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동역학 해석 문제를 다룰 때 ADAMS/Car와 같은 다물체 동역학 차량모델을 활용하면 부품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모델링으로 정확한 해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모델구축 노력과 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101906
서울 : 國民大學校 自動車工學專門大學院, 2013
학위논문(석사) -- 國民大學校 自動車工學專門大學院 , 친환경고안전자동차專攻 , 2013.02
2013
한국어
629.2293 판사항(21)
서울
Development of Functional Suspension Vehicle Dynamic Model with Suspension Roll Coupling Effects
ⅹ, 57p. : 삽도, 도표 ; 26 cm.
지도교수: 김상섭
참고문헌: p.5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차량동역학 해석 문제를 다룰 때 ADAMS/Car와 같은 다물체 동역학 차량모델을 활용하면 부품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모델링으로 정확한 해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모델구축 노력과 비...
차량동역학 해석 문제를 다룰 때 ADAMS/Car와 같은 다물체 동역학 차량모델을 활용하면 부품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모델링으로 정확한 해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모델구축 노력과 비용이 많이 들고 실시간 해석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김상섭, 정홍규[1][2]는 차량모델을 차체와 휠을 포함하는 다물체계로 모델링하고 휠과 차체 사이의 관계를 휠 스트로크의 함수로 표현하는 함수형 현가장치 차량모델 기법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해석의 정확도가 높고 모델링 구축에 대한 비용이 적으며 효율적인 계산량으로 실시간 해석이 이루어졌다.
함수형 현가장치의 모델은 현가장치 특성시험장치(SPMD)로부터 얻어진 기구학 및 컴플라이언스 특성데이터를 활용한다. 특히 독립현가장치의 기구학적 연결관계는 양측 휠이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움직일 때의 휠 얼라인먼트 특성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독립현가장치라 할지라도 SPMD의 실험 결과를 보았을 때 휠 스트로크에 의한 휠 얼라인먼트 값이 Ride실험에 의한 결과와 Roll실험에 의한 결과 사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차체, 서브프레임, 롤바와 같은 연성체에 의하여 좌우 현가장치의 롤 커플링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가장치의 특성을 적용하기 위하여 Ride변수와 Roll변수를 활용한 수정된 차량 운동방정식을 제시하였고 해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