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석기시대 고산리유적과 주민집단의 성격 =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Historic Site of Gosan-ri in the Neolithic 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Group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lics of Gosan-ri are the remains of the Neolithic Age that first appeared i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since the formation of the first site, settlements continued to appear until the late Neolithic Period. The Gosan-ri site appeared in th...

      The relics of Gosan-ri are the remains of the Neolithic Age that first appeared i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since the formation of the first site, settlements continued to appear until the late Neolithic Period.
      The Gosan-ri site appeared in the course of human adaptation to chang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of offshore environment led to subsistence economy patterns of using marine resources.
      Like this, villagers in the Gosan-ri site formed a sedentary settlement due to chang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made a living by hunting-gathering and fishing. In this sense, the Gosan-ri site represents a village for settlement and movement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for a small-scale movement for hunting and gathering rather than for a collective movement of the entire community.
      Dwelling sites, open fields, a great deal of pottery and molded stoneware, and large grinding plates excavated in the Gosan-ri remains are considered as a proof of long-term sedentary settlement. 14C age dating results suggest that since its inception in the beginning of the Neolithic Period, the Gosan-ri settlement continued into early, middle and late stages of the peri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고산리유적은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출현하는 신석기시대 유적이다. 자연과학 분석결과 유적의 상한연대는 9,000 BC를 상회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유적이 형성된 이후 신석기시대 후기까지 지...

      고산리유적은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출현하는 신석기시대 유적이다. 자연과학 분석결과 유적의 상한연대는 9,000 BC를 상회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유적이 형성된 이후 신석기시대 후기까지 지속적으로 취락이 조성된다.
      고산리유적은 자연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출현하였으며 연안환경의 조성은 수산자원을 활용하는 생업패턴으로 전환된다. 이처럼 고산리 주민집단은 자연환경의 변화로 인해 정주성 취락을 형성하고 수렵채집과 함께어로활동을 병행하면서 생계를 영위하여 나갔다. 고산리유적은 이와 같이 정착과 이동을 병행했던 취락에 해당하며 구성원 전체의 집단적 이동보다는수렵채집을 위한 소규모적 이동이 상정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자진, "한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한국신석기학회 2009

      2 구자진, "한국 신석기시대의 집자리와 마을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3 정수옥, "토기의 탄소부착흔을 통해 본 소성과 조리방법 – 늑도유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65 (65): 45-73, 2009

      4 리 펑, "중국고대사" 사회평론아카데미 2017

      5 金慶柱, "제주지역 송국리문화의 수용과 전개" 韓國靑銅器學會 (6) : 2010

      6 濟州考古學硏究所, "제주 사계-인성유적" 2017

      7 濟州考古學硏究所, "제주 고산리유적Ⅱ(2구역-2차)" 2017

      8 濟州考古學硏究所, "제주 고산리유적Ⅰ(2구역)" 2017

      9 소상영, "제주 고산리 유적의 편년과 성격-방사성탄소연대와 유적 재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신석기학회 (33) : 1-28, 2017

      10 제주문화유산연구원, "제주 고산리 유적Ⅳ" 2017

      1 구자진, "한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한국신석기학회 2009

      2 구자진, "한국 신석기시대의 집자리와 마을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3 정수옥, "토기의 탄소부착흔을 통해 본 소성과 조리방법 – 늑도유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65 (65): 45-73, 2009

      4 리 펑, "중국고대사" 사회평론아카데미 2017

      5 金慶柱, "제주지역 송국리문화의 수용과 전개" 韓國靑銅器學會 (6) : 2010

      6 濟州考古學硏究所, "제주 사계-인성유적" 2017

      7 濟州考古學硏究所, "제주 고산리유적Ⅱ(2구역-2차)" 2017

      8 濟州考古學硏究所, "제주 고산리유적Ⅰ(2구역)" 2017

      9 소상영, "제주 고산리 유적의 편년과 성격-방사성탄소연대와 유적 재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신석기학회 (33) : 1-28, 2017

      10 제주문화유산연구원, "제주 고산리 유적Ⅳ" 2017

      11 제주문화유산연구원, "제주 고산리 유적Ⅲ" 2017

      12 한국지질환경연구소, "제주 고산리 유적Ⅲ" 제주문화유산연구원 2016

      13 제주문화유산연구원, "제주 고산리 유적Ⅱ" 2015

      14 제주문화유산연구원, "제주 고산리 유적" 2014

      15 고바야시 겐이치, "일본 초창기의 주거 연구, In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와 활용방안" 2016

      16 하야시 켄사쿠, "일본 신석기시대 생업과 주거" 사회평론아카데미 2015

      17 장성윤, "왜 고산리식토기에 식물 비짐이 사용되었을까?" 한국상고사학회 102 (102): 5-23, 2018

      18 하인수, "영남해안지역의 신석기문화 연구 : 편년과 생업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19 김재윤, "아무르 강 하류와 연해주의 신석기 초창기 토기, In 韓⋅日 初期 新石器文化 比較硏究" 2013

      20 배성혁, "신석기시대 취락의 공간구조" 韓國新石器學會 (13) : 2007

      21 유지인, "신석기시대 중·후기 중서부 해안 지역 취락 구조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22 스티븐 마이든, "빙하이후-수렵채집에서 농경으로, 20,000~5,000BC"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23 安承模, "동아시아 정주취락과 농경 출현의 상관관계한반도남부지방을 중심으로" 韓國新石器學會 (11) : 2006

      24 다나카 소이치, "동아시아 신석기 시대 연구로 본 제주도 고산리 유적의위상, In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와 활용방안" 2016

      25 임재수, "동북아시아 후빙기 자연환경과 고산리지역의 환경 복원, In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와 활용방안" 2016

      26 하인수, "남해안지역 융기문토기의 편년, In 한국 신석기문화의 양상과전개" 2012

      27 박근태, "고산리유적의 석기조성과 생업, In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와 활용방안" 2016

      28 김명진, "고산리유적 퇴적층과 목탄분석을 통한 유적 형성과정과 점유시기, In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와 활용방안" 2016

      29 방문배, "고산리유적 유구의 성격과 정착 가능성에 대한 검토, In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와 활용방안" 2016

      30 소상영, "고산리 유적 출토 토기의 자연과학 분석을 통한 제작기술과 사용연대 추정, In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와 활용방안" 2016

      31 황철주, "韓半島 東·南海岸地域 隆起文土器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32 崔基龍, "韓半島 後氷期의 植生 및 氣候 變遷史, In 韓國 新石器時代의環境과 生業" 2001

      33 고재원, "遺物로 본 濟州島 高山里文化, In 韓⋅日 初期 新石器文化 比較硏究" 2013

      34 工藤雄一郞, "繩文時代의 시작과 環境變動, In 韓⋅日 初期 新石器文化 比較硏究" 2013

      35 小林謙一, "繩文時代前半期の實年代" 國立歷史民俗博物館 2007

      36 國立歷史民俗博物館, "繩文は いつから!?1万5千年前になにがおこったのか"

      37 康昌和, "濟州 高山里 新石器文化 硏究" 嶺南大學校 2006

      38 林潤也, "九州における繩文時代竪穴住居の變遷, In 日韓新石器時代の住居と集落" 2007

      39 김명진, "OSL 연대측정을 통한 제주 고산리 유적의 형성과 점유시기 결정" 한국분석과학회 29 (29): 269-276,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5-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AMLA CULTURAL INSTITUTE -> Research Institute for the Tamla Culture KCI등재
      2017-06-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탐라문화연구소 -> 탐라문화연구원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2 0.913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