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910年代의 獨立宣言書 硏究 = (A) study of 1910'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37562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日帝가 韓國을 병탄한 1910년부터 3.1運動의 餘波가 이어지던 1919년 말까지 한국의 獨立運動이 어떠한 方略을 통해 전개되어 갔으며, 독립 이후 건설될 국가의 政體 또는 國體理念이 ...

      본고는 日帝가 韓國을 병탄한 1910년부터 3.1運動의 餘波가 이어지던 1919년 말까지 한국의 獨立運動이 어떠한 方略을 통해 전개되어 갔으며, 독립 이후 건설될 국가의 政體 또는 國體理念이 어떻게 변화하여 갔는가에 대하여 1910년대 獨立宣言書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고는 1910년대 독립선언서를 시기별로는 1910년∼3·1운동직전까지와 3·1운동부터 1919년 말까지로 나누고, 다시 3·1운동이후의 선언서는 지역별·계층별로 구분하였다. 그리하여 3·1운동 직전까지 발표되었던 선언서의 거의 전부인 聲明會宣言書와 大同團結宣言·大韓獨立宣言書와 3·1운동과 관련되는 선언서로서 각지의 독립운동을 대표하는 2·8獨立宣言書(日本 東京), 3·1獨立宣言書(國內), 朝鮮獨立宣言書(露領), 韓國議會宣言書(美洲) 외에 특정한 계층의 독립운동을 시사하는 獨立請願書(國內 儒林界), 老人同盟團宣言書와 대한독립녀자선언셔(露領 老人 및 女子), 大韓僧侶聯合會宣言書(國內 및 上海의 佛敎界) 등에 대하여 개별연구를 진행하였다.
      1910년 소위 「한일합병」을 전후하여 국내에서 활동하던 위정척사계열의 의병과 개화계열의 애국계몽운동은 각각 독립전쟁을 위해 해외로 근거지를 옮겨갔다. 그 과정에서 의병은 주로 露領地域에 집결, 노령한인사회와 연대하여 1910년 이전까지 지속하여 왔던 對日武力抗爭의 연장선상에서 즉각적인 應戰態勢에 들어갔던 데 비하여 實力養成을 통한 장기적인 안목에서의 독립전쟁론을 구상하고 있던 애국계몽운동은 간도지역에 신한촌을 건설하면서 교육사업에 주력하였다. 한편 국내에서는 일제의 무단 통치로 독립운동이 거의 불가능한 형편이었다.
      1910년 합병 직후 노령 블라디보스톡에서 발표된 성명회선언서는 의병이 중심이 되어 朝鮮의 유지를 전제로 한 합방의 무효를 주장하고 독립을 위해 무장투쟁할 것을 공표한 최초의 선언서이다. 이후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중국과 노령에서 독립운동은 침체기를 맞게 되었다. 일본의 세계대전 참전 이후 의병과 애국계몽운동계열이 연합하여 입헌군주제를 표방하고 전개하였던 신한혁명당의 운동이 독일의 패전으로 실패로 돌아가자 지속되는 독립운동계의 침체를 극복하고 새로운 이념의 제시를 위해 1917년 대동단결선언이 발표되었다. 이는 궁극적으로는 헌법의 제정을 통하여 국민주권과 평등을 보장하는 민주주의 독립국가 건설의 초석으로써 임시정부를 수립할 것에 대한 제의에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었다. 대동단결선언은 세계대전의 종결 이후 1919년 발표된 대한독립선언으로 구체화되었다. 대한독립선언은 장차 지향하는 독립이 근대적 민주주의 공화정체의 민족국가 수립과 직결되는 것임을 밝히고 무장투쟁에 의한 투쟁의 방식을 재확인하였다. 이는 이후 각지의 독립운동계에 자극을 주어 2·8, 3·1독립선언의 선구적 역할을 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임시정부 건국강령의 기본개념을 이루게 되었다.
      3·1독립선언서는 국내외의 3·1운동을 주도한 대표적인 선언서이나 방략적인 면에서는 이전까지의 선언서와 달리 비폭력 원칙을 주장하고 있었으며, 독립 이후 건설할 국가에 대하여서도 서명자들의 개별 신문 내용 등에서는 민주공화정체에 입각한 근대 민주주의 국가를 지향하고 있었음이 나타나지만 선언서에서는 구체적으로 언급되고 있지 않았다. 3·1운동의 확산과 함께 각지에서 선언서가 발표되었다. 그 가운데 노령의 대한국민의회가 발표한 조선독립선언서와 노인동맹단선언서, 대한독립녀자선언셔는 대한국민의회를 중심으로 하여 그 산하단체인 노인동맹단과 혼춘애국부인회가 각각 발표한 것으로 조직적인 노령지역의 항일무장투쟁을 시사한다. 한편 미주 한인의회선언서는 외교론에 입각하여 선전활동에 치중하였으며 국민주권을 실현하는 민주주의국가를 지향하고 있었다.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는 3·1운동 당시 불교계의 독립운동을 주도하였던 승려들이 임시정부와 국내 불교계를 연결하여 승려들로 구성된 독자적인 독립운동조직을 결성하고자 작성한 선언서이다.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는 임시정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역시 공화주의에 입각한 이념을 가진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외에 3·1독립선언서에 참여하지 못하였던 유림은 파리강화회의에 청원서를 제출하였다. 청원서를 통하여 유림은 국제사회에 한국의 문제를 제기하여 한국을 세계 가운데 一國으로 인식하며 각국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지향하는 세계관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1910년에서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기 직전까지는 선언서상에 준비론이나 외교론은 나타나지 않고 있었으며, 무장투쟁노선을 강경하게 주장하고 있었다. 1919년 3·1 독립선언서에서 비폭력주의가 제창된 이후 외교론이 우세하던 미주와 국내에서 외교론에 입각한 선언서가 나오기 시작하였으며, 동시에 청원서의 형식도 다수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외교론적·청원서적인 선언서는 일제의 문화통치로의 전환·파리강화회의 등에 영향받은 것이기도 하였다.
      1910년대 독립선언서에 나타난 정치의 이념은 전제군주제의 보전을 주장하던 의병의 격문으로부터 민주주의적 공화정체에 입각한 신국가건설론으로 이행하고 있는 과정을 반영한 것으로 여기에는 중국의 신해혁명이나 제1차 세계대전, 윌슨주의 등 국제 정세의 변화 등이 수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정작 민주공화정체를 지향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外因보다도 갑오개혁 이후 독립협회를 거쳐 신민회까지 이르는 동안 애국계몽 운동 계열안에서 발전하여온 내재적인 이념의 변화에 연결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1910년대의 독립선언서는 방략적인 면에서는 의병계열의 무장투쟁노선을 직접적으로 계승하고, 정치이념의 면은 점진적으로 국제정세의 변화에 발맞추어 조선후기 애국계몽운동으로부터 이어지는 민주공화정체 이념을 지향하여 대동단결선언·대한독립선언서에서 무장투쟁과 주권재민의 이념과 방략을 합일화하기에 이른 것이다. 3·1독립선언서는 방략적인 면에서는 그 이전까지의 선언서와 대별된다고 할 수 있으나, 일제의 소위 무단통치하에 놓여있던 국내의 사정을 반영한 최선의 방책이었다. 그러므로 3·1독립운동을 하나의 분수령으로 볼 때 이후 여러 가지 이념의 분화로 말미암아 독립운동의 노선에도 여러 갈래가 형성된 것에 비한다면, 1910년에서 1918년까지의 독립운동은 단일한 민족주의 노선안에서 의병운동계열이나 애국계몽운동계열에 궁극적으로는 무장투쟁의 방략을 선택하였다는 점에서 합치되어 독립 이후의 정치이념에 대하여서도 점진적인 합일을 이루어낸 과정이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laying stress on 1910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hrough what policy the Konean independence movement had developed form 1910 when Japan devoured Korea to the end of 1919 when the aftermath of the Independence Mov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laying stress on 1910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hrough what policy the Konean independence movement had developed form 1910 when Japan devoured Korea to the end of 1919 when the aftermath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continuing, to what direction the ideology of political and national systems to be founded after Independence were to change. This study divided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nto periods from 1910 to just before Independence Movement, and into regions and classes after Independence Movement Thus, this study individually proceeded to study nearly all the declarations before the Independence Movement, Declarations of Sung Myong Hoi, Union and Korean Independence all region Independence movements representing declarations, 2.8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okyo, Japan), 3.1 Declaration of Independence (Domestic), Declaration of Che Sun Independence (Russia), Declaration of Korean National Assembly (America), the special class independence movement suggesting a Petition of Independence (Domestic Confucians' Society), Declaration of The Old Union, Declaration of Korean Women (The old and women in Russia) and Declaration of Korean Priest Association (Domestic and Shang Hai Buddistic Society)
      In 1910, before and after the so-called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domestic protection of justice and exclusion of injustice, loyal troops and civilization line, and the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moved their bases to overseas for the independence war. In that process, loyal troops mainly gathered in the Russian region jointly cooperated with the Korean society at Russia, immediately started to fight back on the extension line of armed resistance to Japan up to 1910, while independence war-planning the patriotism enlightenment movement with a long-term perspective through training force laid stress on educational projects constructing new a Korean village in the Kan Do region. On the other hand, the domestic independence movement was almost impossible because of the Japanese military government.
      The loyal troops led the Declaration of Sung Myong Hoi which was announced in Vladivostok, Russia immediately after 1910 annexation. This is the first declaration that maintained the nullity of annexation assumed by Cho Sun's upkeep and armed fight for independence. Then, owing to the outbreak of World War I,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and Russia faced a downward trend. The movement of the Shin Han Revolution Party developed a standing for constitutional monarchy through union of loyal troops and the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line after Japan's participation in the World War ended in a failure because of Germany's defeat. On 1917, Union Declaration was announced to end the steady depress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line and suggest a new ideology. This aimed at suggesting the establishment of a provisional government as the foundation of the construction of a Constitution The Union Declaration was materialized by the Decl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in 1919 after the world war. Union Declaration clarified that future independence was directly connec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state with a modem democratic republic government and reassured the fighting method by the armed resistance. This declaration stimulated all the independence movement lines, played a leading role of the 2.8, and the 3.1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in addition, formed the basic concept of having general principles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3.1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as the major declaration leadi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3.1 movement, but in the respect of policy, maintained the nonviolent principle differently from those before, the intention for the state to be founded after independence be set up modern as a democratic state based on democratic republic government, was nor concretely mentioned. With the expansion of the 3.1 movement, declarations were pronounced throughout the country. Among them, the Declaration of Cho Sun Independence, Declaration of The Old Union, Declaration of Korean Women announced by the Korean National Convention, the Old Union and Hon Choon Patriotic Women Society, the contents of which suggest the systematic armed fight to Japan in Russia On the other hand, the Declaration of Korean Convention in America put value on propaganda activity based on diplomatic theory, and intended to set up a democratic state realizing national sovereignty. The Declaration of the Korean Priest Association is the declaration written by priests lead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Buddhistic line to form by connecting provisional government and domestic Buddhistic society, the separate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 consisting of priest.
      The Declaration of Korea Priest Association was interpreted as support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as well as having an ideology based on republicanism Besides, Confucians having not participated in 3.1 movement, submitted a petition to the Paris Peace Conference. Confucians showed the change of outlook on the world by recognizing Korea as part of the world and by working towards having friendly relationships with all countries. From 1910 to just before the 3.1 movement in 1919, declarations did not show preparatory or diplomatic theories, but strongly maintained the armed resistance line. After the nonviolent principle in the 3.1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as proposed and diplomatic theory became predominant in America and at home, more declarations based on diplomatic theory began to came out, along with different forms of petition. These diplomatic and petition-based declarations were influenced by Japan's conversion to cultural government, the Paris Peace Conference, and various other events.
      The political ideology appeared in 1910'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reflected the changing from the loyal troops' maintenance for absolute monarchy upkeep to a new state construction theory based on a republican government was accepted and resembled the change that took place during China's Shin Hae Revolution, World War I and Wilsonism. However, the intention for a real democratic republic government is connected not so much with these external factors as to the change in internal ideology that resulted from the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movement from the Kap Oh Reform though the Independence Association to Shin Min Hoi.
      Thus, 1910'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as followed by the loyal troops line spirit of armed resistance in respect of policy, and the change of intemational condition, changed toward the ideology supporting a democratic republic government that developed from the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movement in the end of Cho Sun, and after all unified the ideology and policy of armed resistance and national sovereignty as seen in the Declarations of Union and Korean Independence with respect to political ideology. The 3.1 Declaration of Independence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declarations with respect of policy, but it was the best plan reflecting the domestic condition caused from the so-called military government of Japan. Thus, when seeing 3.1 independence Movement as one of watershed and comparing it to the cours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t formed because of a division of various ideologies, the independence movement form 1910 to 1918 was in accord with this declaration since the loyal troops movement line, the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movement line ultimately selected the policy of armed resistance under an uniform nationalistic line, and it can be said that this declaration played a part in the gradual unification leading to the post-independence political ideolog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第1章 序論 = 1
      • 第1節 問題提起와 硏究現況 = 1
      • 第2節 硏究範圍와 硏究方法 = 5
      • 第2章 聲明會宣言書의 理念과 思想 = 16
      • 목차
      • 第1章 序論 = 1
      • 第1節 問題提起와 硏究現況 = 1
      • 第2節 硏究範圍와 硏究方法 = 5
      • 第2章 聲明會宣言書의 理念과 思想 = 16
      • 第1節 聲明會宣言의 背景 = 16
      • 第2節 聲明會宣言書의 理念 = 22
      • 1. 日帝의 韓國侵略 暴露 = 23
      • 2. 日帝侵略의 對應策 = 25
      • 3. 國際社會에 日本의 韓國合倂에 대하여 반대할 것을 요청 = 26
      • 第3節 宣言書의 署名者 = 26
      • 第3章 大同團結宣言과 大韓獨立宣言書의 理念과 思想 = 42
      • 第1節 宣言書의 背景 = 42
      • 第2節 宣言書의 理念과 思想 = 51
      • 1. 大同團結宣言 = 51
      • 2. 大韓獨立宣言書 = 54
      • 第3節 聲明會宣言書와 大同團結宣言·大韓獨立宣言書와의 脈絡 = 59
      • 第4章 3·1 獨立宣言書와 3·1運動 = 62
      • 第1節 3·1獨立宣言書의 背景 = 63
      • 1. 國內의 狀況 = 63
      • 2. 2·8獨立宣言書와 3·1獨立宣言書와의 脈絡 = 65
      • 第2節 3·1獨立宣言書의 成立過程 = 72
      • 第3節 民族代表의 參與와 그 役割 = 79
      • 1. 天道敎系 = 80
      • 2. 基督敎系 = 86
      • (1) 長老敎 = 86
      • (2) 監理敎 = 91
      • 3. 佛敎系 = 92
      • 第4節 宣言書의 理念 = 99
      • 第5章 獨立請願書와 儒林界의 活動 = 107
      • 第1節 3·1運動과 儒林 = 107
      • 第2節 獨立請願書 作成·發表의 經緯 = 111
      • 1. 郭鍾錫 等의 獨立請願書 = 111
      • 2. 金允植·李容植의 獨立請願書 = 114
      • 第3節 獨立請願書의 內容 = 117
      • 1. 郭鍾錫 等의 獨立請願書 = 117
      • 2. 金允植·李容植의 獨立請願書 = 121
      • 第6章 朝鮮獨立宣言書와 大韓國民議會 = 124
      • 第1節 大韓國民議會 成立以前의 露領 韓人社會 = 124
      • 1. 露領 韓人社會의 特徵 = 124
      • 2. 大韓國民議會의 成立과 獨立運動 = 127
      • (1) 全露韓族代表者會 = 128
      • (2) 全露韓族會中央總會 = 130
      • (3) 大韓國民議會 = 132
      • 第2節 大韓國民議會 宣言書의 理念과 思想 = 136
      • 1. 니코리스크에서의 『朝鮮獨立宣言』 = 137
      • (1) 宣言의 經過 = 137
      • (2) 宣言書의 署名者 = 138
      • (3) 宣言書의 內容 = 147
      • 2. 琿春에서의 『宣言書』 = 143
      • (1) 宣言의 經過 = 144
      • (2) 宣言書의 內容 = 147
      • 3. 블라디보스톡에서의 『宣言書』 = 153
      • (1) 宣言書의 內容 = 155
      • 4. 宣言書의 比較 = 158
      • 第7章 老人同盟團宣言書와 대한독립녀자선언셔 = 159
      • 第1節 老人同盟團宣言書 = 159
      • 1. 老人同盟團의 組織과 活動 = 159
      • 2. 宣言書의 內容 = 166
      • 第2節 대한독립녀자선언셔 = 170
      • 1. 대한독립녀자선언셔의 背景 = 171
      • 2. 宣言書의 內容 = 174
      • 第8章 韓國議會宣言書의 理念과 思想 = 178
      • 第1節 大韓人國民會와 韓國議會의 聯關性 = 179
      • 1. 美洲 韓人들의 團體結成 = 179
      • 2. 大韓人國民會의 布告文 = 180
      • 3. 韓國議會의 開催 = 183
      • 第2節 韓國議會宣言書의 內容 = 191
      • 第3節 韓國議會宣言書 이후의 활동 = 202
      • 第9章 大韓僧侶聯合會宣言書와 臨時政府 = 205
      • 第1節 3·1運動과 佛敎界 = 206
      • 第2節 大韓僧侶聯合會宣言書 作成의 經緯 = 213
      • 第3節 大韓僧侶聯合會宣言書와 臨時義勇僧軍憲制의 內容 = 220
      • 1. 大韓僧侶聯合會宣言書의 內容 = 220
      • 2. 臨時義勇僧軍憲制와 大韓民國臨時政府 臨時官制의 對比 = 223
      • 第10章 結論 = 231
      • 參考文獻 = 237
      • <附錄 1> 獨立宣言書 原文 = 249
      • <附錄 2> 獨立宣言書 一覽表 = 287
      • ABSTRACT = 3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