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토양/지하수에 오염된 PCE를 효과적인 생물학적 방법으로 분해하기 위하여 호기적 조건에서 PCE를 분해하는 균주를 순수분리 하였다. 경기도내의 PCE/TCE가 오염된 토양 및 지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677366
수원 : 경기대학교, 2009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대학원 , 생명공학과 미생물학전공 , 2009
2009
한국어
539.94 판사항(4)
628.55 판사항(21)
경기도
xii, 113장 : 삽화, 도표, 지도 ; 26 cm
참고문헌: 장 103-1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토양/지하수에 오염된 PCE를 효과적인 생물학적 방법으로 분해하기 위하여 호기적 조건에서 PCE를 분해하는 균주를 순수분리 하였다. 경기도내의 PCE/TCE가 오염된 토양 및 지하...
본 연구에서는 토양/지하수에 오염된 PCE를 효과적인 생물학적 방법으로 분해하기 위하여 호기적 조건에서 PCE를 분해하는 균주를 순수분리 하였다. 경기도내의 PCE/TCE가 오염된 토양 및 지하수로부터 총 438균주를 순수분리 하였으며 그 중 29균주가 toluene을 에너지원으로 분해하여 성장하였다. PCE분해 고효율 균주를 선정하기 위해 29균주를 이용한 스크린테스트(PCE 10 mg/L, toluene 50 mg/L)결과, PCH225균주가 15일 동안 PCE 10 mg/L를 72.5%분해하여 가장 높은 PCE분해효율을 보였다(초기 균 농도 1.0 g/L, pH 7, 30℃). PCH225는 형태학적 특징, 생리·생화학적 테스트, 16S rDNA염기서열분석, 지방산 분석 결과 Pseudomonas putida로 동정되었다. Pseudomonas putida PCH225에 의한 PCE분해 시 최적조건은 PCE 10 mg/L toluene 200 mg/L, pH 7, 30℃, 균농도 1.0 g/L(w/v)이었다. 최적조건 적용 하에 P. putida PCH225은 PCE 9.4 mg/L를 12일 동안 85%분해하였고 이때의 PCE분해율은 0.016 μmol/hr이었다. P. putida PCH225에 의한 PCE/TCE(10/10 mg/L)복합기질 분해 결과, PCE/TCE는 각각 27일 후 87.6, 86.3%분해되었다(toluene 50 mg/L, 초기 균 농도 1.0 g/L, pH 7, 30℃).
P. putida F1을 이용하여 P. putida PCH225와 동시에 PCE분해를 실험한 결과 두 균주 모두 PCE를 분해하였으며 이때 P. putida F1의 PCE분해율은 0.009 μmol/hr이었다(PCE 10 mg/L, toluene 50 mg/L, 초기 균 농도 1.0 g/L, pH 7, 30℃). Heat killed P. putida PCH225를 이용한 PCE분해 실험에서는 PCE의 분해를 확인할 수 없었다. P. putida PCH225에 의한 PCE가 분해되는 동안(0∼9일) dioxygenase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평균 3.07 CPS(count per second)/min의 효소활성을 확인하였다. PCE분해에 따른 P. putida PCH225의 성장패턴을 확인하기 위하여 두 조건(PCE+toluene, toluene)에서 P. putida PCH225의 OD600를 확인한 결과, PCE가 분해되는 동안 PCE+toluene조건에서는 toluene만 주입한 조건보다 OD가 더 빨리 감소하였다. 또한 PCE가 분해된 후 24일째에 두 조건의 생균수(CFU)를 비교한 결과 PCE+toluene 조건(2.6×106)에서는 toluene만 주입한 조건(5.0×107)보다 생균수가 약 19.2배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P. putida PCH225에 의해 12일 동안 7.0 mg/L의 PCE가 분해된 후, 배지에서의 염소이온 측정 결과 2.44 mg/L의 염소이온(Cl-)이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P. putida PCH225를 이용하여 PCE단일 기질분해 실험을 실시한 결과 총 17회의 반복실험(PCE 10 mg/L, 초기 균농도 5.0 g/L, pH 7, 30℃)중 8회의 실험에서 PCE가 분해되었고 이때의 PCE분해율은 평균 0.0038 μmol/hr이었고 PCE제거율은 0.114 μmol/mg-DCW/hr이었다. P. putida PCH225를 이용하여 호기적 조건의 토양에서 PCE분해를 확인하였으나 PCE는 분해되지 않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