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유산에서 문화콘텐츠로 ― 유교문화원형의 현황과 활용 = From Cultural Heritage to Culture Content ―Present Situation and Utilization of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in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유교문화원형은 산업화사회를 거쳐 정보화사회로 진입한 20세기에는 문화유산으로서 소극적 복원과 보존의 대상이었지만, 문화지향사회로 진입하는 21세기에는 문화콘텐츠로 적극적인 향유와 활용의 주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교문화원형을 문화콘텐츠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유교문화원형의 개념과 범위를 제시하고 현황과 실태를 분석한 기반 위에서 유교문화원형의 바람직한 활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유교문화원형은 매체기반형 콘텐츠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으나, 전통문화의 매력과 잠재적 가능성이 높은 장소기반형+체험지향형 콘텐츠는 아직 충분히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유교문화원형의 디지털화에 기반을 둔 사업뿐만 아니라 유교문화가 살아있는 장소를 기반으로 삼은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존에 집중했던 의미 중심의 토대 위에 감성과 재미를 적절히 가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판단 위에서 유교문화원형의 문화콘텐츠 활용사업은 매체기반형 사업을 중심으로 공공 부문에서 유교문화원형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공적 기반을 구축하는 ‘유교문화 콘텐츠 기반조성사업’과 유교문화원형을 디지털 기반의 문화콘텐츠로 효율적으로 재구성하는 ‘유교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화와 체험형 프로그램 개발’의 핵심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발전시키는 한편, 콘텐츠 기획자‧생산자의 창조적 상상력이 콘텐츠 향유자/소비자의 개성적 취향과 문화적 수요를 창출할 수 있도록 ‘유교문화원형을 가공하여 활용하는 콘텐츠 개발’의 심화사업을 진행시킬 때 유교문화원형의 바람직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번역하기

      한국의 유교문화원형은 산업화사회를 거쳐 정보화사회로 진입한 20세기에는 문화유산으로서 소극적 복원과 보존의 대상이었지만, 문화지향사회로 진입하는 21세기에는 문화콘텐츠로 적극...

      한국의 유교문화원형은 산업화사회를 거쳐 정보화사회로 진입한 20세기에는 문화유산으로서 소극적 복원과 보존의 대상이었지만, 문화지향사회로 진입하는 21세기에는 문화콘텐츠로 적극적인 향유와 활용의 주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교문화원형을 문화콘텐츠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유교문화원형의 개념과 범위를 제시하고 현황과 실태를 분석한 기반 위에서 유교문화원형의 바람직한 활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유교문화원형은 매체기반형 콘텐츠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으나, 전통문화의 매력과 잠재적 가능성이 높은 장소기반형+체험지향형 콘텐츠는 아직 충분히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유교문화원형의 디지털화에 기반을 둔 사업뿐만 아니라 유교문화가 살아있는 장소를 기반으로 삼은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존에 집중했던 의미 중심의 토대 위에 감성과 재미를 적절히 가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판단 위에서 유교문화원형의 문화콘텐츠 활용사업은 매체기반형 사업을 중심으로 공공 부문에서 유교문화원형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공적 기반을 구축하는 ‘유교문화 콘텐츠 기반조성사업’과 유교문화원형을 디지털 기반의 문화콘텐츠로 효율적으로 재구성하는 ‘유교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화와 체험형 프로그램 개발’의 핵심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발전시키는 한편, 콘텐츠 기획자‧생산자의 창조적 상상력이 콘텐츠 향유자/소비자의 개성적 취향과 문화적 수요를 창출할 수 있도록 ‘유교문화원형을 가공하여 활용하는 콘텐츠 개발’의 심화사업을 진행시킬 때 유교문화원형의 바람직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twentieth century,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in Korea had been regarded as cultural heritages. In recent times, they have changed into culture contents. Therefore, peoples' attitudes to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have changed from passive preservation to active utilization. What is some desirable ways that utilize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actively? In order to, I clarify some concepts, categories, present situation, and some utilization patterns of confucian cultural archetypes and culture contents in Korea.
      In results, patterns of active utilization of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in Korea are as follows: 1) building infrastructure of confucian culture content, 2) digitalizing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by utilizing diverse multimedia platforms and development of experience programmes, and 3) various applications of culture content derived from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By this time, main stream of utilization of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in Korea has been some media-based contents, but We need to design and develope various place-based contents and experience-oriented contents actively in future.
      번역하기

      In the twentieth century,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in Korea had been regarded as cultural heritages. In recent times, they have changed into culture contents. Therefore, peoples' attitudes to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have changed from passive ...

      In the twentieth century,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in Korea had been regarded as cultural heritages. In recent times, they have changed into culture contents. Therefore, peoples' attitudes to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have changed from passive preservation to active utilization. What is some desirable ways that utilize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actively? In order to, I clarify some concepts, categories, present situation, and some utilization patterns of confucian cultural archetypes and culture contents in Korea.
      In results, patterns of active utilization of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in Korea are as follows: 1) building infrastructure of confucian culture content, 2) digitalizing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by utilizing diverse multimedia platforms and development of experience programmes, and 3) various applications of culture content derived from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By this time, main stream of utilization of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in Korea has been some media-based contents, but We need to design and develope various place-based contents and experience-oriented contents actively in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덕, "효문화와 콘텐츠" 경기문화재단 2004

      2 방정배, "한류와 문화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3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5 "한국족보자료시스템"

      6 문화관광부 종무관실, "한국의 종교현황" 문화관광부 2009

      7 "한국유교박물관"

      8 "한국선비문화수련원"

      9 강진갑, "한국문화유산과 가상현실" 북코리아 2007

      10 "한국국학진흥원"

      1 김기덕, "효문화와 콘텐츠" 경기문화재단 2004

      2 방정배, "한류와 문화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3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5 "한국족보자료시스템"

      6 문화관광부 종무관실, "한국의 종교현황" 문화관광부 2009

      7 "한국유교박물관"

      8 "한국선비문화수련원"

      9 강진갑, "한국문화유산과 가상현실" 북코리아 2007

      10 "한국국학진흥원"

      11 "한국고전번역원"

      12 "한국경학자료시스템"

      13 유동환, "한국 전통 문화유산 콘텐츠개발 현황과 과제" 한국국학진흥원 1 (1): 5-50, 2008

      14 "팸피아"

      15 "창덕궁"

      16 "창경궁"

      17 이남희, "지식정보화사업과 종교문화의 디지털콘텐츠화"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33 : 2006

      18 "종묘대제"

      19 "종묘"

      20 정정숙, "종교시설의 문화적 활용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21 이장열, "종교문화정책의 현황과 종교유산의 보존" 한국역사민속학회 (19) : 373-404, 2004

      22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종교문화원형 발굴 및 활용방안" 문화관광부 2008

      23 "유교문화관"

      24 "유교넷"

      25 "운현궁"

      26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27 "예문관"

      28 이경락, "안동유교문화 자원의 이용 및 개발방안" 경북대 행정대학원 2003

      29 "선비촌"

      30 "석전대제"

      31 "사이버유교박물관"

      32 "사이버 선비문화 가상 체험관"

      33 "뿌리공원"

      34 유동환, "불교문화콘텐츠의 산업적 활용 현황" 동국대 전자불전.문화재콘텐츠 연구소, 2006

      35 박종천, "불교문화콘텐츠 진흥전략과 과제"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문화부 2011

      36 이재수, "불교문화원형, 어떻게 발굴할 것인가" 한국정토학회 12 : 263-300, 2009

      37 이재수, "불교문화원형 활용 방향에 대한 연구" 불교문화연구원 (52) : 269-290, 2009

      38 배영동, "문화콘텐츠화 사업에서 ‘문화원형’의 함의와 한계" 인문콘텐츠학회 6 : 2005

      39 한국문화전략연구소·문화유산활용연구소, "문화재 유형별 활용 길라잡이 ―잠자는 문화재를 깨우는 방법 22가지!" 문화재청 2010

      40 황동열,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14 (14): -20, 2003

      41 함한희, "디지털 아카이브즈의 문제점과 방향- 문화원형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 17 (17): 23-42, 2006

      42 이정엽, "디지털 스토리텔링" 황금가지 2003

      43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

      44 "덕수궁"

      45 신광철, "기억의 환기, 재현, 재구축 ―도시(역사-문화) 박물관과 이미지트 루기" 한국영상문화학회 13 : 2008

      46 "국립중앙도서관 전자도서관"

      47 "국립고궁박물관"

      48 "경상대학교 문천각 남명학고문헌시스템"

      49 김성진, "경북북부 유교문화권 관광개발계획 중간평가 연" 문화관광부 2003

      50 "경북북부 유교문화권 관광개발계획" 문화관광부 2000

      51 "경복궁"

      52 "경기도 역사문화체험 가상현실 시스템"

      53 조관연, "가상박물관과 문화인류학: 경기문화재단의 ‘효 가상박물관’을 중심으로" 한국 문화인류학회 2003

      54 岩淵功一, "トランスナショナル ジャパン: アジアをつなぐポピュラ-文化" 岩波書店 2001

      55 (주)서영엔지니어링, "2020년 논산 도시기본계획"

      56 주강현, "100대 민족문화상징 활용 방안" 문화관광부 국어민족문화팀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8-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tudies Adancement Center ->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62 1.32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