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공직 성비(性比) 변화에 따른 임용관련 인사제도의 실효성 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732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여성 공무원의 수가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공직 성비도 크게 변화하고 있다. 그런데 여성 공무원의 증가가 과연 과거 여성공무원 채용목표제나 현재의 양성평등채용목표제와 같은 균형인사제도의 직접적인 정책적 효과에 기인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양성평등채용목표제의 유지가 과연 필요한지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장기적으로 양성평등채용목표제를 폐지하되, 단기적으로는 양성평등채용목표제의 직렬별 차등 적용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한편, 승진에 있어서는 관리직 여성 공무원의 승진 비율이 여전히 낮은 수준이며, 5급 이상의 경우 여성의 승진 소요 연수가 남성에 비해 다소 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에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한시적으로 고위 관리직 여성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치의 필요성은 크다고 할 것이다.
      번역하기

      최근 여성 공무원의 수가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공직 성비도 크게 변화하고 있다. 그런데 여성 공무원의 증가가 과연 과거 여성공무원 채용목표제나 현재의 양성평등채용목표제와 같은 균...

      최근 여성 공무원의 수가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공직 성비도 크게 변화하고 있다. 그런데 여성 공무원의 증가가 과연 과거 여성공무원 채용목표제나 현재의 양성평등채용목표제와 같은 균형인사제도의 직접적인 정책적 효과에 기인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양성평등채용목표제의 유지가 과연 필요한지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장기적으로 양성평등채용목표제를 폐지하되, 단기적으로는 양성평등채용목표제의 직렬별 차등 적용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한편, 승진에 있어서는 관리직 여성 공무원의 승진 비율이 여전히 낮은 수준이며, 5급 이상의 경우 여성의 승진 소요 연수가 남성에 비해 다소 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에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한시적으로 고위 관리직 여성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치의 필요성은 크다고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공직 성비 변화 현황 분석
      • 1. 공무원 성비 변화 추이
      • 2. 신규채용 관련 성비 변화 추이
      • 요약
      • Ⅰ. 서론
      • Ⅱ. 공직 성비 변화 현황 분석
      • 1. 공무원 성비 변화 추이
      • 2. 신규채용 관련 성비 변화 추이
      • 3. 직급별 성비 변화 추이
      • Ⅲ. 공직 성비 변화 이후 임용 관련 인사 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
      • 1. 연구방법
      • 2. 공직 성비변화에 따른 임용 관련 인사제도의 현황 및 쟁점
      • Ⅳ. 공직 성비 변화에 따른 임용제도의 개선방안
      • 1. 양성평등채용목표제의 직렬별 차등 적용
      • 2. 한시적인 여성고위공무원 승진제도 도입과 성비균형을 고려한 인사위원회의 구성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시연, "행정기구 변화에 따른 관료의 업무수행변화에 관한 연구: 여성정책담당 중앙행정기구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2006

      2 최무현, "한국의 Affirmative Action 정책연구" 한국학술정보원 2004

      3 진종순, "참여정부 균형인사정책 성과평가 연구" 중앙인사위원회 2007

      4 김태현, "지속가능한 발전과 일가족 양립정책"

      5 김경희, "지방자치단체 여성정책과 예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2001

      6 권경득, "주요 외국의 Affirmative Action 연구 및 우리나라 인사정책에서의 발전방향" 중앙인사위원회 2004

      7 손영미, "일과 삶의 균형정책의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2006

      8 박상희, "여성채용목표제의 정책적 효과 분석: 공직 대표성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0 (40): 179-203, 2006

      9 김양희, "여성정책기본계획의 실효성 제고 방안 연구" 여성부 2001

      10 김선욱, "여성공무원의 인사정책방향" 중앙인사위원회 2000

      1 원시연, "행정기구 변화에 따른 관료의 업무수행변화에 관한 연구: 여성정책담당 중앙행정기구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2006

      2 최무현, "한국의 Affirmative Action 정책연구" 한국학술정보원 2004

      3 진종순, "참여정부 균형인사정책 성과평가 연구" 중앙인사위원회 2007

      4 김태현, "지속가능한 발전과 일가족 양립정책"

      5 김경희, "지방자치단체 여성정책과 예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2001

      6 권경득, "주요 외국의 Affirmative Action 연구 및 우리나라 인사정책에서의 발전방향" 중앙인사위원회 2004

      7 손영미, "일과 삶의 균형정책의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2006

      8 박상희, "여성채용목표제의 정책적 효과 분석: 공직 대표성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0 (40): 179-203, 2006

      9 김양희, "여성정책기본계획의 실효성 제고 방안 연구" 여성부 2001

      10 김선욱, "여성공무원의 인사정책방향" 중앙인사위원회 2000

      11 김영미, "여성공무원의 생애주기별 보직모형 탐색 : 가족생활 주기별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16 (16): 129-156, 2007

      12 진종순, "여성공무원 확대정책의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 2008

      13 홍미영, "여성공무원 채용목표제의 성과와 양성평등 채용목표제의 전망" 14 (14): 97-114, 2002

      14 김영미, "여성공무원 채용목표제에 관한 논의" 16 : 2-18, 2003

      15 김재기, "여성공무원 차별인식과 인사정책방향:관리직여성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4 (44): 127-153, 2006

      16 문미경, "양성평등 균형인사정책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실태조사 분석" 중앙인사위원회 2006

      17 서원석, "대표관료제와 여성채용목표제" 31-35, 2002

      18 오석홍, "대표관료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1994

      19 배득종, "관리직 여성공무원 육성을 위한 기관별 Target-Base 인력관리방안" 34 (34): 2000

      20 김판석, "관리직 여성공무원 육성을 위한 21가지 정책방안" 한국행정학회 2000

      21 최순영, "공직여성근로자의 근무여건 개선방안" 한국행정연구원 2007

      22 김영미, "공직에서의 여성: 여성공무원 대표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2000

      23 행정안전부, "공무원 인사실무"

      24 행정안전부, "공무원 사기진작 및 공직사회 활성화 방안 검토"

      25 이재호, "고위공무원단제도 평가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08

      26 Bardoel Anne E, "Work-family practices and accommodating work-family workplaces: a combined institutional and resource dependent theory explanation" Dept. of Management, Monash University 2001

      27 Diversity Dictionary, "University of Maryland Diversity Database"

      28 Bacchi,C.L, "The Politics of Affirmative Action" Sage 1996

      29 Dolan.Julie A, "Representative Bureaucracy in the Federal Executive: Gender and spending Priorities" 12 (12): 2002

      30 Claver, Enrique, "Public Administration: from Bureaucratic Culture to Citizen-Oriented Culture" 12 (12): 1999

      31 Glinsky,Ellen, "Dual-centric a new concept of work-life" famillies and work institute, boston college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