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 가로시설물의 조형 요소와 선호도 간의 상관성 분석 =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Elements and Preference of Urban Street Furnit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77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로 시설물 디자인의 조형 요소와 가로경관 선호도 간의 상관성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일산 신도시의 가로 공간 내 입지하고 있는 휴식, 위생, 조명, 정보, 판매, 교통, ...

      본 연구는 가로 시설물 디자인의 조형 요소와 가로경관 선호도 간의 상관성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일산 신도시의 가로 공간 내 입지하고 있는 휴식, 위생, 조명, 정보, 판매, 교통, 조경 관련 다양한 가로시설물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가로시설물 관련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이론을 고찰하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결과를 고찰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로경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에서 '휴식시설'과 '정보시설', '조경시설' 등 3개 요소가 가로경관에 주요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은 '휴식', '조경', '정보' 시설 순으로 경관 선호도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휴식시설에는 각종 '의자 요소'가, 정보시설'에는 '사인보드'가, 조경시설에는 '조형물', '분수', '문주'등의 시설 요소가 경관 선호도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형태, 색채, 질감, 스케일 등 조형요소가 가로시설물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휴식시설인 의자는 '질감', '형태', '스케일', '색채'의 순으로 조형디자인 요소가 경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색채' 요소가 다른 3개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관 선호도에 적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의자 등 편의시설에서는 질감, 형태, 스케일 등 기능적인 사항이 색채 등 시각적 것보다 선호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었다. 조경시설 중 모뉴먼트와 관련된 시설은 경관 선호도에 있어 '색채', '형태', '질감', '스케일'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의자 등 편의시설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색채, 형태등 시각적 요소가 오히려 경관 선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셋째, 특히, 사인보드 등 정보시설에 있어 경관 선호도와 디자인의 조형 요소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부(否)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인보드가 경관 선호도에 매우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을 의미하고 있음인데, 디자인 조형요소와의 상관성은 '스케일', '색채', '질감'의 순으로 나타남으로써 '스케일' 즉 광고물의 '크기'와 '색채'가 경관 선호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가로 경관 요소로서 가로 시설물을 디자인하고자 할 경우, 시설물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한 조형 요소에 상대적으로 집중적 관심을 쏟아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로시설물을 분류함에 있어서 지금까지 교과서적으로 분류해 온 '기능' 중심의 '계' 차원의 분류체계는 경관성과 관련하여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경관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할 경우, '계'보다는 '시설 종류' 차원으로 분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analysis correlations between street furniture design elements and preference of street furniture. This research analyzed the various street furniture set on Ilsan new town street, which are rest, hygiene,...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analysis correlations between street furniture design elements and preference of street furniture. This research analyzed the various street furniture set on Ilsan new town street, which are rest, hygiene, light, information, sale, traffic, and landscape. This study has processed by analysing street furniture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consideration of theory. First, for analysed effect of street furniture element, has been appear as element 'relaxation facilities', 'information facilities', landscape facilities' mainly effect on street. Specially, 'rest', 'landscape', 'information' in order had a major influence on scenery. Each kind of 'chair elements' in rest facilities, 'sign board' in information facilities, 'sculpture', 'fountain' in 'landscape facilities' has analyzed as the main elements in the landscape affinity property affecting factor. Second, the results of analyzed landscape elements (shape, colour, texture, scale) affect to the affinity of street furniture. chair which are included in rest facilities affect "texture", "form", "scale", "color" in the order of preference of the molding design elements that influence landscape. Particularl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colour' element affecting the landscape preference than the other three elements. It means as the chair element which is rest facilities mainly affect on preferences, rather than texture, form, scale, colour. Monument in the landscape associated with a preference 'colour', 'shape', 'texture' 'scale' and appears to be in order of impact so we could get the consequence like chair and rest facilities show different aspects of the respectively. It means, visual element which are colour and shape significantly impact on landscape preferences. Third, information facilities such as signboard formative elements of landscape design preferences and correlation with negative showed that the correlation. That mean if the sign board is very negative influence on landscape preferences and the correlations of the design formative elements appear in order of 'scale', 'colour', 'texture'. It also means that the 'scale' namely the size of advertising material and colour are adversely affected in terms of landscape. As these results, when design street furniture as the street scenery, facilities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shape element and need to focus on relative shape element according to the kind of facilities difference. Finally, so far as to clarify the street furniture, mainly 'function' and 'system' classification shows undesirable in outdoor scape. Thus, performed studies in relationship with landscape, classify 'kind of facilities' is more desirable than 'syst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근영, "한국 미국 일본 초등미술교육의 환경디자인 내용 및 지도방법 비교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19 (19): 213-257, 2005

      2 허성철, "조형요소의 복합적인 인지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9 (9): 297-305, 2008

      3 이현아, "시각체제의 특정 속성과 조형요소의 관계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31 (31): 219-256, 2008

      4 민경택, "디자이너와 소비자의 조형요소 인지특성 비교" 한국감성과학회 12 (12): 97-108, 2009

      5 송대호, "도시가로경관의 선호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243-250, 2006

      6 박세연, "대규모 공동주거단지 내 어린이 놀이시설물의 변천 및 선진사례 비교 고찰 -1970년~2010년, 서울 및 수도권 신도시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0 (30): 113-122, 2011

      7 오도석, "건축실내공간을 구성하는 문양의 조형요소에 대한 영향 평가" 대한건축학회 22 (22): 143-150, 2006

      8 문정인, "가로시설물 실태조사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강릉시 걷고싶은거리 '금성로'를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12 (12): 205-216, 2011

      9 이재원, "가로공간의 활성화 인자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의 가로구성인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19 (19): 99-108, 2006

      10 Kwon, S. K, "Visual Design Foundation" Publication Mijinsa 1996

      1 김근영, "한국 미국 일본 초등미술교육의 환경디자인 내용 및 지도방법 비교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19 (19): 213-257, 2005

      2 허성철, "조형요소의 복합적인 인지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9 (9): 297-305, 2008

      3 이현아, "시각체제의 특정 속성과 조형요소의 관계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31 (31): 219-256, 2008

      4 민경택, "디자이너와 소비자의 조형요소 인지특성 비교" 한국감성과학회 12 (12): 97-108, 2009

      5 송대호, "도시가로경관의 선호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243-250, 2006

      6 박세연, "대규모 공동주거단지 내 어린이 놀이시설물의 변천 및 선진사례 비교 고찰 -1970년~2010년, 서울 및 수도권 신도시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0 (30): 113-122, 2011

      7 오도석, "건축실내공간을 구성하는 문양의 조형요소에 대한 영향 평가" 대한건축학회 22 (22): 143-150, 2006

      8 문정인, "가로시설물 실태조사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강릉시 걷고싶은거리 '금성로'를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12 (12): 205-216, 2011

      9 이재원, "가로공간의 활성화 인자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의 가로구성인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19 (19): 99-108, 2006

      10 Kwon, S. K, "Visual Design Foundation" Publication Mijinsa 1996

      11 Yun, M. H, "Understanding of the NewVisual Art" Publication Yekyong 2008

      12 Suh, J. Y, "Typological Analysis on the Facade of Commercial Buildings: Case Study of Jinju Newly Developed Distric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1

      13 Park, H. K, "The urban open space system and its use-behavior: A comparative study of Canberra with Jeonju" 1 : 36-, 1986

      14 Chung, W. P, "The factors of structural elements and principles in architectural design" 5 : 59-65, 1991

      15 Nistawa, T, "The Design of External Environment" Publication Kimoondang 1997

      16 Chang, K. C, "Study of Design Preference Factor on Street Furniture to Represent Indentity to Urban Gateway : Emphasis on Gate Way of Seoul and It's Adjacent Cities" Deagu University 2009

      17 Jung, M. W, "Outdoor space and landscape in city" 89-96, 1992

      18 Oh, C. R, "New understanding of the visual art" (9) : 53-80, 2003

      19 Kim, S. W, "Landscape Architecture Basic Design" Publication Kimoondang 2011

      20 Lee, H. T, "Landscape Architecture Aesthetics" Publication Taerim Culture 1997

      21 Seong, K. T, "Landscape Architecture Aesthetics" Hakmun Publishing, inc 1988

      22 Shinoha Osamu, "Landscape Analysis & Landscape Planning" Publication Naeha 2010

      23 Murgio, M. P, "Communications Graphics" Van Nostrand Reinhold Co 1969

      24 최임주, "CG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가로경관의 시지각적 평가에 관한 연구- 서면‘젊음의 거리’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19 (19): 101-110, 2003

      25 Kim, I. H, "Basic Design" Publication Mijinsa 2004

      26 Bang, S. H, "AGap Analysis between the Cities on the Design Process for the Street Improvement: Singapore, Stralsund and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5

      27 Song, D. H, "A study on the design considerations for urban street space related to architectural design factors analysis of the buildings on street" 16 (16): 59-66, 2000

      28 Kim, D. G, "A study on the amenity and the identity of street furniture in the space" (6) : 50-75, 2001

      29 Kim, J. G, "A study on analysis of preference of streetscape" 36 (36): 251-257, 2001

      30 Yoon, J. K, "A Study on the Landscape Design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gnition Approach in Urban Street" Dong-A University 2002

      31 Woo, Y. H, "A Study on the Arrangement of the Streetfurniture of the Streets in C.B.D"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5

      32 Park, S. T, "A Study on the Analysis of Street Landscape Factors by Street Improvement Cases in Korea"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1

      33 Kim, J, "A Study on Expanding the Power of Expressing Abstract Painting by Applying the Principles of Plastic Elements" Hongik University, 2003

      34 Ha, J. S, "A Study on Evaluation of Color Application of Pedestrian Space Street Furniture: Focused on the Urban Development for ‘Design Seoul Street'" Ulsan University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