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바수트라』 수행론에 대한 연구 -제 3 장 아나바우파야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요가학과 요가학전공 정 순 규 카쉬미르 쉬바파 성전 중 하나로 알려진 ??쉬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563668
익산 :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 요가학과 요가학 , 2014. 8
2014
한국어
전북특별자치도
p72 ; 26 cm
지도교수: 김미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쉬바수트라』 수행론에 대한 연구 -제 3 장 아나바우파야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요가학과 요가학전공 정 순 규 카쉬미르 쉬바파 성전 중 하나로 알려진 ??쉬바...
『쉬바수트라』 수행론에 대한 연구
-제 3 장 아나바우파야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요가학과 요가학전공
정 순 규
카쉬미르 쉬바파 성전 중 하나로 알려진 ??쉬바수트라??는 9세기 바수굽타에게 계시된 문헌으로 알려진다. 쉬바교 문헌이 본격적으로 성립된 것은 성전론 외에도 진동설과 재인식론 등 독자적인 주석서들로 발전되었다. 그 후 11세기 카쉬미르 철학자이자 수행자였던 아비나와굽타에 의해 일원론적 쉬바파 요가 수행의 핵심이 요약된 형이상학과 수행방편이 나타난다.
본 논문은 아비나와굽타의 상수제자인 크세마라자는가 자신의 주석서인『쉬바수트라성찰??에서 3 장의 수행체계에 상응하는 세 가지 방편인 샴브하바우파야, 샥타우파야, 아나바우파야를 다루었다. 이를 토대로 자이데바 싱이 영역한『쉬바수트라??를 저본으로 수행방편을 고찰하였다.
세 가지 수행방편들은 쉬바 본래의 의식이 가진 무한한 힘을 회복하는데 있다. ??쉬바수트라??에서는 그 의식의 힘을 회복한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수행방편을 제시한다. 이 세 가지 방편 중에서 신의 방편으로 해석되는 샴브하바우파야와 힘의 방편으로 해석되는 샥타우파야는 이미 수행이 진행된 수행자들에 적용되는 수행법이다. 그 가운데 아나바우파야는 개별적 존재의 방편으로 가장 많은 45게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쉬바의 본질에 합일하기 위한 수행의 방법으로 점진적인 수행방편을 제시한다. 특히 『말리니위자야??에서 나타난 5 가지 수행방편들은 일반적인 수행자들의 의식수준에 근거한 경험적인 자아를 넘어서는 수행 방편들이다.
??쉬바수트라??에서는 쉬바가 궁극적 실재로서 샥티의 에너지를 통해 세계를 36원리로 전개시켜 개별의식에 제한되어 속박되지만, 그러한 개별의식 또한 결국 본래의 쉬바임을 재인식함으로써 해탈은 쉬바브얍티에서 우주는 쉬바 그 자체 샥티의 장엄한 표현으로 나타난다.
반면 이원론인 상캬와 요가철학에서 해탈은 푸루샤가 프라크리티와의 분리된 존재의식 상태에서 지복이 존재하지 않는 자아(Self)이고 또한 불이일원론인 베단타철학에서 해탈은 덧씌워진 마야에서 회복된 브라흐만은 존재의식에서 지복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쉬바파 일원론의 성전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일원론 계시서인 ??쉬바수트라??에서는 궁극적 실재의 보편적 의식과 제한된 의식을 지닌 개인의 의식이 본래 다르지 않다는 의식의 관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the Theory of Practice in ?ivas?tra -focused on Chapter 3. ??avaup?ya- by Geoung sun kyu Major in Yoga Department of yoga Studies Graduate School of Oriental Studies Wonkwang University In this thesis, I have considered ?aiv...
A Study on the Theory of Practice in ?ivas?tra
-focused on Chapter 3. ??avaup?ya-
by Geoung sun kyu
Major in Yoga
Department of yoga Studies
Graduate School of Oriental Studies
Wonkwang University
In this thesis, I have considered ?aiva Monism in order to understand the foundation of the means of practices describing in ?ivaS?tra(?S). ?S is the compilation of the theory of practice traced in the monistic thought of the tantric practitioners. However, it disseminated the monism only as the revelation while ?aiva Monism was embodied through Spandak?rik? and Pratyabhijn?h?dayam.
?S reinterpreted the concept of Puru?a in S??khya philosophy and Brahman in Advaita Vedanta through the principle of 36 tattvas of revolving Universe. Here we will understand that the cause of pain which the phenomenal beings have consists in the limited conditions including M?y? that lose the natural power of the Self unlimited consciousness and then condense them into limited beings.
Therefore, the purpose of three means of practices explained in ?S recover the unlimited power which the original consciousness has had after free from those limited conditions. ?S presents the different means of practi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covering the power of that consciousness. Of the three means, ?ambh?vaup?ya and ?aktaup?ya are applied to the advanced practitioners.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 of ?aiva monism has been described in ?ambh?vaup?ya.
???vaup?ya, interpreted the means of individual beings in third chapter of ?S, is the means of practice that is free from ordinary, empirical self based on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general practitioners. M?lin?vijaya, one of the sacred text of Kashmir ?aivism, explains five means of practices about these up?yas in detail.
Of the 5 up?yas, the first one is ucc?ra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pr??a practices and has particular peculiarity. The technique of ucc?ra is related to the pr??adh?ra?? focused on the various aspects of pr??as. By concentrating on the various pr??as, we can experience various ?nandas. The second up?ya is kara?a practice which integrates the gross body, subtle body and causal body. It consists of the assimilated practice into the every object that the sense organs perceive, all of these are assimilated into Cit, the highest consciousness and Cit is perfectly established. The third up?ya is dhy?na, the method of meditation integrated Knower, consciousness and object. The fourth up?ya is var?a practice related to the subtle and indistinct sound coming from the heart. The last up?ya is sth?nakalpan?, external process of ???vaup?ya. Here are three sth?nas that is places. These three places are stated pr??a vayu, body and exterior body.
???vaup?ya, the means for individual being, has to lead to ?aktaup?ya and ?aktaup?ya has to lead finally to ?ambh?vaup?ya. Therefore to realize ?ambh?vaup?ya is to be a purpose of each up?ya. Ultimately each up?ya does not separate but affects each other and it is relevant to the method of eight limbs practice in classical yoga. Three up?yas described in ?S are the means of practices to obtain the liberation free from the limited conditions that veil the our own pure natures.
?S explains that the liberation is to free from the bondage and then recognize the ?iva. Pratyabhijn? means our true nature. When we have the consciousness of the Self, we recognize that our true nature are ?iva. Thus we can reach the conclusion that Mok?a is the awareness of our true nature.
Key Words
?aiva Monism, theory of practices, ???vaup?ya, consciousness, up?yas, pr??a, Mok?a, pratyabhijn?, ?iva.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