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OVID-19 이후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자기효능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Abilit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since COVID-1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006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지능과 자기효능의 병렬다중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 130명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2023년 7월 24일부터 8월 1일까지 수집되었으며, SPSS/WIN 2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PROCESS macro model 4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인관계능력은 정서지능, 대학생활적응, 자기효능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적응에 총효과(B=0.48, p <.001)가 유의하였고, 정서지능(B=0.20, 95% bootstrap CI=0.06~0.36)과 자기효능(B=0.17, 95% bootstrap CI=0.05~0.31)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증진을 돕는 프로그램 개발에 정서지능과 자기효능을 함께 증진할 수 있는 다양한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지능과 자기효능의 병렬다중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대학 간호대학...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지능과 자기효능의 병렬다중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 130명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2023년 7월 24일부터 8월 1일까지 수집되었으며, SPSS/WIN 2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PROCESS macro model 4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인관계능력은 정서지능, 대학생활적응, 자기효능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적응에 총효과(B=0.48, p <.001)가 유의하였고, 정서지능(B=0.20, 95% bootstrap CI=0.06~0.36)과 자기효능(B=0.17, 95% bootstrap CI=0.05~0.31)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증진을 돕는 프로그램 개발에 정서지능과 자기효능을 함께 증진할 수 있는 다양한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interpersonal ability on college lif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and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0 nursing students at a college. Data were collected from 24 July to 1 August 2023,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PROCESS macro model 4 using SPSS/WIN 27.0. As a result of the study, interpersonal 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college life adjustment and self-efficacy. Interpersonal ability had a significant total effect(B=0.48, p <.001) on college life adjus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B=0.20, 95% bootstrap CI=0.06~0.36) and self-efficacy(B=0.17, 95% bootstrap CI=0.05~0.31) was also significant.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d research various training programs that can enha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together in developing programs to help nursing students improve their college life adjustment.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interpersonal ability on college lif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and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0 nursing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interpersonal ability on college lif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and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0 nursing students at a college. Data were collected from 24 July to 1 August 2023,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PROCESS macro model 4 using SPSS/WIN 27.0. As a result of the study, interpersonal 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college life adjustment and self-efficacy. Interpersonal ability had a significant total effect(B=0.48, p <.001) on college life adjus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B=0.20, 95% bootstrap CI=0.06~0.36) and self-efficacy(B=0.17, 95% bootstrap CI=0.05~0.31) was also significant.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d research various training programs that can enha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together in developing programs to help nursing students improve their college life adjust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현우, "조직구성원의 감성지능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2 오인수, "일반적 자기효능감: 개념, 측정관련 이슈와 인적자원관리 측면의 시사점"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5 (15): 49-72, 2002

      3 김경아,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COVID-19 스트레스, 감성지능, 대인관계능력과 대학생활적응능력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24 (24): 520-530, 2023

      4 변은경 ; 김예진, "일 전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국제문화기술진흥원 8 (8): 521-528, 2022

      5 유미자,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감성지능(EQ), 자존감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280-290, 2018

      6 이희영, "양육 행동과 대학생활적응 : 문화성향의 중재 효과"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337-355, 2008

      7 김화선 ; 조경아 ; 노인숙,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관련 영향요인" 인문사회 21 10 (10): 1067-1078, 2019

      8 오현수 ; 김현영, "감성지능을 중심으로한 간호대학신입생의 대인관계 훈련프로그램의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소 19 (19): 15-22, 2013

      9 우미영 ; 배현지 ; 홍성정, "간호학생의 감성지능, 대인관계 유능성이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한국융합학회 11 (11): 401-408, 2020

      10 백명 ; 장금성, "간호사를 위한 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41 (41): 57-66, 2016

      1 정현우, "조직구성원의 감성지능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2 오인수, "일반적 자기효능감: 개념, 측정관련 이슈와 인적자원관리 측면의 시사점"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5 (15): 49-72, 2002

      3 김경아,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COVID-19 스트레스, 감성지능, 대인관계능력과 대학생활적응능력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24 (24): 520-530, 2023

      4 변은경 ; 김예진, "일 전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국제문화기술진흥원 8 (8): 521-528, 2022

      5 유미자,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감성지능(EQ), 자존감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280-290, 2018

      6 이희영, "양육 행동과 대학생활적응 : 문화성향의 중재 효과"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337-355, 2008

      7 김화선 ; 조경아 ; 노인숙,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관련 영향요인" 인문사회 21 10 (10): 1067-1078, 2019

      8 오현수 ; 김현영, "감성지능을 중심으로한 간호대학신입생의 대인관계 훈련프로그램의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소 19 (19): 15-22, 2013

      9 우미영 ; 배현지 ; 홍성정, "간호학생의 감성지능, 대인관계 유능성이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한국융합학회 11 (11): 401-408, 2020

      10 백명 ; 장금성, "간호사를 위한 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41 (41): 57-66, 2016

      11 홍세훈, "간호대학생의 코로나(COVID-19)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고립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301-310, 2021

      12 최숙희,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대인관계능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148-156, 2018

      13 채명옥,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공감능력과 대인관계능력"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95-103, 2016

      14 심선숙 ; 방미란, "간호대학생의 인성, 대인관계,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634-642, 2016

      15 성지현, "간호대학생의 성평등의식, 진로정체감, 의사소통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22 (22): 2443-2456, 2020

      16 석소현 ; 신동수 ; 김귀분,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연구" 한국정신간호학회 15 (15): 475-481, 2006

      17 이광옥 ; 채현주,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대학생활적응 및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355-365, 2016

      18 이외선 ; 구미옥, "간호대학생을 위한 감성지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혼합연구 설계 적용" 한국간호과학회 44 (44): 682-696, 2014

      19 곽윤복 ; 김영화,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2 (12): 1905-1916, 2021

      20 이윤신 ; 박성희 ; 김종경, "간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대학생활 만족" 한국콘텐츠학회 14 (14): 229-240, 2014

      21 김흥규 ; 한순미, "가정환경의 건강성과 대학생의 정서지능 및 행복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17 (17): 121-161, 2011

      22 G. Chen, "Validation of a new general self-efficacy scale" 4 (4): 62-83, 2001

      23 S. Schle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71

      24 W. Q. Tang, "The impact mechanism of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lass network on adaptability : A multilevel mediation model" 38 (38): 618-624, 2015

      25 C. S. Wong,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13 (13): 243-274, 2002

      26 R. W. Baker,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1989

      27 Gardner, H., "Multiple intelligence: the theory in practice" Basic Books 1993

      28 E. H. Park.,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adaptation to college" Kyungil University 2014

      29 R. W. Baker,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31 (31): 179-189, 1984

      30 A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ublications 2013

      31 D. Goleman, "Emotional intelligence" Bantam Books 1995

      32 M. Barker, "Difficulties of overseas students in social and academic situations" 43 (43): 79-84, 1991

      33 안혜란 ; 이지영, "COVID-19 상황에서 간호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영향요인" 중소기업융합학회 11 (11): 34-45, 2021

      34 S. M. Moon, "A study on the effect of human relations training of university students" 19 (19): 195-204, 19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