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교사의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경험과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 탐색 = Explor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Teaching Multicultura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893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이 연구는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국내 교육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및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사용하여 특수교사의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경험과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에 따라 전국 유아/초등/중등 특수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특수교사의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경험에 대한 기술통계와 범주별 응답에 대한 빈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특수교사의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은 문항별 점수를 합산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의 2/3 이상이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문에 참여한 특수교사 대부분은 다문화 특수교육 관련 연수가 필요하다고 보고하였으며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전문적인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설문 결과 특수교사들은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높은 태도와 효능감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하위영역 결과를 살펴보면 실제로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적절한 교육과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다문화 특수교육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이 연구는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국내 교육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및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사용하여 특수교사의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경험과 다...

      연구목적: 이 연구는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국내 교육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및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사용하여 특수교사의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경험과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에 따라 전국 유아/초등/중등 특수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특수교사의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경험에 대한 기술통계와 범주별 응답에 대한 빈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특수교사의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은 문항별 점수를 합산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의 2/3 이상이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문에 참여한 특수교사 대부분은 다문화 특수교육 관련 연수가 필요하다고 보고하였으며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전문적인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설문 결과 특수교사들은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높은 태도와 효능감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하위영역 결과를 살펴보면 실제로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적절한 교육과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다문화 특수교육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in Korea, its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through a survey exami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in teaching multicultura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their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Method: In a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surveyed 110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cross the country.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es of responses by category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by summing the scores of each question to assess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more than two-thirds of special educators had experience teaching multicultura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most of them reported difficulties in teaching theses learners. Most of the surveyed special educators also reported a need for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training and additional specialized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lthough the survey results confirmed that special educators had positive attitudes and efficacy toward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the sub-domain results showed that in practice,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providing appropriate instruction and the necessary support to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student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are suggested.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in Korea, its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through a survey exami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in teaching multicultural studen...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in Korea, its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through a survey exami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in teaching multicultura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their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Method: In a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surveyed 110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cross the country.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es of responses by category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by summing the scores of each question to assess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more than two-thirds of special educators had experience teaching multicultura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most of them reported difficulties in teaching theses learners. Most of the surveyed special educators also reported a need for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training and additional specialized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lthough the survey results confirmed that special educators had positive attitudes and efficacy toward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the sub-domain results showed that in practice,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providing appropriate instruction and the necessary support to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student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are suggest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