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육교사를 위한 영아급사증후군 예방교육의 효과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623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사에게 영아급사증후군 예방 교육을 적용하여 영아급사증후군 예방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 실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영아급사증후군 예방교육 프로그...

      본 연구는 보육교사에게 영아급사증후군 예방 교육을 적용하여 영아급사증후군 예방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 실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영아급사증후군 예방교육 프로그램은 영아급사증후군 위험요인, 물리적 환경관리, 응급처치 세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영아급사증후군 예방의 교육매체로 영아급사증후군 예방 교육 교재 및 동영상, 강의용 파워포인트 슬라이드를 개발하였다. 영아급사증후군 예방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보육교사 35명에게 2회에 걸쳐 총 6시간 동영상을 활용한 강의와 실습교육을 제공한 후, 교육을 제공하지 않은 대조군 40명과 영아급사증후군 예방에 대한 지식과 자기효능감, 실천정도를 비교하였다. 교육 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영아급사증후군 예방에 대한 지식(t = -2.051, p< .05), 자기효능감(t = -2.644, p < .001), 실천(t = -2.279, p < .05)정도가 높아져 영아급사증후군 예방 교육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보육교사를 위한 영아급사증후군 예방은 추후 보육교사를 위한 영아건강관련 직무교육 및 보수교육을 위한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며, 추후 어린이집에서의 영아급사증후군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Sudden Infant Death Syndrome(SIDS) targeting child care teachers on the levels of knowledge, self-efficacy, and practice of SIDS. The SIDS prevention 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Sudden Infant Death Syndrome(SIDS) targeting child care teachers on the levels of knowledge, self-efficacy, and practice of SIDS. The SIDS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was composed of three domains: the risk factors of SIDS, physical environment management, and first aid. Educational media modules developed in this study included educational materials, videos, and power point slides for the SIDS prevention education. The education program was provided twice for a total of 6 hours for the experimental group (n =35), while no education was provided for the control group (n = 40). After taking part in the education program, the levels of knowledge (t =-2.051, p < .05), self-efficacy (t =-2.644, p <.001) and practice (t =-2.279, p <.05) of SIDS preven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teach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education program for SIDS prevention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is effective in increasing knowledge of and skills for SIDS prevention. Therefore, this education program for SIDS prevention can be utilized as a training course for in-service education to reduce SIDS occurrences at child care cent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경무, "한국인의 영아급사증후군과 사인불명소아급사의 위험인자와 빈도" 연세대학교 2010

      2 윤현희, "학부모의 건강지식, 건강행위 및 건강지도 행위와 아동의 건강행위와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 김일옥, "학령전아동을 위한 호흡기전염병 예방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9

      4 박정숙, "표준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용 비디오를 이용한 실습교육이 간호사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6 (16): 301-311, 2010

      5 김문성, "자기효능감의 결정요인과 산출물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2 (12): 5-34, 2010

      6 Anderson, J., "인지심리학과 그 응용"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2

      7 서울남부지방법원, "우리법원 주요판결 2009가합 15740"

      8 최미진, "어린이집 하루일과에서 나타나는만3,4,5세 유아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13 (13): 117-141, 2013

      9 송경섭, "어린이집 유형별 시간연장 보육서비스 실태 및 보육교직원의 인식과 요구 - 서울, 경기 중심으로 -" 한국보육학회 13 (13): 25-45, 2013

      10 보건복지부, "어린이집 보육교직원 안전교육"

      1 양경무, "한국인의 영아급사증후군과 사인불명소아급사의 위험인자와 빈도" 연세대학교 2010

      2 윤현희, "학부모의 건강지식, 건강행위 및 건강지도 행위와 아동의 건강행위와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 김일옥, "학령전아동을 위한 호흡기전염병 예방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9

      4 박정숙, "표준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용 비디오를 이용한 실습교육이 간호사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6 (16): 301-311, 2010

      5 김문성, "자기효능감의 결정요인과 산출물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2 (12): 5-34, 2010

      6 Anderson, J., "인지심리학과 그 응용"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2

      7 서울남부지방법원, "우리법원 주요판결 2009가합 15740"

      8 최미진, "어린이집 하루일과에서 나타나는만3,4,5세 유아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13 (13): 117-141, 2013

      9 송경섭, "어린이집 유형별 시간연장 보육서비스 실태 및 보육교직원의 인식과 요구 - 서울, 경기 중심으로 -" 한국보육학회 13 (13): 25-45, 2013

      10 보건복지부, "어린이집 보육교직원 안전교육"

      11 대한소아과학회, "어린이집 건강관리 매뉴얼"

      12 안효섭, "소아과학" 대한교과서 2009

      13 오가실, "보육시설 아동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보육교사의 지식, 자신감, 실천" 한국아동간호학회 14 (14): 155-162, 2008

      14 김일옥, "보육교사의 영아급사증후군 예방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 및 실천" 한국보육학회 13 (13): 95-116, 2013

      15 김일옥, "보육교사의 영아 건강관리 실태 및 교육 요구 조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99-120, 2012

      16 김일옥, "보육교사의 감염병 예방 관리실태 및 교육 요구 조사" 한국보육학회 14 (14): 23-50, 2014

      17 박현정, "보육교사를 위한 영아 건강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8 김일옥, "보육교사 대상의 영아 심폐소생술 현장교정교육의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508-517, 2013

      19 양은영, "보육교사 대상 영유아 건강관리 교육의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3648-3657, 2014

      20 보건복지부,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자료"

      21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통계연보"

      22 최윤정, "그림동화책 읽어주기와 토의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추론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23 Hockenberry, M. J., "Wong’s nursing care of infants and children" Elsevier Mosby Press 2011

      24 Colvin, J. D., "Sleep environment risks for younger and older infants" 134 (134): 406-412, 2014

      25 서금택, "SIDS 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을 위한 사례 분석 연구"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9 (9): 151-162, 2012

      26 Grazel, R., "Implementation of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recommendations to reduce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risk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 An evaluation of nursing knowledge and practice" 10 (10): 332-342, 2010

      27 Blair, P. S.,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in infants :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Child Care" 28 : 49-54, 2002

      28 Burd, L., "Efficacy of a SIDS risk factor education methodology at a native american and caucasian site" 11 (11): 365-371, 2007

      29 Rasinski, K. A., "Effect of a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risk reduction education program on risk factor compliance and information sources in primarily black urban communities" 111 (111): 347-354, 2003

      30 Willinger, M., "Defining the sudden infant death syndrome(SIDS) : Deliberations of an expert panel conven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11 (11): 677-684, 1991

      31 Price, S. K., "Changing hospital newborn nursery practice : Results from a statewide"Back to Sleep"nurses training program" 12 (12): 363-371, 2008

      32 Ostfeld, B. M., "An inner-city school-based program to promote early awareness of risk factors for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37 (37): 339-341, 2005

      33 Powell, E. C., "Adjusting our view of injury risk : The burden of nonfatal injuries in infancy" 110 (110): 792-796, 2002

      34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AP expands guidelines for infant sleep safety and SIDS risk reduc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1 1.6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3 1.7 1.654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