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장년의 외모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의 영향 관계와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중장년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50...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00658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7-45(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장년의 외모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의 영향 관계와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중장년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50...
본 연구는 중장년의 외모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의 영향 관계와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중장년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50세~64세의 중장년으로 자료수집은 수도권(서울, 경기)을 중심으로 2021년 8월 15일부터 10일간에 걸쳐 온·오프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다. 분석을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 WIN 25.0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PROCESS MACRO Model Number 4,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중장년의 외모 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모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는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장년의 삶의 만족도 증진에 있어 외모 만족도와 대인관계를 높일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people by ve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people by ve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middle-aged people aged 50 to 64,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and offline surveys for 10 days from August 15, 2021, focusing on the metropolitan are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PROCESS MACRO Model Number 4, and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using statistical programs SPSS WIN 25.0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the middle-aged had a positive (+)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that can increase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improving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people.
대학생의 우울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
원직복귀 산업재해 근로자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각된 과잉자격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감정소진과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