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증산사상의 불교 수용과 해석 = An Analysis and Acceptance of Buddhism in Jeungsan`s Ide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058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 신종교 개창자인 증산의 불교 수용에 대한 인식과 태도 그리고 후대의 변용에 대하여 재검토하고자 쓰여진 것이다. 흔히 한국 신종교사상의 특징 중 하나를 유불선 삼교의 통합이라고 한다. 그러나 한국 신종교의 발생과 관련하여는 개창자의 사유체계와 더불어 시대적 상황 또한 간과할 수 없는 요소이다. 다시 말하면, 한국신종교 개창자가 시대적 요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의 종교사상을 당시인들에게 어떻게 효과적으로 전달했는가 하는 점이다. 19세기말의 한국사회는 종교적 측면에서 민중의 안식처였던 유불선 삼교가 그 기능을 상실하고 민중에게 커다란 실망감을 주었던 시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산이 삼교(三敎)의 종교적 요소를 수용한 것은 그에 대응되는 종교적 당위성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사상을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한 첩경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유불선 삼교 가운데 특히 불교의 수용과 전개과정에 집중하여 논의하였다. 특히 증산이 시대인식을 통해 수용한 불교의 미륵사상이 당시 민중의 시대적 요청과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도 주목할 필요가 있었다. 나아가 증산 사후 증산을 따르던 종도들에 의해 창립된 증산계 교단들이 부각시킨 미륵사상은 일제 강점기의 종교정책과 상관관계가 있음도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증산의 불교 수용이 당대인식을 통한 민중들과의 그러므로 증산의 삼교수용 형태와 동기를 고찰하는 것은 증산 소통의 방편이며, 증산교단에 있어 후대의 불교적 전개 양상은 일제 강점기의 정치적 소산이라는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증산의 종교사상에 있어 불교는 그의 종교 사상을 전개하는 중요한 요소이나 증산사상의 본원(本源)은 아니다. 증산의 불교 수용은 민중을 향한 증산의 고뇌와 민중의 열망이 부합되어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러므로 증산의 종교사상을 이해함에 있어 유불선 삼교의 융합 이른바 ‘syncretism’에 입각한 해석은 그의 종교사상을 올바로 이해하는 태도라고 할 수 없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한국 신종교 개창자인 증산의 불교 수용에 대한 인식과 태도 그리고 후대의 변용에 대하여 재검토하고자 쓰여진 것이다. 흔히 한국 신종교사상의 특징 중 하나를 유불선 삼교의 ...

      본 논문은 한국 신종교 개창자인 증산의 불교 수용에 대한 인식과 태도 그리고 후대의 변용에 대하여 재검토하고자 쓰여진 것이다. 흔히 한국 신종교사상의 특징 중 하나를 유불선 삼교의 통합이라고 한다. 그러나 한국 신종교의 발생과 관련하여는 개창자의 사유체계와 더불어 시대적 상황 또한 간과할 수 없는 요소이다. 다시 말하면, 한국신종교 개창자가 시대적 요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의 종교사상을 당시인들에게 어떻게 효과적으로 전달했는가 하는 점이다. 19세기말의 한국사회는 종교적 측면에서 민중의 안식처였던 유불선 삼교가 그 기능을 상실하고 민중에게 커다란 실망감을 주었던 시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산이 삼교(三敎)의 종교적 요소를 수용한 것은 그에 대응되는 종교적 당위성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사상을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한 첩경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유불선 삼교 가운데 특히 불교의 수용과 전개과정에 집중하여 논의하였다. 특히 증산이 시대인식을 통해 수용한 불교의 미륵사상이 당시 민중의 시대적 요청과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도 주목할 필요가 있었다. 나아가 증산 사후 증산을 따르던 종도들에 의해 창립된 증산계 교단들이 부각시킨 미륵사상은 일제 강점기의 종교정책과 상관관계가 있음도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증산의 불교 수용이 당대인식을 통한 민중들과의 그러므로 증산의 삼교수용 형태와 동기를 고찰하는 것은 증산 소통의 방편이며, 증산교단에 있어 후대의 불교적 전개 양상은 일제 강점기의 정치적 소산이라는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증산의 종교사상에 있어 불교는 그의 종교 사상을 전개하는 중요한 요소이나 증산사상의 본원(本源)은 아니다. 증산의 불교 수용은 민중을 향한 증산의 고뇌와 민중의 열망이 부합되어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러므로 증산의 종교사상을 이해함에 있어 유불선 삼교의 융합 이른바 ‘syncretism’에 입각한 해석은 그의 종교사상을 올바로 이해하는 태도라고 할 수 없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will re-examine the understanding and attitude towards Buddhism, shown by the creator of Korean new-religion, `JeungSan`, and the transfiguration of it. People frequently say that (JeungSan`s religion) Korean new-religion`s distinct characteristic is the combination of three religions (Confucianism, Buddhism, Taoism.)However if one was to see this from another point of view, the system of though and circumstances of the time should not be overlooked. In other words, it is about how the creator took in the needs of the era, and how well he gave the message to the people of that time The end of 19th century was a time when the three religion, which used to be a mental shelter for people, lost their competence and the people who worshipped those three religion was deeply disappointed. The only reason why JeungSan used those three religion`s religious elements, even though they were falling apart, was because they still carri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ligion he needed. Therefore considering JeungSan`s motive and form of fusing the three religion would be a good way to understand JeungSan`s newly created religion in a more wide point of view. So this paper concentrated especially on the fusing of Buddhism to JeungSan`s idea, how it was done. To do that we must take note about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Maitreya ideology and the need of people at that time. Furthermore we looked into the fact that the Maitreya ideology, which was emphasized by the worshipers of JeungSan`s religion, after his death, has relationship with the religious policy which was carried out by Japanese at the time of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So I wish to say that the fusion of Buddhism to JeungSan`s religion, is a way to communicate with the people of that time, and that the Buddhism-ish way of JeungSan`s religion after JeungSan`s death is because of the Japan`s religious policy at the time of colonization. Thus meaning, in JeungSan`s religious point of view, Buddhism is not the `root` for JeungSan`s ideas, but a important `piece` for his ideas. The reason why JeungSan fused Buddhism was due to the consideration of JeungSan towards the people, and the people`s desire. Therefore when trying to understand JeungSan`s religious ideas, to interpret the fusion of three religion in a point of syncretism, is not a `right` way to understand his ideas of religion.
      번역하기

      This paper will re-examine the understanding and attitude towards Buddhism, shown by the creator of Korean new-religion, `JeungSan`, and the transfiguration of it. People frequently say that (JeungSan`s religion) Korean new-religion`s distinct charact...

      This paper will re-examine the understanding and attitude towards Buddhism, shown by the creator of Korean new-religion, `JeungSan`, and the transfiguration of it. People frequently say that (JeungSan`s religion) Korean new-religion`s distinct characteristic is the combination of three religions (Confucianism, Buddhism, Taoism.)However if one was to see this from another point of view, the system of though and circumstances of the time should not be overlooked. In other words, it is about how the creator took in the needs of the era, and how well he gave the message to the people of that time The end of 19th century was a time when the three religion, which used to be a mental shelter for people, lost their competence and the people who worshipped those three religion was deeply disappointed. The only reason why JeungSan used those three religion`s religious elements, even though they were falling apart, was because they still carri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ligion he needed. Therefore considering JeungSan`s motive and form of fusing the three religion would be a good way to understand JeungSan`s newly created religion in a more wide point of view. So this paper concentrated especially on the fusing of Buddhism to JeungSan`s idea, how it was done. To do that we must take note about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Maitreya ideology and the need of people at that time. Furthermore we looked into the fact that the Maitreya ideology, which was emphasized by the worshipers of JeungSan`s religion, after his death, has relationship with the religious policy which was carried out by Japanese at the time of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So I wish to say that the fusion of Buddhism to JeungSan`s religion, is a way to communicate with the people of that time, and that the Buddhism-ish way of JeungSan`s religion after JeungSan`s death is because of the Japan`s religious policy at the time of colonization. Thus meaning, in JeungSan`s religious point of view, Buddhism is not the `root` for JeungSan`s ideas, but a important `piece` for his ideas. The reason why JeungSan fused Buddhism was due to the consideration of JeungSan towards the people, and the people`s desire. Therefore when trying to understand JeungSan`s religious ideas, to interpret the fusion of three religion in a point of syncretism, is not a `right` way to understand his ideas of relig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