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SCIE

      매미나방(Lymantria dispar L.) 혈구세포의 미세구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606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매미나방 (Lymantria dispar L.)의 유충을 재료로 투과전자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혈구의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매미나방의 혈구는 특징에 따라 4종류로 구분되었다. ...

      본 연구는 매미나방 (Lymantria dispar L.)의 유충을 재료로 투과전자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혈구의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매미나방의 혈구는 특징에 따라 4종류로 구분되었다. 원시혈구는 크기가 작으며 핵은 중앙에 위치하고, 세포질은 빽빽하게 밀집되어 전자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무정형혈구는 난형 또는 방추형으로 세포소기관이 발달되었고, 세포질돌기가 존재하였다. 과립혈구는 많은 과립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과립은 구조물이 없는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 구조물이 없는 전자밀도가 낮은 과립, 구조물이 있는 과립으로 구분되었다. 소구형혈구는 크기가 크며, 커다란 과립인 소구형으로 차 있다. 각 소구형은 섬유성 물질을 함유하고 전자밀도가 같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ltrastructure of the hemocytes in Lymantria dispar L. was studied using transmiss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 The 4 types of hemocytes were identified in the larval stage. Prohemocyte was small size which Nucleus was eccentric, and electron...

      Ultrastructure of the hemocytes in Lymantria dispar L. was studied using transmiss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 The 4 types of hemocytes were identified in the larval stage. Prohemocyte was small size which Nucleus was eccentric, and electron density of its cytoplasm was relatively high. Plasmatocyte were ovoid or elongated cells in which cell organeles well developed, this cell micropapilla. Granulocytes contained numerous granules which were identified 3 types ($\circled1$ structureless, electron-dense granules, $\circled2$ structureless, thinly granules, and $\circled3$ structure granules.). Spherulocytes as the large cells in which cytoplasm was compacted with spherules which contained filamentous material. The electron density of spherules appeared constan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