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접후치밀질(PSD)의 분자조성은 아직 대체로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연접후치밀질 단백질들을 효율적으로 SDS-겔에서부터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837211
2002
English
ANTI ; electroelution ; PSD ; protein sequencing ; SDS-PACE
KCI등재
학술저널
555-560(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접후치밀질(PSD)의 분자조성은 아직 대체로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연접후치밀질 단백질들을 효율적으로 SDS-겔에서부터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
연접후치밀질(PSD)의 분자조성은 아직 대체로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연접후치밀질 단백질들을 효율적으로 SDS-겔에서부터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연접후치밀질의 1% n-octyl glucoside에 용해되지 않는 분핵에 존재하는 31kDa크기의 단백직(PSD31로 명명)을 SDS-겔로부터 분리하고, trypsin 처리하여 생성되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하였다. PSD31의 아미노산 서열은 adenine nucleotide translocator 1(ANT1)과 매우 상동성이 높았다. 연접후치밀질에 ANT1이 존재함은 신경조직의 세포외 공간에 adenosine nucleotide를 유리할 수 있는 기구가 연접에 존재함을 시사한다.
녹두(Vigna radiata L.) Trypsin Inhibitor의 정제 및 약물학적 특성
미생물제재 처리에 의한 토양 미생물상의 변화 및 배추와 토마토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