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직업기초능력지도와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의 인과적 관계 =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School Climate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Key Competencies in Teaching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328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school climate,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key competencies in teaching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eaching key competencies of teacher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was 3.46, on the average value, not a high value. There were differences by teacher's age, homeroom, career education, position, and subject matter. Second, the fit index of causal model among teachers’ teaching key competencies, teacher efficacy, school climate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identified suitably. Third, teacher efficacy had positive influence to teaching key competencies and school climate. The factor loading for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not significant. Fourth, in a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key competencies and school climate, teacher efficacy,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a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key competencies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 efficacy had a negativ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school climate,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key competencies in teaching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The findings of 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school climate,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key competencies in teaching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eaching key competencies of teacher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was 3.46, on the average value, not a high value. There were differences by teacher's age, homeroom, career education, position, and subject matter. Second, the fit index of causal model among teachers’ teaching key competencies, teacher efficacy, school climate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identified suitably. Third, teacher efficacy had positive influence to teaching key competencies and school climate. The factor loading for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not significant. Fourth, in a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key competencies and school climate, teacher efficacy,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a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key competencies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 efficacy had a negativ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톡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직업기초능력지도와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교사의 직업기초능력지도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46점(표준편차 0.698)으로 중간 이상이었다. 직업기초능력 이해, 수업활용, 평가반영의 3개 직업기초능력지도 관찰변인 가운데, 이해수준이 가장 높고, 평가반영 수준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또한 교사들의 직업기초능력지도 수준은 교사의 연령, 담임여부, 직무교육여부, 직급, 담당교과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나 성별, 근속년수, 학력, 학교설립유형, 학교계열, 학교소재지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특성화고 교사의 직업기초능력지도와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특성화고 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풍토는 직업기초능력지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유의미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은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성립되지 않았다. 넷째, 특성화고 교사의 직업기초능력지도와 학교풍토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없었으며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직업기초능력지도와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부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톡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직업기초능력지도와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이 연구는 톡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직업기초능력지도와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교사의 직업기초능력지도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46점(표준편차 0.698)으로 중간 이상이었다. 직업기초능력 이해, 수업활용, 평가반영의 3개 직업기초능력지도 관찰변인 가운데, 이해수준이 가장 높고, 평가반영 수준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또한 교사들의 직업기초능력지도 수준은 교사의 연령, 담임여부, 직무교육여부, 직급, 담당교과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나 성별, 근속년수, 학력, 학교설립유형, 학교계열, 학교소재지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특성화고 교사의 직업기초능력지도와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특성화고 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풍토는 직업기초능력지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유의미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은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성립되지 않았다. 넷째, 특성화고 교사의 직업기초능력지도와 학교풍토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없었으며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직업기초능력지도와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부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변숙영, "학업중단 청소년의 직업기초능력 실태 및 지원방안" 교육연구소 17 (17): 283-302, 2011

      2 이혜란, "학교조직풍토와 교수몰입 간의 관계에서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671-691, 2011

      3 이윤식, "학교조직건강, 개인적 교사효능감, 집단적 교사효능감 및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541-564, 2012

      4 김미송,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소속 교사의 자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 11 (11): 119-144, 2012

      5 김창걸, "학교장의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분석" 교육연구소 11 : 189-230, 2005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7 강영혜, "특성화고등학교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8 김인곤, "특성화고등학교 취업지도 담당교사의 취업지도능력과 학교환경변인, 교사효능감 및 직무몰입의 관계" 서울대학교 2015

      9 조성웅,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변화몰입과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10 배광민, "특성화고등학교 NCS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직업기초능력 인식수준 분석: G공업고등학교 기계계열학과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소 27 (27): 133-158, 2017

      1 변숙영, "학업중단 청소년의 직업기초능력 실태 및 지원방안" 교육연구소 17 (17): 283-302, 2011

      2 이혜란, "학교조직풍토와 교수몰입 간의 관계에서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671-691, 2011

      3 이윤식, "학교조직건강, 개인적 교사효능감, 집단적 교사효능감 및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541-564, 2012

      4 김미송,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소속 교사의 자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 11 (11): 119-144, 2012

      5 김창걸, "학교장의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분석" 교육연구소 11 : 189-230, 2005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7 강영혜, "특성화고등학교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8 김인곤, "특성화고등학교 취업지도 담당교사의 취업지도능력과 학교환경변인, 교사효능감 및 직무몰입의 관계" 서울대학교 2015

      9 조성웅,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변화몰입과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10 배광민, "특성화고등학교 NCS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직업기초능력 인식수준 분석: G공업고등학교 기계계열학과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소 27 (27): 133-158, 2017

      11 임 언, "특성화고 보통교과 및 직업기초능력 제고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개선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12 정광우,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직업기초능력평가의 수리활용능력을 위한 교재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3 김경인, "특성화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과 자율성, 관심 및 헌신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4 이동훈, "초등학교의 조직풍토가 교사의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5 한재민, "초등학교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수석교사의 수업장학활동, 교사효능감, 교사의 수업전문성 간의 구조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407-432, 2013

      16 박소연,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한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의 관계" 9 : 27-49, 2012

      17 신은아,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11 (11): 85-103, 2004

      18 김아영, "초등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5-29, 2002

      19 곽영지,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0 최권, "초등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과 교수효과성 간 관계에서 집단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의 매개 효과 - 교직경력별 다중집단분석의 적용 -"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233-254, 2015

      21 정철영, "초․중등학교에서의 직업기초능력 강화 방안" 19 (19): 1-22, 2000

      22 이동임, "직업능력인증제 운영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23 이무근, "직업능력인증제 도입을 위한 정책 연구" 16 (16): 109-130, 1997

      24 박재현, "직업기초능력평가 화법 영역 개선 방안" 한국화법학회 (28) : 37-60, 2015

      25 정유진, "직업기초능력평가 의사소통 국어 문항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6 함승연,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이 마이스터고 및 특성화고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6 (26): 597-610, 2014

      27 함승연,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 평가틀에 대한 마이스터고 및 특성화고 교사와 산업체의 중요도와 타당도" 한국기술교육학회 4 (4): 1-20, 2014

      28 함승연,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 영역에 대한 마이스터고 및 특성화고 교사와 학생의 인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7 (27): 770-782, 2015

      29 하인영, "직업기초능력평가 ‘의사소통 국어’ 영역의 개선 방향 연구" 인하대학교 2015

      30 정철영,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31 이종범, "직업기초능력 수준별 성취기준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32 교육부, "직업기초능력 교수-학습자료 매뉴얼 활용 안내"

      33 이찬, "중등직업교육 단계에서 효과적인 직업기초능력 지도, 평가 및 활용을 위한 모형 개발" 한국직업교육학회 34 (34): 125-148, 2015

      34 최성우, "중등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교사효능감의 관련성" 교육공학연구소 6 (6): 24-44, 2012

      35 박동열, "전문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36 김진실,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 분석 -2007년도 서울대학교 농생대 중등교육연수원 연수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29-57, 2007

      37 김상돈, "임파워먼트와 교직헌신을 매개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이중 매개 효과 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20 (20): 95-122, 2013

      38 이종성, "실업계 고등학교의 직업기초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2

      39 정철영,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를 통한 직업기초능력의 교수학습방법과 평가방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7 (37): 1-24, 2005

      40 김기용,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 효과성과 교장 리더십, 학교 풍토 및 교사 교수활동의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7 (37): 57-72, 2005

      41 이기형, "상업정보계 고등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1 : 1-24, 2007

      42 이용환, "산업인력개발론" 교육과학사 2009

      43 함승연, "마이스터고 및 특성화고 교사와 산업체가 인식하는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 영역의 성과와 과제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7 (27): 948-962, 2015

      44 민상기, "마이스터고 교사의 변화몰입과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및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2 (42): 1-23, 2010

      45 이종성,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46 나승일, "기초직업능력표준 제도화 방안" 한국산업인력공단 2007

      47 나승일, "기초직업능력표준 제도화 방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161-188, 2008

      48 나승일, "기초직업능력의 영역 설정 및 표준 개발" 한국산업인력공단 2003

      49 나승일, "기초직업능력 자격화 추진 방안 연구" 대한상공회의소 2011

      50 이명훈, "기술과 교사의 직무수행과 관련 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51 함승연, "기술·가정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교수전략 분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8 (18): 61-83, 2012

      52 류지은, "국내 직업기초능력 연구동향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8 (48): 53-81, 2016

      53 정은영,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체제 개선 연구(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54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 19 (19): 161-177, 2000

      55 노종희, "교육행정가의 변혁지향적 리더십의 개발연구" 12 (12): 135-154, 1994

      56 변숙영, "교수·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Ⅰ)" 교육과학기술부 2008

      57 박정주, "교사공동체가 교사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191-211, 2011

      58 최연인,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 집단의 임파워먼트 및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5 (5): 1-24, 2006

      59 정병연, "교사 직무만족에 대한 교장 수업지도성, 학교풍토, 학교의사결정의 인과구조" 교육과학연구소 39 (39): 1-19, 2008

      60 김민웅,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의 직업기초능력평가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직업교육학회 34 (34): 151-171, 2015

      61 관계부처 합동,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방안" 2010

      62 李澤洙, "學校組織風土와 敎師의 職務遂行과의 관계연구"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 1990

      63 Chittom, S. A.,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ir perceptions of school climate" Mississippi State University 1990

      64 Stiles, 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in Gwinnett county schools" University of Georgia 1993

      65 Johnson, B.,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climate : A validity study of scores from the revised school level environment questionnaire" 67 (67): 833-844, 2007

      66 Tschannen-Moran, M., "Teacher efficiency : Capturing and elusive construct" 17 (17): 783-805, 2001

      67 Ashton, P. T., "Teacher efficiency :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iciency teacher education" 35 (35): 28-42, 1984

      68 Ashton, P. T., "Motivation and The Teachers’ Sence of efficacy" 2 : 141-174, 1985

      69 Burns, J. M., "Leadership" Harper & Row 1978

      70 Joreskog, K. G., "LISREL 8: User's reference guide"

      71 Moore, W. P., "Exploring the Context of Teacher Efficacy: The Role of Achievement and Climate"

      72 Ho, I. T., "Australian and chinese teacher efficacy : Similarities and differencesin personalinstruction, discipline, guidance efficacy and beliefs in external determinants" 20 : 313-323, 2004

      73 배병렬, "AMOS 17. 0 구조방정식모델링 : 원리와 실제" 청람 2009

      74 노국향, "2013년 직업기초능력평가 평가틀" 교육부, 대한상공회의소, ㈜HumanAssessment 연구소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5 1.25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7 0 1.563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