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중국 전통 이미지의 캐릭터 생성 연구 = A Study on Character Design Creation of Traditional Chinese Images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647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omotes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by designing cultural characters based on the Tang Dynasty "Flying Apsaras" from Dunhuang murals using the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GC) tool MidJourney v6.1. It addresses the challenges of monotonous dissemination methods and disconnection from younger generations by focusing on Generation Z, a key IP consumer group, to explore how AIGC can align with their modern aesthetic preferences and enhance cultural appeal. Research methods include case analysis to examine MidJourney's advantages, literature review to organize Dunhuang's visual elements, experimental design to create character images, and survey with SPSS data analysis to validate effectiveness. Results show that MidJourney effectively extracts Dunhuang mural elements, creating designs that blend traditional values with modern aesthetics while meeting Generation Z's preferences. However, cultural detail expression requires further optimization. The study highlights AIGC's potential to advance traditional culture preservation and dissemination through digital innov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promotes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by designing cultural characters based on the Tang Dynasty "Flying Apsaras" from Dunhuang murals using the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GC) tool MidJourney v6.1. It...

      This study promotes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by designing cultural characters based on the Tang Dynasty "Flying Apsaras" from Dunhuang murals using the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GC) tool MidJourney v6.1. It addresses the challenges of monotonous dissemination methods and disconnection from younger generations by focusing on Generation Z, a key IP consumer group, to explore how AIGC can align with their modern aesthetic preferences and enhance cultural appeal. Research methods include case analysis to examine MidJourney's advantages, literature review to organize Dunhuang's visual elements, experimental design to create character images, and survey with SPSS data analysis to validate effectiveness. Results show that MidJourney effectively extracts Dunhuang mural elements, creating designs that blend traditional values with modern aesthetics while meeting Generation Z's preferences. However, cultural detail expression requires further optimization. The study highlights AIGC's potential to advance traditional culture preservation and dissemination through digital innov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전통문화의 전파와 혁신적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생성형 인공지능(AIGC) 도구인 MidJourney v6.1 모델을 활용하여 둔황 벽화 당나라 '비천상'을 기반으로 문화 캐릭터를 디자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통문화의 전파 방식이 단조롭고 젊은 세대와 단절된 문제가 글로벌화와 디지털화의 배경에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본 연구는 Z세대라는 IP 소비 주력군을 핵심 대상으로 삼아, 생성형 인공지능이 Z세대의 현대적 미적 요구를 어떻게 충족시킬 수 있는지를 탐구하고, 이를 통해 전통문화의 전파력을 강화하며 매력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MidJourney 도구의 장점을 분석하는 사례 연구, 둔황의 시각적 요소를 정리하는 문헌 조사, 문화 캐릭터를 생성하는 실험 설계, 그리고 설문 조사와 SPSS 분석을 통해 디자인 효과와 전파 가능성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연구 결과, MidJourney는 둔황 벽화 요소를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전통적 가치와 현대적 시각적 미감을 겸비한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으며, Z세대의 미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적합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다만, 문화적 세부 표현에서는 디자이너의 추가적인 최적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AIGC 기술이 전통문화 캐릭터 디자인에서 가지는 잠재력을 입증하였으며, 디지털 재창조를 통해 전통문화의 계승과 전파를 촉진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국 전통문화의 전파와 혁신적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생성형 인공지능(AIGC) 도구인 MidJourney v6.1 모델을 활용하여 둔황 벽화 당나라 '비천상'을 기반으로 문화 캐릭터를 디자인하...

      본 연구는 중국 전통문화의 전파와 혁신적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생성형 인공지능(AIGC) 도구인 MidJourney v6.1 모델을 활용하여 둔황 벽화 당나라 '비천상'을 기반으로 문화 캐릭터를 디자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통문화의 전파 방식이 단조롭고 젊은 세대와 단절된 문제가 글로벌화와 디지털화의 배경에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본 연구는 Z세대라는 IP 소비 주력군을 핵심 대상으로 삼아, 생성형 인공지능이 Z세대의 현대적 미적 요구를 어떻게 충족시킬 수 있는지를 탐구하고, 이를 통해 전통문화의 전파력을 강화하며 매력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MidJourney 도구의 장점을 분석하는 사례 연구, 둔황의 시각적 요소를 정리하는 문헌 조사, 문화 캐릭터를 생성하는 실험 설계, 그리고 설문 조사와 SPSS 분석을 통해 디자인 효과와 전파 가능성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연구 결과, MidJourney는 둔황 벽화 요소를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전통적 가치와 현대적 시각적 미감을 겸비한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으며, Z세대의 미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적합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다만, 문화적 세부 표현에서는 디자이너의 추가적인 최적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AIGC 기술이 전통문화 캐릭터 디자인에서 가지는 잠재력을 입증하였으며, 디지털 재창조를 통해 전통문화의 계승과 전파를 촉진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