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품관점의 특허지능 시스템을 위한 특허의 대상제품 인지 방법 = An Approach to Recognizing Target Products of Patents for Product-level Patent Intelligence Syst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749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patent has its intended target products, and thus, identifying target products of patents could become a basis for product-level pa-tent intelligence systems that analyze firm’s competititive intelligence and developmental stages for multiple products. As part of de-veloping technology opportunity discovery system of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this study proposes models for patent-product connection recognition. Based on the occurrences of product names in patent text, this study identifies prod-uct-IPC distribution vectors and patent-IPC distribution vectors. Then, we define patent-product connection recognition models, using similarities between pairs of patent and product IPC distributions and applying some recognition rules. As a result of performance tests, our proposed models showed a dramatic improvement in recognizing patents’ target products, compared to an existing recogni-tion model. We expect that our approach, as the initial work to computationally recognize patents’ target products, will be a corner-stone for other later product-level patent intelligence systems and studies.
      번역하기

      A patent has its intended target products, and thus, identifying target products of patents could become a basis for product-level pa-tent intelligence systems that analyze firm’s competititive intelligence and developmental stages for multiple prod...

      A patent has its intended target products, and thus, identifying target products of patents could become a basis for product-level pa-tent intelligence systems that analyze firm’s competititive intelligence and developmental stages for multiple products. As part of de-veloping technology opportunity discovery system of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this study proposes models for patent-product connection recognition. Based on the occurrences of product names in patent text, this study identifies prod-uct-IPC distribution vectors and patent-IPC distribution vectors. Then, we define patent-product connection recognition models, using similarities between pairs of patent and product IPC distributions and applying some recognition rules. As a result of performance tests, our proposed models showed a dramatic improvement in recognizing patents’ target products, compared to an existing recogni-tion model. We expect that our approach, as the initial work to computationally recognize patents’ target products, will be a corner-stone for other later product-level patent intelligence systems and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특허는 일반적으로 적용대상 제품을 지니며, 따라서 특허가 적용대상으로 삼고 있는 제품들을 인지하는 것은 다양한 제품에 대한 발전분석 및 기업간 경쟁분석과 같은 제품관점의 특허지능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반이 될 것이다. 세계 최초의 제품 기반의 특허지능 시스템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기술기회발굴 시스템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특허-제품 대상관계 인지 모형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특허문서 내에 존재하는 제품명들의 출현정보를 기반으로 제품의 IPC(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분포 벡터와 특허의 IPC 분포 벡터를 추출한 후, 제품과 특허의 IPC 분포 벡터 간의 유사도 및 판별규칙을 활용하는 특허-제품 대상관계 인지모형을 제시하고 표본특허들을 활용하여 제시된 모형들의 판별성능을 분석한다. 성능분석 결과, 제품명의 단순출현정보에 기반한 기존 특허-제품 대상관계 인지모형에 비해, 제시된 절차를 통해 개발된 네 가지 모형들의 성능이 획기적으로 높음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특허의 대상제품을 인지하는 모형을 최초로 제시했다는 의의를 지니며, 향후 제품수준의 특허지능 시스템에 관한 연구의 기반이 될 것이다.
      번역하기

      특허는 일반적으로 적용대상 제품을 지니며, 따라서 특허가 적용대상으로 삼고 있는 제품들을 인지하는 것은 다양한 제품에 대한 발전분석 및 기업간 경쟁분석과 같은 제품관점의 특허지능...

      특허는 일반적으로 적용대상 제품을 지니며, 따라서 특허가 적용대상으로 삼고 있는 제품들을 인지하는 것은 다양한 제품에 대한 발전분석 및 기업간 경쟁분석과 같은 제품관점의 특허지능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반이 될 것이다. 세계 최초의 제품 기반의 특허지능 시스템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기술기회발굴 시스템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특허-제품 대상관계 인지 모형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특허문서 내에 존재하는 제품명들의 출현정보를 기반으로 제품의 IPC(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분포 벡터와 특허의 IPC 분포 벡터를 추출한 후, 제품과 특허의 IPC 분포 벡터 간의 유사도 및 판별규칙을 활용하는 특허-제품 대상관계 인지모형을 제시하고 표본특허들을 활용하여 제시된 모형들의 판별성능을 분석한다. 성능분석 결과, 제품명의 단순출현정보에 기반한 기존 특허-제품 대상관계 인지모형에 비해, 제시된 절차를 통해 개발된 네 가지 모형들의 성능이 획기적으로 높음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특허의 대상제품을 인지하는 모형을 최초로 제시했다는 의의를 지니며, 향후 제품수준의 특허지능 시스템에 관한 연구의 기반이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현석, "기업의 보유 기술 및 제품에 기반한 기술기회발굴" 대한산업공학회 40 (40): 442-450, 2014

      2 Kim, Y. G., "Visualization of patent analysis for emerging technology" 34 (34): 1804-1812, 2008

      3 "USPTO"

      4 Fattori, M., "Text mining applied to patent mapping: a practical business case" 25 (25): 335-342, 2003

      5 Lee, Y., "Technology opportunity identification customized to the technological capability of SMEs through two-stage patent analysis" 100 (100): 227-244, 2014

      6 Lichtenthaler, E., "Technology intelligence processes in leading European and North American multinationals" 34 (34): 121-135, 2004

      7 Li, X., "Patent citation network in nanotechnology (1976-2004)" 9 (9): 337-352, 2007

      8 Yoon, B. U.,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elf–organizing feature map–based patent map" 32 (32): 291-300, 2002

      9 Yoon, B., "Morphology analysis for technology roadmapping: application of text mining" 38 (38): 51-68, 2008

      10 Leydesdorff, L., "Interactive overlay maps for US patent (USPTO) data based on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IPC)" 98 (98): 1583-1599, 2014

      1 박현석, "기업의 보유 기술 및 제품에 기반한 기술기회발굴" 대한산업공학회 40 (40): 442-450, 2014

      2 Kim, Y. G., "Visualization of patent analysis for emerging technology" 34 (34): 1804-1812, 2008

      3 "USPTO"

      4 Fattori, M., "Text mining applied to patent mapping: a practical business case" 25 (25): 335-342, 2003

      5 Lee, Y., "Technology opportunity identification customized to the technological capability of SMEs through two-stage patent analysis" 100 (100): 227-244, 2014

      6 Lichtenthaler, E., "Technology intelligence processes in leading European and North American multinationals" 34 (34): 121-135, 2004

      7 Li, X., "Patent citation network in nanotechnology (1976-2004)" 9 (9): 337-352, 2007

      8 Yoon, B. U.,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elf–organizing feature map–based patent map" 32 (32): 291-300, 2002

      9 Yoon, B., "Morphology analysis for technology roadmapping: application of text mining" 38 (38): 51-68, 2008

      10 Leydesdorff, L., "Interactive overlay maps for US patent (USPTO) data based on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IPC)" 98 (98): 1583-1599, 2014

      11 Yoon, J., "Identifying rapidly evolving technological trends for R&D planning using SAO-based semantic patent networks" 88 (88): 213-228, 2011

      12 Nikulin, M. S., "Encyclopedia of Mathematics" 2001

      13 Shibata, N., "Detecting emerging research fronts based on topological measures in citation networks of scientific publications" 28 (28): 758-775, 2008

      14 Lee, H., "An ANP-based technology network for identification of core technologies: A case of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36 (36): 894-908, 2009

      15 Yoon, B., "A text-mining-based patent network: Analytical tool for high-technology trend" 15 (15): 37-50, 2004

      16 Park, H., "A patent intelligence system for strategic technology planning" 40 (40): 2373-2390,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6 0.97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