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자진, "한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한국신석기학회 2009
2 구자진, "한국 신석기시대의 집자리와 마을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3 정수옥, "토기의 탄소부착흔을 통해 본 소성과 조리방법 – 늑도유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65 (65): 45-73, 2009
4 리 펑, "중국고대사" 사회평론아카데미 2017
5 金慶柱, "제주지역 송국리문화의 수용과 전개" 韓國靑銅器學會 (6) : 2010
6 濟州考古學硏究所, "제주 사계-인성유적" 2017
7 濟州考古學硏究所, "제주 고산리유적Ⅱ(2구역-2차)" 2017
8 濟州考古學硏究所, "제주 고산리유적Ⅰ(2구역)" 2017
9 소상영, "제주 고산리 유적의 편년과 성격-방사성탄소연대와 유적 재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신석기학회 (33) : 1-28, 2017
10 제주문화유산연구원, "제주 고산리 유적Ⅳ" 2017
1 구자진, "한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한국신석기학회 2009
2 구자진, "한국 신석기시대의 집자리와 마을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3 정수옥, "토기의 탄소부착흔을 통해 본 소성과 조리방법 – 늑도유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65 (65): 45-73, 2009
4 리 펑, "중국고대사" 사회평론아카데미 2017
5 金慶柱, "제주지역 송국리문화의 수용과 전개" 韓國靑銅器學會 (6) : 2010
6 濟州考古學硏究所, "제주 사계-인성유적" 2017
7 濟州考古學硏究所, "제주 고산리유적Ⅱ(2구역-2차)" 2017
8 濟州考古學硏究所, "제주 고산리유적Ⅰ(2구역)" 2017
9 소상영, "제주 고산리 유적의 편년과 성격-방사성탄소연대와 유적 재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신석기학회 (33) : 1-28, 2017
10 제주문화유산연구원, "제주 고산리 유적Ⅳ" 2017
11 제주문화유산연구원, "제주 고산리 유적Ⅲ" 2017
12 한국지질환경연구소, "제주 고산리 유적Ⅲ" 제주문화유산연구원 2016
13 제주문화유산연구원, "제주 고산리 유적Ⅱ" 2015
14 제주문화유산연구원, "제주 고산리 유적" 2014
15 고바야시 겐이치, "일본 초창기의 주거 연구, In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와 활용방안" 2016
16 하야시 켄사쿠, "일본 신석기시대 생업과 주거" 사회평론아카데미 2015
17 장성윤, "왜 고산리식토기에 식물 비짐이 사용되었을까?" 한국상고사학회 102 (102): 5-23, 2018
18 하인수, "영남해안지역의 신석기문화 연구 : 편년과 생업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19 김재윤, "아무르 강 하류와 연해주의 신석기 초창기 토기, In 韓⋅日 初期 新石器文化 比較硏究" 2013
20 배성혁, "신석기시대 취락의 공간구조" 韓國新石器學會 (13) : 2007
21 유지인, "신석기시대 중·후기 중서부 해안 지역 취락 구조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22 스티븐 마이든, "빙하이후-수렵채집에서 농경으로, 20,000~5,000BC"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23 安承模, "동아시아 정주취락과 농경 출현의 상관관계한반도남부지방을 중심으로" 韓國新石器學會 (11) : 2006
24 다나카 소이치, "동아시아 신석기 시대 연구로 본 제주도 고산리 유적의위상, In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와 활용방안" 2016
25 임재수, "동북아시아 후빙기 자연환경과 고산리지역의 환경 복원, In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와 활용방안" 2016
26 하인수, "남해안지역 융기문토기의 편년, In 한국 신석기문화의 양상과전개" 2012
27 박근태, "고산리유적의 석기조성과 생업, In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와 활용방안" 2016
28 김명진, "고산리유적 퇴적층과 목탄분석을 통한 유적 형성과정과 점유시기, In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와 활용방안" 2016
29 방문배, "고산리유적 유구의 성격과 정착 가능성에 대한 검토, In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와 활용방안" 2016
30 소상영, "고산리 유적 출토 토기의 자연과학 분석을 통한 제작기술과 사용연대 추정, In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와 활용방안" 2016
31 황철주, "韓半島 東·南海岸地域 隆起文土器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32 崔基龍, "韓半島 後氷期의 植生 및 氣候 變遷史, In 韓國 新石器時代의環境과 生業" 2001
33 고재원, "遺物로 본 濟州島 高山里文化, In 韓⋅日 初期 新石器文化 比較硏究" 2013
34 工藤雄一郞, "繩文時代의 시작과 環境變動, In 韓⋅日 初期 新石器文化 比較硏究" 2013
35 小林謙一, "繩文時代前半期の實年代" 國立歷史民俗博物館 2007
36 國立歷史民俗博物館, "繩文は いつから!?1万5千年前になにがおこったのか"
37 康昌和, "濟州 高山里 新石器文化 硏究" 嶺南大學校 2006
38 林潤也, "九州における繩文時代竪穴住居の變遷, In 日韓新石器時代の住居と集落" 2007
39 김명진, "OSL 연대측정을 통한 제주 고산리 유적의 형성과 점유시기 결정" 한국분석과학회 29 (29): 269-276,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