. 향후에는 각 학대유형별 로 적용가능한 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여 부모인성 함양을 위한 학대예방 교육자료로 활용되는 것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아동학대예방을 위하여 부모를 대상으로 코칭을 활용하여 인성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부모가 가정에서 적용 가능한 부모인성코치 양성을 위한 코 칭...

      본 연구는 아동학대예방을 위하여 부모를 대상으로 코칭을 활용하여 인성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부모가 가정에서 적용 가능한 부모인성코치 양성을 위한 코 칭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서 자녀의 존엄성과 권리를 보장하고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를 형 성하여 아동학대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에 국내외 부모인성교육 에 관한 자료들을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부모인성함양에 코칭을 적용한 전문적인 아동학대예 방 부모인성코치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코칭프로그램은 총 10회기, 20시간으로 구성되며, C-PLUS코칭원리를 바탕으로 ACTIVE코칭 대화모델과 코칭기술 및 아동학대 예방교육자료를 바탕으로 개발하였다. 구체 적인 프로그램은 부모인성코치의 기초(아동학대와 부모인성코칭의 이해, 부모로서의 나 이해 하기), 부모인성코칭을 위한 이론과 발달(발달단계와 부모이론, 부모인성코칭의 영역), 부모인 성코칭의 기술(코칭과 대화모델, 역량강화기술), 부모인성코치의 전문성(부모인성코칭의 상호 작용), 부모인성코치의 다짐(부모인성코치의 비전)으로 구성하였다. 향후에는 각 학대유형별 로 적용가능한 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여 부모인성 함양을 위한 학대예방 교육자료로 활용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aims to develop personality coaching program to be utilized by the parents for preventing child maltreatment. Furthe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centers around building a practical coaching program for parents to be able to use at the home in order to promot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and to protect children’s dignity and rights. Collecting national and international resources on the parent personality education was done to apply the concepts into developing parent personality coaching training program.
      The developed program is comprised of 12 sessions which add up to be total 20 hours. The sessions are based on the c-plus coaching theory and active-coaching conversation model. Details of the program include the following: Fundamentals of parent coaching (understanding self as a parent,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parent personality coaching and child abuse), theory and development for parent personality coaching (development phase, parenting theory, and parenting coaching concepts), techniques of parent coaching (coaching and conversation model, capability strengthening training), nature of parent personality coaching (interactions of parent personality coaching), resolution of the parent personality coaching (resolution and pledge).
      번역하기

      The study aims to develop personality coaching program to be utilized by the parents for preventing child maltreatment. Furthe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centers around building a practical coaching program for parents to be able to use at the home...

      The study aims to develop personality coaching program to be utilized by the parents for preventing child maltreatment. Furthe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centers around building a practical coaching program for parents to be able to use at the home in order to promot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and to protect children’s dignity and rights. Collecting national and international resources on the parent personality education was done to apply the concepts into developing parent personality coaching training program.
      The developed program is comprised of 12 sessions which add up to be total 20 hours. The sessions are based on the c-plus coaching theory and active-coaching conversation model. Details of the program include the following: Fundamentals of parent coaching (understanding self as a parent,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parent personality coaching and child abuse), theory and development for parent personality coaching (development phase, parenting theory, and parenting coaching concepts), techniques of parent coaching (coaching and conversation model, capability strengthening training), nature of parent personality coaching (interactions of parent personality coaching), resolution of the parent personality coaching (resolution and pled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아동학대와 부모특성
      • 2. 인성교육의 개념과 프로그램1)
      • 3. 코칭의 개념과 코칭 프로그램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아동학대와 부모특성
      • 2. 인성교육의 개념과 프로그램1)
      • 3. 코칭의 개념과 코칭 프로그램
      • 3. 코칭의 대화모델
      • 4. 선행연구
      • Ⅲ. 코칭 프로그램 개발
      • 1. 부모인성 코칭프로그램 개발 방향
      • 2. 부모인성 코칭 프로그램의 구성 체계
      • Ⅳ. 결론
      • 참 고 문 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정영, "효과적인 그룹코칭 프로세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코칭학회 2010

      2 도미향, "한국코칭학회 전문코치 자격취득과정 워크북 코치 2급, 1급, 강사, 전문가과정"

      3 도미향, "한국코칭학회 전문코치 2급과정 워크숍 자료집"

      4 이소희, "한국코칭학의 비전" 2015

      5 홍혜경, "한국 영유아 교원의 양성을 위한 대학에서의 교과과정 현황 및 과제" 2003

      6 한국창의인성코칭센터, "평가인증을 위한 상호작용 코칭프로그램"

      7 이수미, "패턴영어 학습법을 적용한 성인영어 학습코칭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코칭학회 9 (9): 75-92, 2016

      8 김혜연, "팀 성과 행동 코칭모델(TPC: Team Performance Coaching Model)을 이용한 건강 가정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평가" 2013 (2013): 310-, 2013

      9 이소희, "코칭학개론" 신정 2014

      10 이희경, "코칭입문 : Exploring Win-Win Partnership" 교보문고 2005

      1 박정영, "효과적인 그룹코칭 프로세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코칭학회 2010

      2 도미향, "한국코칭학회 전문코치 자격취득과정 워크북 코치 2급, 1급, 강사, 전문가과정"

      3 도미향, "한국코칭학회 전문코치 2급과정 워크숍 자료집"

      4 이소희, "한국코칭학의 비전" 2015

      5 홍혜경, "한국 영유아 교원의 양성을 위한 대학에서의 교과과정 현황 및 과제" 2003

      6 한국창의인성코칭센터, "평가인증을 위한 상호작용 코칭프로그램"

      7 이수미, "패턴영어 학습법을 적용한 성인영어 학습코칭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코칭학회 9 (9): 75-92, 2016

      8 김혜연, "팀 성과 행동 코칭모델(TPC: Team Performance Coaching Model)을 이용한 건강 가정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평가" 2013 (2013): 310-, 2013

      9 이소희, "코칭학개론" 신정 2014

      10 이희경, "코칭입문 : Exploring Win-Win Partnership" 교보문고 2005

      11 조성진, "코칭이 자기효능감, 성과 및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12 전성희, "코칭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서번트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13 박태연,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8 (8): 91-107, 2015

      14 김지연, "청소년 인성 코칭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15 김하나, "진로코칭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8 (8): 59-78, 2015

      16 도미향, "조직의 성과달성을 위한 리더십 코칭 연구경향" 3 (3): 5-22, 2010

      17 도미향, "인성코치사 프로그램" 2016

      18 배미진,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도덕 판단력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9 박영숙, "인성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 청소년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10

      20 류청산, "인성교육을 위한 인성 덕목의 요인분석" 26 (26): 139-166, 2006

      21 노이경, "인성교육을 목적으로 한 구조화된 집단상담의 성장촉진요인" 한국심리학회 4 (4): 99-123, 2000

      22 금교영, "인성교육과 인격주의 윤리학적 접근" 45 : 1-28, 2004

      23 김민정,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 존중감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4 김길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25 정현희, "유아코칭에서의 주도성 향상을 위한 위인동화의 활용"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6 이원희, "유아코칭에서의 대인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위인동화 활용"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7 도미향, "유아의 사회 정서 발달 촉진을 위한 코칭대화 기법에 관한 사례 연구" 2 (2): 83-116, 2009

      28 신화연, "유아교사의 자질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29 최소영, "유아 성폭력 예방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0 이경주, "유아 성폭력 예방 코칭프로그램이 성지식과 성폭력 대처 능력에 미치는영향" 8 (8): 45-67, 2011

      31 우민정, "유아 성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32 최영례, "위인동화를 활용한 NLPia 코칭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3 박정영, "우리나라 코칭산업의 현황과 전망" 5 (5): 23-46, 2012

      34 도미향, "영유아를 위한 놀이코칭 프로그램의 적용 : 레지오 에밀리아접근법 을 중심으로" 6 (6): 5-31, 2013

      35 김주연, "영어 말하기 코칭프로그램의 모형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7 (17): 411-438, 2010

      36 도미향, "영아의 문제해결력과 주도성 향상을 위한 레지오 에밀리아 코칭프로그램의 적용" 2 (2): 5-38, 2009

      37 이정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코칭역량이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38 김경옥, "어린이집 학부모의 아동학대 인식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39 하미선,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8 (8): 5-24, 2015

      40 보건복지부,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교육자료"

      41 도미향, "아동학대의 유형에 따른 문제와 개입방법에 관한 연구" 3 (3): 67-87, 2006

      42 김혜옥, "아동학대예방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경험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4

      43 이미훈, "아동학대에 대한 어린이집의 부모와 교사의 인식"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2014

      44 장인협, "아동복지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45 박형원, "아동복지론" 교문사 2011

      46 보건인력개발원, "아동권리 향상을 위한 부모의 역할 자료"

      47 이재연, "아동과 부모, 가족환경 특성에 따른 아동학대 실태 연구" 한국아동학회 24 (24): 63-78, 2003

      48 김현아,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프로그램의 효과분석 : 일개 농촌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49 정채옥, "성학대 예방교육 접근 방법에 따른 유아의 성학대 이해 및 대처능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50 반호진,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코칭프로그램 개발" 한국코칭학회 9 (9): 55-73, 2016

      51 조명애, "빈곤가족 아동 코칭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09

      52 도미향, "부모-자녀 관계 코칭" 2006

      53 서수진,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54 서수진,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9 (19): 131-145, 2014

      55 이진주,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코칭역량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56 이진주,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코칭역량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57 김순숙, "보육교사를 위한 영유아학대 코칭 프로그램 개발" 7 (7): 21-43, 2014

      58 도미향,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위한 코칭접근" 5 (5): 5-26, 2012

      59 양승연,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코칭프로그램 효과 분석"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60 양승연,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코칭프로그램 효과 분석" 8 (8): 103-122, 2015

      61 김양진, "미국의 아동학대 정책 및 실천적 접근" 7 (7): 101-117, 2015

      62 김정식, "리더의 코칭행위가 조직구성원들의 인지적 유연성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5 (15): 31-48, 2008

      63 도미향, "리더십 코칭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효능감과 주도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64 최경원, "동화를 활용한 집단게임놀이가 유아의 성폭력 지각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65 이미경,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09

      66 Biswas-Diener, R., "긍정심리학 코칭기술" 물푸레 2011

      67 Biswas-Diener, R., "긍정심리학 코칭" 아시아코칭센터 2009

      68 이소희, "그것은 아동학대예요" 동문사 2000

      69 도미향, "가족 역량강화를 위한 리더십 코칭 접근" 1 (1): 21-40, 2008

      70 채경선, "‘효’ 구현을 위한 부모코칭 접근" 한국효학회 (11) : 93-117, 2010

      71 김민수, "‌‘인성교육’ 담론에서 ‘인성’ 개념의 근거"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169-206, 2014

      72 Smith, B. D., "The risk of subsequent maltreatment allegations in families with substance-exposed infants" 26 : 97-114, 2002

      73 이소희, "TREASURETalk 코칭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1)" 7 (7): 5-35, 2014

      74 이소희, "TREASURE Talk 코칭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2)" 8 (8): 5-40, 2015

      75 Fluke, J. D., "Recurrence of maltreatment: an application of the national child abuse & Neglect data system(NCANDS)" 23 (23): 633-650, 1999

      76 장혜진, "NLPia 코칭 프로그램이 시설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77 Straus,M. A., "How violent are American families? Estimates from the National Family Violence Resurvey and other studies"

      78 박정영, "3CS 핵심 코칭 역량 프로그램 매뉴얼"

      79 보건복지부, "2014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