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참만남 집단상담을 통해 초보상담자들이 경험하는 자기성찰과 상담자 발달의 본질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까지 꾸준히 참만남 집단상담에 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418015
전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학위논문(석사) --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대학원 , 심리학 , 2014. 2
2013
한국어
전북특별자치도
ⅴ, 119 p.: 삽화; 27 cm.
전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이영순
참고문헌 : p.83-8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참만남 집단상담을 통해 초보상담자들이 경험하는 자기성찰과 상담자 발달의 본질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까지 꾸준히 참만남 집단상담에 참...
본 연구의 목적은 참만남 집단상담을 통해 초보상담자들이 경험하는 자기성찰과 상담자 발달의 본질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까지 꾸준히 참만남 집단상담에 참여하고 있는 초보상담자 10명이다. 자료의 수집은 개별심층면담의 4단계에 의거하였다. 총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6월 20일~2013년 8월 12일이며 모든 면담자료는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을 실시하였고, 참여자의 표현을 그대로 필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6개의 구성요소와 26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6개의 구성요소는 '현실에서 겪는 어려움', '참만남 집단상담에 대한 기대', '참만남 집단상담을 통한 성장', '초보상담자의 자기성찰', '상담자로서의 전문성 발달', '상담에서의 적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서 초보상담자들은 막연한 불안감과 결핍감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며 이러한 상태에 대해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는 개인적 어려움을 겪는다. 상담자로서는 자신이 없고 내담자가 이해되고 공감되지 않아 문제에만 초점을 두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참만남 집단상담을 통해 초보상담자들은 자신의 감정자각을 위해 노력하고 서서히 느껴진 감정을 표현하게 된다. 나누어진 감정들에 대한 교류가 깊어짐에 따라 집단원들의 진심어린 이해와 사랑을 몸소 느끼며 한 단계 성장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더 깊은 자신의 내면을 알고 과거의 삶을 통해 현재를 이해하며 핵심감정과 사고들을 자각하는 자기성찰 과정을 경험한다. 자신의 지속되어 온 감정들을 보는 시야가 열리고 삶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자유로움과 행복감을 느낀다. 이러한 자기성찰을 통해서 초보상담자들은 상담자로서의 전문성이 발달한다. 깊이 있는 공감과 경청에 대해서 배우고 책으로만 배웠던 상담이론들을 체득하며 초보상담자들이 자신의 치유과정을 통해 상담과정을 이해하기도 한다. 이러한 배움들이 상담에서 내담자를 더 존중하고 사랑으로 대하는 태도의 변화에서 느껴지기도 하며 역전이를 자각하고 경계하려는 노력으로 적용하는 모습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초보상담자들이 참만남 집단상담을 통해 경험한 자기성찰과 전문성 발달을 생생하게 제시하였으며 자신의 삶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자기성찰의 경험이 상담자로서의 전문성 발달과 어떠한 의미와 구조를 가지는지 알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상담자들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육과 성찰에 관련한 논의점들이 제시되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