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lhareubang, the symbolic icon of Jeju Island, was built by Jeju Minister Kim Mong-Kyu(金夢煃) in 1754. 48 Dolhareubangs were made in Jeju 3 castles during the Chosun Dynasty. Today, 23 (1 lost) among 24 from Jeju castle, 12 from Jeongui castle, 1...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79888
황시권 (명지대학교)
2019
Korean
Dolhareubang ; Korean Traditional Totem pole ; ONGJUNGSEOK ; Kim Mong-Kyu ; Kim Seok-Ik ; 돌하르방 ; 돌장승(석장승) ; 옹중석 ; 김몽규 ; 김석익
KCI등재
학술저널
45-94(5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olhareubang, the symbolic icon of Jeju Island, was built by Jeju Minister Kim Mong-Kyu(金夢煃) in 1754. 48 Dolhareubangs were made in Jeju 3 castles during the Chosun Dynasty. Today, 23 (1 lost) among 24 from Jeju castle, 12 from Jeongui castle, 1...
Dolhareubang, the symbolic icon of Jeju Island, was built by Jeju Minister Kim Mong-Kyu(金夢煃) in 1754. 48 Dolhareubangs were made in Jeju 3 castles during the Chosun Dynasty. Today, 23 (1 lost) among 24 from Jeju castle, 12 from Jeongui castle, 12 from Daejeong castle, total 47 are passed down to present. In the year of 1971, 45 of them have been designated a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olk materials No.2 ; 2 that were transferred into the entrance of The National Fork Museum of Korea in Seoul during mid 1960s were excluded.
This paper studies Dolharubang which represents the innate characteristics of Jeju. For this study, multiple forms of research was made like literature research, functional analysis and form analysis related with art historical origin, production time and molding characteristics of Dolharubang. The first literature record of Dolharubang had problem of credibility because it was found 160 years later in 1918 than actual time which Dolhareubang was first made. Literature research was made for the investigation that this record has validity. Also, by consideration of purpose based on establishment period and analytical shape comparison to Korean Traditional Stone Totem pole of the land, production time of Dolharubang will be clearly represented.
국문 초록 (Abstract)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호 돌하르방은 고유한 제주 돌문화의 상징으로서 문헌기록상 1754년 金夢煃 목사에 의해 처음 세워졌다. 조선시대 제주 3읍성 성문 앞에 모두 48기가 제작된 것...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호 돌하르방은 고유한 제주 돌문화의 상징으로서 문헌기록상 1754년 金夢煃 목사에 의해 처음 세워졌다. 조선시대 제주 3읍성 성문 앞에 모두 48기가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濟州邑城 돌하르방은 24기 가운데 1기가 분실돼 현재 23기가 남아있고, 旌義縣城 12기, 大 靜縣城 12기가 그대로 전해오고 있다. 1971년 8월 26일 문화재로 지정할 당시, 현존하는 47기 가운데 1960년대 중반 제주읍성 동문 밖에 세워졌던 8기중에서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입구로 옮겨진 2기를 제외시킴으로써 지금까지45기만 문화재로 지정된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돌하르방이 제작된 시기(1754)와 최초의 문헌기록(1918) 사이의 160년 넘는 큰 차이로 인해 그 신뢰성이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타당성 있는 자료인지 여러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하여, 돌하르방의 제작시기와 관련한문헌분석은 물론 기능분석과 형태분석을 다양하게 고찰해보았다. 이러한 문헌고증과 함께 당대의 시대적 사회상황을 통해 알 수 있는 설치동기와 목적등의 기능성은 물론, 비슷한 시기에 먼저 제작된 육지 돌장승과의 형태를 자세히 비교분석해봄으로써, 돌하르방의 제작시기가 보다 더 명료해질 것으로생각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충기, "한국학사전" 국학자료원 2002
2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한국학중앙연구원"
3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5 이종철, "한국민속신앙의 탐구" 민속원 2009
6 김태곤, "한국민간신앙연구" 집문당 1983
7 "한국고전종합 데이터베이스, 고전번역원"
8 가종수, "한국 석상의 원류를 찾아서" 북 코리아 2011
9 이강회, "탐라직방설" 각 2013
10 "탐라순력도연구논총" 제주시⋅탐라순력도연구회 2000
1 황충기, "한국학사전" 국학자료원 2002
2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한국학중앙연구원"
3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5 이종철, "한국민속신앙의 탐구" 민속원 2009
6 김태곤, "한국민간신앙연구" 집문당 1983
7 "한국고전종합 데이터베이스, 고전번역원"
8 가종수, "한국 석상의 원류를 찾아서" 북 코리아 2011
9 이강회, "탐라직방설" 각 2013
10 "탐라순력도연구논총" 제주시⋅탐라순력도연구회 2000
11 "탐라문헌집" 제주도교육위원회 1976
12 이원조, "탐라록"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1989
13 정운경, "탐라견문록, 바다 밖의 넓은 세상" 휴머니스트 2008
14 위엔커, "중국신화전설 2" 민음사 1999
15 "조선왕조실록"
16 아카마쓰 지조, "조선무속의 연구 상⋅하" 동문선 1991
17 정승모, "제주의 수문장 돌하르방" 제주돌문화 공원 2007
18 "제주읍지"
19 김석익, "제주속의 탐라–심재집" 보고사 2011
20 김영돈, "제주민의 삶과 문화" 제주문화 1993
21 현길언, "제주문화론" 탐라목석원 2001
22 문무병, "제주도 본향당 신앙과 본풀이" 민속원 2008
23 현용준,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집문당 2002
24 정성권, "제주도 돌하르방에 관한 연구 : 양식적 특징 및 조성시기를 중심으로" 34 : 2001
25 주채혁, "제주도 돌하르방 연구의 몇가지 문제점; 그 명칭과 개념정의및 존재시기; 동몽골 다리강가 훈촐로와 관련하여" 청주대사학회 6 : 1994
26 황시권, "제주 돌하르방의 종합적 연구" 명지대학교 2015
27 김두하, "장승과 벅수" 대원사 2011
28 유홍준, "장승" 열화당 1988
29 조성산, "이강회李綱會의『탐라직방설耽羅職方說』과 제주도濟州道"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2) : 49-80, 2008
30 주강현, "우리문화의 수수께끼 1" 한겨레신문사 2004
31 이원진, "역주탐라지" 푸른 역사 2007
32 "여수시 문화재도록" 여수시⋅여수지역사회연구소 2001
33 원준식, "아도르노의 미메시스론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34 "심재집" 제주문화사 1990
35 "신증동국여지승람"
36 "승정원일기"
37 부영근, "석북 신광수의 『탐라록』 고찰" 영주어문연구회 8 : 2004
38 안길모, "불교와 세시풍속" 명상 1993
39 변경붕, "변경붕문집" 탐라문화연구소 2010
40 무경, "베트남의 신화와 전설" 돌베개 2000
41 김두하, "벅수와 장승" 집문당 1995
42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1. 신앙⋅생활자료" 문화재청 2005
43 데 바이에르, "몽골 석인상의 연구" 혜안 1994
44 "디지털제주시문화대전, 제주시"
45 "디지털서귀포시문화대전, 서귀포시"
46 김유정, "돌하르방 북방·남방 기원설에 대한 재론" 탐라문화연구원 (31) : 203-236, 2007
47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7돌하르방어디 감수광" 창비 2012
48 김병모, "김병모의 고고학여행 1⋅2" 고래실 2006
49 김시습, "금오신화에 쓰노라" 보리 2005
50 김동전, "구한말 한 지식인의 일생–심재 김석익" 국립제주박물관 2004
51 병영면, "강진군마을사" 강진군 1991
52 김정선, "翁仲石: 돌하르방에 대한 고찰" 탐라문화연구원 (33) : 199-244, 2008
53 "石北集 권7"
54 이익태, "知瀛錄" 제주문화원 2010
55 이즈미 세이이치, "濟州島" 제주시우당도서관 1999
56 "書啓輯錄"
57 "延州 제2호" 연주현씨 제주도친족회 1986
58 "崇文聯芳集" 탐구당 1975
59 "南遊錄⋅達告辭⋅耽羅別曲⋅訓民篇" 제주문화원 1999
60 이형상, "南宦博物" 푸른 역사 2009
61 "『延州玄氏世譜』 2000년 庚辰譜"
62 이원조, "(역주)탐라지초본 상하" 제주교육박물관 2007
63 담수계, "(역주)증보탐라지" 제주문화원 2005
다원적 민주시민 교육의 조건인 새로운 ‘헤게모니’ -제주4⋅ 3평화인권교육을 중심으로
태평양 전쟁 말기 요카렌(予科練)의 제주도 주둔과 위안소 -성산 지역을 중심으로-
병문천 복개 과정을 통해 본 탑동 매립 반대 운동 이후 30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2019-05-1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AMLA CULTURAL INSTITUTE -> Research Institute for the Tamla Culture | |
2017-06-1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탐라문화연구소 -> 탐라문화연구원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5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4 | 0.62 | 0.913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