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이 연구는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국내 교육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및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사용하여 특수교사의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경험과 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이 연구는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국내 교육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및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사용하여 특수교사의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경험과 다...
연구목적: 이 연구는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국내 교육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및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사용하여 특수교사의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경험과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에 따라 전국 유아/초등/중등 특수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특수교사의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경험에 대한 기술통계와 범주별 응답에 대한 빈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특수교사의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은 문항별 점수를 합산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의 2/3 이상이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문에 참여한 특수교사 대부분은 다문화 특수교육 관련 연수가 필요하다고 보고하였으며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전문적인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설문 결과 특수교사들은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높은 태도와 효능감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하위영역 결과를 살펴보면 실제로 다문화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적절한 교육과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다문화 특수교육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in Korea, its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through a survey exami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in teaching multicultural studen...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in Korea, its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through a survey exami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in teaching multicultura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their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Method: In a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surveyed 110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cross the country.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es of responses by category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by summing the scores of each question to assess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more than two-thirds of special educators had experience teaching multicultura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most of them reported difficulties in teaching theses learners. Most of the surveyed special educators also reported a need for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training and additional specialized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lthough the survey results confirmed that special educators had positive attitudes and efficacy toward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the sub-domain results showed that in practice,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providing appropriate instruction and the necessary support to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student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are suggested.
경계선지능 청년의 평생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지원요구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아통합어린이집 비장애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발달지체유아의 방해행동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