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삼불 수집 신재효 판소리 사설 자료집』의 기초 연구 = On Sam-Bul Kim’s Transcripts of Jae-Hyo Shin’s Pansori Wo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11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am-Bul Kim’s transcripts of Jae-Hyo Shin’s Pansori works include four Pansori works and other songs. Kim transcribed these works before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June 25, 1950), and his transcripts has been concealed due to the cold war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Pansori works included in these transcripts, such as “Chunhyang-ga (for a male singer),” “Jeokbyouk-ga,” and “Baktaryoung,” are new versions of Jae-Hyo Shin’s works. Furthermore, some songs by Jae-Hyo Shin included in these transcripts are made accessible for the first time ever.
      Sam-Bul Kim conducted comparative studies with these Pansori texts on copy paper. Furthermore, he annotated and analyzed the texts. His research demonstrates the trend of the pioneering days of Pansori studies.
      번역하기

      Sam-Bul Kim’s transcripts of Jae-Hyo Shin’s Pansori works include four Pansori works and other songs. Kim transcribed these works before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June 25, 1950), and his transcripts has been concealed due to the cold war bet...

      Sam-Bul Kim’s transcripts of Jae-Hyo Shin’s Pansori works include four Pansori works and other songs. Kim transcribed these works before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June 25, 1950), and his transcripts has been concealed due to the cold war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Pansori works included in these transcripts, such as “Chunhyang-ga (for a male singer),” “Jeokbyouk-ga,” and “Baktaryoung,” are new versions of Jae-Hyo Shin’s works. Furthermore, some songs by Jae-Hyo Shin included in these transcripts are made accessible for the first time ever.
      Sam-Bul Kim conducted comparative studies with these Pansori texts on copy paper. Furthermore, he annotated and analyzed the texts. His research demonstrates the trend of the pioneering days of Pansori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김삼불 수집 신재효 판소리 사설 자료집』은 김삼불(金三不)이 한국전쟁 전2~3년 동안 수집하고 검토한 자료 묶음으로, 그가 1950년 9월 말경에 북으로 가면서 이능우(李能雨)에게 맡겼던 것이다.
      이 자료집에는 <춘향가(남창)>(신만종본), <적벽가>(국문본)(신만종본), <적벽가>(국한문본)(청계본), <박타령>(국문본)(읍내본), 가사(歌辭) 2편, 단가(短 歌) 2편, <사설 방아타령>, 그리고 김삼불이 가람 이병기와 기획했던 『신재효전집』 표지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자료들은 모두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작품이거나 이본들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매우 크다.
      또한 김삼불이 이 판소리 사설들과의 대비 작업에 인용된 와촌본(瓦村本) <춘향가(남창)>, 성두본(星斗本) <박흥보가>(김영진소장), 와촌본 <놀보흥보가>, 신씨본(申氏本) <박타령> 등의 정보도 부분적인 자료라는 한계가 있으나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자료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또한 이 자료집은 신재효연구 제2세대의 대표적 연구자인 김삼불의 신재효연구 노트이기도 하다. 김삼불이 <춘향가>, <적벽가>, 그리고 <박타령> 등의 본문을 대상으로 한 이본 대비, 작품 분석, 주석 작업 등은 신재효연구 제2세대의 학문적 관심의 실체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연구사적 의의가 있다.
      나아가 이 자료집과 이 자료집에서 행한 김삼불의 작업은 신재효 자료에대한 원전(原典) 연구를 전반적으로, 그리고 세밀하게 할 필요가 있음을 촉구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김삼불 수집 신재효 판소리 사설 자료집』은 김삼불(金三不)이 한국전쟁 전2~3년 동안 수집하고 검토한 자료 묶음으로, 그가 1950년 9월 말경에 북으로 가면서 이능우(李能雨)에게 맡겼던 것...

      『김삼불 수집 신재효 판소리 사설 자료집』은 김삼불(金三不)이 한국전쟁 전2~3년 동안 수집하고 검토한 자료 묶음으로, 그가 1950년 9월 말경에 북으로 가면서 이능우(李能雨)에게 맡겼던 것이다.
      이 자료집에는 <춘향가(남창)>(신만종본), <적벽가>(국문본)(신만종본), <적벽가>(국한문본)(청계본), <박타령>(국문본)(읍내본), 가사(歌辭) 2편, 단가(短 歌) 2편, <사설 방아타령>, 그리고 김삼불이 가람 이병기와 기획했던 『신재효전집』 표지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자료들은 모두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작품이거나 이본들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매우 크다.
      또한 김삼불이 이 판소리 사설들과의 대비 작업에 인용된 와촌본(瓦村本) <춘향가(남창)>, 성두본(星斗本) <박흥보가>(김영진소장), 와촌본 <놀보흥보가>, 신씨본(申氏本) <박타령> 등의 정보도 부분적인 자료라는 한계가 있으나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자료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또한 이 자료집은 신재효연구 제2세대의 대표적 연구자인 김삼불의 신재효연구 노트이기도 하다. 김삼불이 <춘향가>, <적벽가>, 그리고 <박타령> 등의 본문을 대상으로 한 이본 대비, 작품 분석, 주석 작업 등은 신재효연구 제2세대의 학문적 관심의 실체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연구사적 의의가 있다.
      나아가 이 자료집과 이 자료집에서 행한 김삼불의 작업은 신재효 자료에대한 원전(原典) 연구를 전반적으로, 그리고 세밀하게 할 필요가 있음을 촉구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평산신씨대종회, "평산신씨대동보 (권3)" 회상사 1-1659, 1976

      2 유춘동, "월북 국문학자 김삼불(金三不)의 삶과 행적" 근대서지학회 (14) : 460-486, 2016

      3 이선유, "오가전집(五歌全集)" 대동인쇄소 1-196, 1933

      4 강한영, "신재효판소리전집"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29, 1969

      5 강한영, "신재효판소리사설집(全)" 민중서관 1-689, 1971

      6 김삼불, "신오위장연구서설" 판소리학회 (10) : 359-478, 1999

      7 송미경, "신오위장본집 소재 토끼타령에 드러난 변모양상과 의의" 판소리학회 (27) : 115-146, 2009

      8 이병기, "신오위장본집 (6책)"

      9 성무경, "신오위장 所作 <방아타령>의 형성층위와 ‘단잡가’" 한국시가학회 12 : 2002

      10 고창군 고창읍, "분배농지상환대장"

      1 평산신씨대종회, "평산신씨대동보 (권3)" 회상사 1-1659, 1976

      2 유춘동, "월북 국문학자 김삼불(金三不)의 삶과 행적" 근대서지학회 (14) : 460-486, 2016

      3 이선유, "오가전집(五歌全集)" 대동인쇄소 1-196, 1933

      4 강한영, "신재효판소리전집"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29, 1969

      5 강한영, "신재효판소리사설집(全)" 민중서관 1-689, 1971

      6 김삼불, "신오위장연구서설" 판소리학회 (10) : 359-478, 1999

      7 송미경, "신오위장본집 소재 토끼타령에 드러난 변모양상과 의의" 판소리학회 (27) : 115-146, 2009

      8 이병기, "신오위장본집 (6책)"

      9 성무경, "신오위장 所作 <방아타령>의 형성층위와 ‘단잡가’" 한국시가학회 12 : 2002

      10 고창군 고창읍, "분배농지상환대장"

      11 김삼불, "배비장전・옹고집전" 국제문화관 1-111, 1950

      12 고창군 판소리박물관, "동리 신재효 유품 도록"

      13 윤광봉, "김삼불과 신재효 사설 -한국연희예술사에서 그의 위치를 살피며-" 판소리학회 (45) : 403-435, 2018

      14 "김삼불 수집 신재효 판소리 사설 자료집"

      15 이병기, "가루지기타령" 국제문화관 1-72, 1949

      16 이병기, "가람일기 (2)" 신구문화사 1-766, 1976

      17 "<춘향가(남창)> (국한문본) (청계본) (고창 판소리박물관 소장)"

      18 "<춘향가(남창)> (국한문본) (성두본) (고창 판소리박물관 소장)"

      19 "<춘향가(남창)> (국문본) (성두본) (고창 판소리박물관 소장)"

      20 "<적벽가> (국한문본) (청계본) (고창 판소리박물관 소장)"

      21 "<적벽가> (국한문본) (성두본) (고창 판소리박물관 소장)"

      22 "<적벽가> (국문본) (읍내본) (고창 판소리박물관 소장)"

      23 "<적벽가> (국문본) (성두본) (고창 판소리박물관 소장)"

      24 "<심청가> (단편) (고창 판소리박물관 소장)"

      25 "<박흥부전> (국문본) (와촌본) (고창문화원소장)"

      26 "<박흥보가> (국한문본) (성두본) (고창 판소리박물관 소장)"

      27 "<박타령> (국한문본) (청계본) (고창 판소리박물관 소장)"

      28 "<박타령> (국문본) (읍내본) (고창 판소리박물관 소장)"

      29 "<박가라> (국문본) (성두본) (고창 판소리박물관 소장)"

      30 강한영, "(판소리사설) 춘향가 : 남창・동창" 신고전사 1-318, 195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Pansori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536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