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3-5세 유아를 위한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교사용 참고 자료인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의 지속가능한 생활양식 활동내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062339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29(25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3-5세 유아를 위한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교사용 참고 자료인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의 지속가능한 생활양식 활동내용...
본 연구는 3-5세 유아를 위한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교사용 참고 자료인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의 지속가능한 생활양식 활동내용을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용 지도서에 포함된 활동은 전반적으로 경제범주와 사회 범주에 속한 활동이 많았고 상대적으로 환경 범주의 활동은 적었다. 지속가능발전교육과정에서는 사회, 환경, 경제의 조화가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누리과정 주요영역별 분석 결과 사회관계영역에 활동이 편중되어 있었고, 셋째, 활동영역(유형)별 분석 결과 역할놀이영역에 치우쳐 있어 다양한 교수방법 및 전 영역을 통한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추후 유네스코에서 제안한 다른 주제나 우리나라의 로컬 이슈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유아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적용가능성과 실천방안 등을 모색해보는 것을 후속 연구로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eacher’s manual of Nuri Curriculum for 3 to 5 year olds’ ‘and ’Day Care Program based on Nuri curriculum of 5 year old’ focusing on sustainable lifestyl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eacher’s manual of Nuri Curriculum for 3 to 5 year olds’ ‘and ’Day Care Program based on Nuri curriculum of 5 year old’ focusing on sustainable lifestyl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ies in teacher’s manual of Nuri Curriculum mainly focus on economy and society rather than environment. Since the balance among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areas is very important for environmentally sustainable development, the curriculum is needed to be revised in a more integrated way. Second, the activities emphasize soci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ous main learning areas of Nuri curriculum. Third,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role play area were ranked highest among the various types of activity. Therefore teaching method and learning areas for education in sustainable lifestyle need to be practiced in more various learning areas and activity types. The study suggested to find ways to implement th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lated to local issue for future research.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현영,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 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과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279-299, 2012
2 정기섭,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2 (2): 65-96, 2010
3 이금구, "제35회 유아교육학술대회 및 연수 자료집, 유아교사의 전문성 제고와 유아교육 현안" 한국전문대학유아교육과교수협의회․영유아교육학회 103-126, 2011
4 이부연, "전도식기 아동의 인성발달을 위한 생태미술교육프로그램 연구 -점토미술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예술교육학회 7 (7): 173-190, 2009
5 윤선영, "일상적 소비관련 문제해결활동이 유아의 소비개념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203-225, 2011
6 이선경,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을 위한 국가 추진전략 개발연구" 대통령자문지속가능발전위원회 2005
7 제미경, "유아의 경제개념에 따른 유아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소비문화학회 5 (5): 7-178, 2002
8 이영주, "유아용 그림책에 나타난 사회과학개념 분석"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6 (6): 1-20, 2007
9 김숙자, "유아 경제생활 교육의 방향 모색을 위한 선행연구 고찰: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한 경험학습 중심의 공동체적 유아 경제생활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기초 연구Ⅰ"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53-86, 2010
10 이윤진, "녹색성장시대 육아지원기관의 대응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1
1 정현영,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 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과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279-299, 2012
2 정기섭,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2 (2): 65-96, 2010
3 이금구, "제35회 유아교육학술대회 및 연수 자료집, 유아교사의 전문성 제고와 유아교육 현안" 한국전문대학유아교육과교수협의회․영유아교육학회 103-126, 2011
4 이부연, "전도식기 아동의 인성발달을 위한 생태미술교육프로그램 연구 -점토미술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예술교육학회 7 (7): 173-190, 2009
5 윤선영, "일상적 소비관련 문제해결활동이 유아의 소비개념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203-225, 2011
6 이선경,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을 위한 국가 추진전략 개발연구" 대통령자문지속가능발전위원회 2005
7 제미경, "유아의 경제개념에 따른 유아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소비문화학회 5 (5): 7-178, 2002
8 이영주, "유아용 그림책에 나타난 사회과학개념 분석"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6 (6): 1-20, 2007
9 김숙자, "유아 경제생활 교육의 방향 모색을 위한 선행연구 고찰: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한 경험학습 중심의 공동체적 유아 경제생활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기초 연구Ⅰ"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53-86, 2010
10 이윤진, "녹색성장시대 육아지원기관의 대응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1
11 이혜진, "그림책에 나타난 경제개념 분석 - 경제주체, 기본 경제개념, 경제적 의사결정을 중심으로 -"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105-134, 2006
12 이선경,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 세계회의」의 성과와 시사점" 한국환경교육학회 22 (22): 1-14, 2009
13 지옥정, "5세 누리과정 유치원 교사용 지도서와 어린이집 프로그램에 나타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물교육 활동내용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469-487, 2012
어머니 문지기 역할에 대한 부부의 인식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양육효능감의 관계
유아의 수줍음과 또래괴롭힘 피해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또래관계 관리전략의 조절효과
예비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1 | 1.61 | 1.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73 | 1.7 | 1.654 | 0.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