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Jaspers의 실존조명과 함께 특히, 그의 교제(Kommunikation) 사상에서 전인교육의 교육적 의의를 찾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인간이란 때로 교제 속에서 이루어지는 타인과의 상호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582960
인천 :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학위논문(박사) --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2009. 2
2009
한국어
370.1 판사항(21)
인천
188p. ; 26cm
인하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의해 보호 받습니다.
지도교수:정영수
참고문헌 : p.174-18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Jaspers의 실존조명과 함께 특히, 그의 교제(Kommunikation) 사상에서 전인교육의 교육적 의의를 찾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인간이란 때로 교제 속에서 이루어지는 타인과의 상호소...
본 논문은 Jaspers의 실존조명과 함께 특히, 그의 교제(Kommunikation) 사상에서 전인교육의 교육적 의의를 찾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인간이란 때로 교제 속에서 이루어지는 타인과의 상호소통에서 자아가 분명해지며 상호만남의 순간에 일어나는 피할 수 없는 선택과 결단을 통하여 급격히 변화하고 성장한다는 것을 생각할 때에 Jaspers의 교제이론에서 인간교육의 교육철학적 가치를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Jaspers의 인간론을 포괄자로서의 인간, 한계상황에서의 인간, 가능적 실존으로서의 인간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그의 인간론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Jaspers는 실존이란 포괄자의 모든 양식에 생명을 부여하고 기반이 된다고 하였으며, 포괄자의 제 양식인 현존재, 의식일반, 정신, 실존, 세계와 초월자로부터 교제를 파악하였다. 모든 진리가 본래적으로 참되기 위해서는 친밀한 교제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Jaspers의 입장이다. Jaspers는 상호간 의식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공동체관계에 의해서만 우리는 비로소 우리들 자신이 될 수 있고 또한 개별자로서 홀로 있는 인간은 인간일 수 없다고 봄으로써 교제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Jaspers에 의하면, 우리의 현상적 객관적 존재 양식들, 즉 현존재, 의식 일반, 정신 등이 우리들의 현실 존재를 나타내는 데 반하여 실존은 우리가 그렇게 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실존은 이미 주어져 있는 현실로서가 아니라 가능성 또는 과제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Kierkegaard적인 실존은 神을 매개로 해서 자기 자신만의 실존을 중심주제로 삼는다. 그러나 Jaspers에게 있어서의 실존은 자기 자신의 존재뿐만 아니라 타자의 존재, 즉 타자의 실존을 염두에 두고 있다. 한계상황에서의 인간은 세계 내 존재일 뿐이라고 Jaspers는 생각했다. 인간은 세계에서 인식하고 세계와 이야기하고 세계와 관계하면서 인간존재는 대결하고 투쟁하는 이율배반적 관계를 가지게 된다. 우리는 언제나 우리의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불가피한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 인간은 죽음, 고뇌, 투쟁, 죄책 등의 한계상황 앞에서 자신의 한계성, 비본래성을 깨닫는 체험을 하게 되며, 한계의 저편에서 들려오는 초월자의 암호에 의해 인간의 한계성, 비본래성을 극복하여 초월자 앞으로 나아감으로써 실존으로 비약하게 된다.
둘째, 교제의 구조와 역할에 있어서는 현존재적 교제와 실존적 교제로 구분하여 자유와 한계상황에 있어서 어떤 기능을 가지고 이들과 관련되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Jaspers에 의하면 인간은 타자와 교제하는 존재이며, 자아의 형성은 타자와의 교제적 관계에 있어서 가능할 뿐이므로 교제는 실존개념만큼이나 그의 철학의 중심적인 개념이다. 가능적 실존으로서의 타자는 자아존재에 대하여 외적으로 나타나는 세계존재일 뿐 아니라, 이 외적 세계존재에 본래적으로 속하기 때문에 자아존재는 타자에 대한 상호관계 없이는 생각될 수 없다. Jaspers는 교제의 근거로서 실존, 사랑, 이성을 제시하였으며, 실존적 교제는 사랑과 이성에 의해서 적극적인 것이 된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Jaspers가 말하는 실존적 교제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고독, 동등한 인격적 만남, 사랑하면서의 투쟁(Liebender Kampf)이 필요하다. 고독한 존재로서의 실존은 다른 실존과의 교제를 실현함으로서만 실존적 요구가 만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교제는 역사적 결단에 있어서 고립된 자아존재를 지양하고 상호 창조를 통해 자아 존재를 획득하게 함으로써 자아실현을 이룩하게 한다.
셋째, 교제와 사회적 실존에 있어서는 교제, 이성적 실존과 사회적 실존, 사회적 실존의 존재양식, 교제의 사회적 기능과 관련하여 살펴보고 이를 고찰하였다. 실존적 교제 즉 진실한 인간 상호간의 관계는 서로에게 물음을 허용함으로써 나를 열어젖히고 상대방을 열어젖히는 개방의 과정이다. 사회적 실존은 삶의 실존적 조건의 성취를 위해 소통하는 실존, 현존재적 관계맺음의 방식을 비판하면서 실존적 관계맺음을 지향하는 실존으로서 현대사회가 요청하는 인간형이다. 여기에서는 인간의 단독성, 개별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공동체, 연대의 문제를 놓지 않아야 한다는 문제의식 하에 진정한 자기 자신임으로써 사회를 발전시키는 인간 즉 ‘나인 채로 사회속의 나’인 인간상에 관심을 둔다. 교제의 사회적 기능에서는 서로가 마음의 문을 열고 나눈 진실한 대화와 교제의 내적 행위가 이루질 때 이상적인 공동체가 실현되고, 인간들과의 교제와 神에 대한 신앙으로 실존으로서의 나를 만들어 갈 수 있다. 사회적 실존에게는 상대방이 현존재적 차원에서 행위 하더라도 사랑하면서의 투쟁 즉, 상대방의 발전을 독려하는 투쟁의 태도가 요구된다. 사회적 실존은 사회 안에서 사회를 넘어서는 인간형으로서 나임을 유지하면서도 사회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당하지 않고 현존재의 조건을 비판할 수 있는 인간형이다. 사회적 실존은 실존적 자각을 기반으로 한 사회비판을 할 수 있는 인간형이라는 면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넷째, Jaspers 교제 개념의 교육적 의미에서 실존적 교육의 개념, 교제의 교육적 방법, 교제의 교육적 적용, 교제의 교육적 의미 등을 분석 고찰하였다. 실존적 교육철학은 현대사회의 비인간적인 사회체제에 의해 소외되어진 인간성을 교육의 인간화룰 통해 자율적으로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전인적인 존재가 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다. 실존적 교육은 자기존재를 각지(覺知)시키고자하는 노력이며 교제를 통해서 가능한 것이며, 학생과 교사가 예속적 관계가 아닌 각자의 자유로운 근원에서 무조건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Jaspers의 교제 교육이란 실존적 교제의 특성들이 교육적인 상황 속에 반영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의 교제 개념에서 전인교육은 교육적 적용으로서의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인간은 그 본질에서 ‘교제 내 존재’(In-Kommunikation-Sein)이며 교제는 인간을 인간되게 하는 근본조건이다. 그에 의하면, 교제는 인간의 전반적인 본질일 뿐만 아니라 실존을 실존되게 하는 실존의 근원이다. 그리고 역사성의 개념과 함께 실존의 중요한 본질을 구성하는 요소이다. 어떤 형태의 교육이든지 교사와 학생 사이의 교제적 관계의 형성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교제의 교육적 의미로서 자아의 각성, 인격교육, 전인교육, 자아실현 등과 관련하여 교제를 분석하였다. 실존주의는 진정한 교육이란 인간과 인간과의 인격적인 만남의 계기를 통해서 성립된다고 본다. 실존적 교제의 교육적 의미는 전인적인 인간을 향한 성장으로 이해되며, 단지 내적인 것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인간과 연관되어 있는 삶의 모든 영역을 통합하는 과정에 초점을 둔다고 볼 수 있다. Jaspers의 교제 교육은 지적이고 영적인 것뿐만 아니라, 정서적이고 행위적인 것, 즉 인간의 전체 잠재력을 성장시키는 과정 모두에 관심을 둔다. 그러므로 Jaspers의 교제로서의 교육은 현대 문명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 방향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오늘의 우리 교육이 지식·기술 위주로 진행됨으로써 파생되고 있는 위기를 극복하고 전인교육을 향한 방향 전환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고 하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educational meaning of the whole person education in Jaspers' concept of existence, especially, his theory of communication. Human beings can establish their ego only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in the process of commun...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educational meaning of the whole person education in Jaspers' concept of existence, especially, his theory of communication. Human beings can establish their ego only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they grow and change drastically by inevitable choices and determination occurring in the moment of social interaction. So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value of Jaspers' theory of communication in education. Here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aspers' theory of human being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human beings as an embracer(das Umgreifende), human beings as functional existence, and human beings as critical situation. Jaspers said existence vitalize every aspect of an embracer which includes presence, general consciousness, spirit, existence, the world, and transcendence. It is also the fundamental factor of an embracer and Jaspers found communication from them. He thought we can be ourselves only through conscious reciprocal understanding in community. Human beings as a lonely individual cannot be human beings. According to Jaspers, our objective existence, that is, presence, general consciousness, spirit, represent our real presence but existence means that we have a possibility. In other words, existence means not our reality but possibility or a task. Kierkegaard's existence focuses on one's own existence through the medium of God. However, Jaspers' concept of existence consider others' existence as well as my own existence. Human beings live harmoniously in the world but at the same time, they struggle and conflict with others to create antinomy. Human beings always live with a possibility to face an inevitable situation beyond their abilities. They experience their limitation and unnaturalness such as death, agony, strife, guilt in a critical situation. Human beings can overcome their limitation and unnaturalness by the cipher of transcendence and it makes them approach the embracer that leads to the existence.
Second, the aspect of structure and role of communication, it can be divided into communication of presence and existential communication. Let's examine how they function in freedom and critical situation. According to Jaspers, human beings communicate with others. Formation of ego is possible only by the communication with others. Therefore we can say communication is the concept as important as existence. Others as possible existence represent world existence of ego so it is impossible to think of self without considering others. Jaspers suggested existence, love, and reason as evidence of communication. Love and reason make existential communication possible. In Jaspers' existential communication, solitude, equality, loving struggle is needed. Lonely existence of individual can be real existence only through communication with others. Communication helps isolated ego to achieve self-fulfillment.
Third, how reasonal existence, social existence and social beings are related to social existence and its relationship in the functional aspect of society is studied. Social existence is communicating existence pursuing existential relationship. It is the required existence in modern society. Without damaging independence, individuality, the idea of community and solidarity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In the social function of communication, when people open their hearts and communicate each other, ideal community will be realized and also,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religious belief toward God, people can fulfill themselves. Human beings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ociety that is, 'I' as a part of a society as well as 'I' as an individual. For social existence, even though others act as presence, they need loving struggle, that is, the struggle to encourage others' development. 'I' as a social existence is included in the society and exists beyond the society as well, criticizing the conditions of presence. Social existence has a meaning when they can criticize society on the base of existential realization.
Fourth, in the educational meaning of Jaspers' communication, the concept of existential education, how to apply to education and its application for communication, and the educational meaning are considered here. Existential education focuses on changing human beings who are isolated in the inhumane society into someone who has free will through education. Existential education is a way of letting others know of one's existence through communication. Existential education is performed based on one's own free origin. In education, Jaspers' communication tries to apply these characteristics of existential communication to the various educational situations. Educating people as a whole person is the key in his concept of communication. Human beings are the beings of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is the essence that makes humans real humans. According to him, communication is not only the essence of human beings but the root of existence. Therefore, in any forms of education, it is very importan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o form a communicational relationship. Awakening of ego, character building, whole person education, self-fulfillment in the educational communication are also analyzed here. True education in existentialism will be completed through serious meeting between persons. Educational meaning of commun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a way to a whole person, and it should focus on the process of unifying every aspect of life. Education in Jaspers' existential communication is concerned about emotional aspects as well as intellectual and spiritual aspects,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developing potential powers of human beings. Therefore, we can say that Jaspers' existential communication suggests a direction to how to overcome the crisis of modern society and to how to solve the problems derived from modern education which places priority on knowledge and technology and to how to change our education toward whole person edu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