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현가장치의 롤 커플링 영향을 포함하는 함수형 현가장치에 의한 차량동역학모델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10190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國民大學校 自動車工學專門大學院, 2013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3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29.2293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Development of Functional Suspension Vehicle Dynamic Model with Suspension Roll Coupling Effects

      • 형태사항

        ⅹ, 57p. : 삽도,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상섭
        참고문헌: p.55

      • 소장기관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차량동역학 해석 문제를 다룰 때 ADAMS/Car와 같은 다물체 동역학 차량모델을 활용하면 부품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모델링으로 정확한 해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모델구축 노력과 비용이 많이 들고 실시간 해석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김상섭, 정홍규[1][2]는 차량모델을 차체와 휠을 포함하는 다물체계로 모델링하고 휠과 차체 사이의 관계를 휠 스트로크의 함수로 표현하는 함수형 현가장치 차량모델 기법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해석의 정확도가 높고 모델링 구축에 대한 비용이 적으며 효율적인 계산량으로 실시간 해석이 이루어졌다.
      함수형 현가장치의 모델은 현가장치 특성시험장치(SPMD)로부터 얻어진 기구학 및 컴플라이언스 특성데이터를 활용한다. 특히 독립현가장치의 기구학적 연결관계는 양측 휠이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움직일 때의 휠 얼라인먼트 특성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독립현가장치라 할지라도 SPMD의 실험 결과를 보았을 때 휠 스트로크에 의한 휠 얼라인먼트 값이 Ride실험에 의한 결과와 Roll실험에 의한 결과 사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차체, 서브프레임, 롤바와 같은 연성체에 의하여 좌우 현가장치의 롤 커플링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가장치의 특성을 적용하기 위하여 Ride변수와 Roll변수를 활용한 수정된 차량 운동방정식을 제시하였고 해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번역하기

      차량동역학 해석 문제를 다룰 때 ADAMS/Car와 같은 다물체 동역학 차량모델을 활용하면 부품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모델링으로 정확한 해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모델구축 노력과 비...

      차량동역학 해석 문제를 다룰 때 ADAMS/Car와 같은 다물체 동역학 차량모델을 활용하면 부품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모델링으로 정확한 해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모델구축 노력과 비용이 많이 들고 실시간 해석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김상섭, 정홍규[1][2]는 차량모델을 차체와 휠을 포함하는 다물체계로 모델링하고 휠과 차체 사이의 관계를 휠 스트로크의 함수로 표현하는 함수형 현가장치 차량모델 기법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해석의 정확도가 높고 모델링 구축에 대한 비용이 적으며 효율적인 계산량으로 실시간 해석이 이루어졌다.
      함수형 현가장치의 모델은 현가장치 특성시험장치(SPMD)로부터 얻어진 기구학 및 컴플라이언스 특성데이터를 활용한다. 특히 독립현가장치의 기구학적 연결관계는 양측 휠이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움직일 때의 휠 얼라인먼트 특성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독립현가장치라 할지라도 SPMD의 실험 결과를 보았을 때 휠 스트로크에 의한 휠 얼라인먼트 값이 Ride실험에 의한 결과와 Roll실험에 의한 결과 사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차체, 서브프레임, 롤바와 같은 연성체에 의하여 좌우 현가장치의 롤 커플링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가장치의 특성을 적용하기 위하여 Ride변수와 Roll변수를 활용한 수정된 차량 운동방정식을 제시하였고 해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i
      • List of Table iv
      • List of Figures v
      • Nomenclature viii
      • 국문 요약 x
      • 목차 i
      • List of Table iv
      • List of Figures v
      • Nomenclature viii
      • 국문 요약 x
      • 1. 서 론 1
      • 1.1 연구 배경 1
      • 1.2 연구 목적 2
      • 1.3 연구 내용 3
      • 2. 독립현가장치의 거동 특성 4
      • 2.1 맥퍼슨 스트럿 현가장치 롤 커플링 인자 분석 5
      • Case 1. 기구학 모델 6
      • Case 2. 현가장치 컴플라이언스 적용 7
      • Case 3. 서브프레임 컴플라이언스 적용 8
      • Case 4. 현가장치, 서브프레임, 조향계 컴플라이언스 적용 9
      • Case 5. 롤 안정바를 제외한 모든 컴플라이언스 적용 10
      • 2.2 멀티링크 현가장치 롤 커플링 인자 분석 12
      • Case 1. 기구학 모델 13
      • Case 2. 현가장치 컴플라이언스 및 조향 컴플라이언스 적용 14
      • Case 3. 컴플라이언스 모델, 롤 안정바 제거 15
      • Case 4. 컴플라이언스 모델, 롤 안정바 및 조향 컴플라이언스 제거 16
      • 3. 차량 운동방정식 18
      • 3.1 함수형 현가장치 차량 모델(Ride FSM) 18
      • 3.1.1 위치 및 회전변수 19
      • 3.1.2 속도(Velocity) 관계식 21
      • 3.1.3 가속도 관계식 25
      • 3.1.4 운동방정식 28
      • 3.2 롤 수정항을 포함하는 함수형 현가장치 모델 29
      • 3.2.1 위치 및 회전 변수 30
      • 3.2.2 속도 관계식 31
      • 3.2.3 가속도 관계식 33
      • 3.2.4 운동방정식 35
      • 4. 모델 검증 36
      • 4.1 차량 모델링 36
      • 4.2 Step-Steer 해석 토각 분석 38
      • 4.2 Step-Steer 해석 성능지표 분석 40
      • 4.3 Understeer Gradient 51
      • 5. 결론 53
      • 6. 참고 문헌 55
      • 7. Abstract 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