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재외한글학교의 교육 목표와 교육과정 영역 및 내용, 운영, 평가를 분석하여 지역별 특성이 다른 한글학교의 현장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62464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71-392(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재외한글학교의 교육 목표와 교육과정 영역 및 내용, 운영, 평가를 분석하여 지역별 특성이 다른 한글학교의 현장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
본 연구는 재외한글학교의 교육 목표와 교육과정 영역 및 내용, 운영, 평가를 분석하여 지역별 특성이 다른 한글학교의 현장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 재외교육기관 자료를 활용하여 약 1,500개한글학교 중 지역별, 규모별 전형성을 갖춘 학교 167개를 선정하였고 학교 소개, 시간표, 운영 자료 등을 검토하여 분석하였다. 지역 특성에 따른 특이 사항은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첫째, 교육 목표는 ‘한국에 대한 이해, 공동체 의식, 개인 정체성’으로 분류되었으며, 교육에서 요구되는 보편적 목적과 함께 지역 및 학교의 다양한 특성이 교육 목표에 반영되어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영역과 내용을 유형화한 결과, ‘한국어 중심형, 국어 중심형, 한국어·국어 통합형, 언어전문형, 종합형’의 다섯 가지로 분류되었다. 이는 다시 38가지의 세부 유형으로 나뉘어져 학교 여건에 맞게역동적, 탄력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셋째,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가 체계적으로 실행될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한글학교협의회 및 학교 차원의 평가 지표 개발을 통해 한글학교의 요구를 체계적으로 수용할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한글학교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서는 한글학교 교육과정의 목표와 운영, 평가를분석하기 위한 현장과 연계한 다각적인 차원의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재외동포 교육에 있어서 한글학교의 차별화된 특성이 잘 반영될 수 있도록 한국 정부의 지원 및 한글학교협의회의 협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field-specific curriculum for ‘Korean schools’ with different regional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areas, contents, operation, and eval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field-specific curriculum for ‘Korean schools’ with different regional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areas, contents, operation, and evaluation of overseas ‘Korean schools’. As a research method, 167 schools with typical characteristics by region and size were selected out of about 1,500 Korean schools using data from ‘Overseas Koreans Foundation’, and the introduction, timetable, and operation data of high schools were review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educational goal was classified as ‘understanding of Korea, a sense of community, and individual identity’,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regions and schools were reflected in the educational goal along with the universal purpose required by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 curriculum areas and contents, it was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Korean language-centered type, Korean language-centered type, Korean language integration type, language specialization type, and comprehensive type’, which were further divided into 38 detailed types and operated dynamically and flexibly according to school condi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 to systematically accommodate the needs of ‘Korean schools’ by developing evaluation indicators at the school level and the ‘Korean School Council’ because the conditions for systematic evaluation of the curriculum are not in place. In order to develop a curriculum tailored to ‘Korean schools’, research at various levels linked to the field is needed to analyze the goals, operation, and evaluation of the Korean school curriculu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support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Association of the Korean Schoosl’ so that th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of ‘Korean schools’ can be well reflected in the education of overseas Koreans.
시민주도 생활문화활동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고찰 : 일본 우타고에운동을 중심으로
이혼 갈등 원인에 대한 상담사례분석 : 루단스의 갈등이론을 중심으로
정물화의 관점으로 본 죽음의 존엄성 - 영화 <스틸라이프>를 중심으로
평생교육사의 무형식학습 경험을 통해 본 직업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 Illeris 학습 모델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