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송파 이희풍의 시학 배경과 형상화 양상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 말기 호남의 선비인 송파(松坡) 이희풍(李喜豊, 1813∼1886)의 『송파유고(松坡遺稿)』에 나타난 한시를 토대로 그의 생애를 조망하고 시학의 배경 및 시문의 형상화 양상을 고...

      이 논문은 조선 말기 호남의 선비인 송파(松坡) 이희풍(李喜豊, 1813∼1886)의 『송파유고(松坡遺稿)』에 나타난 한시를 토대로 그의 생애를 조망하고 시학의 배경 및 시문의 형상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송파유고』는 이희풍의 아들 이근석이 부친 사후 22년이 지나 향촌지사들의 자금 지원과 이희풍의 제자 강지흠의 공으로 해남의 두륜산 심적암(深寂庵)에서 발행하였다.
      2장의 생애와 시학의 배경에서는 독효(篤孝)의 실천과 통찰의 조감(藻鑑), 성정(性正)의인식과 시학의 배경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먼저 독효(篤孝)의 실천과 통찰의 조감(藻鑑)에서는 그가 효행과 학행이 뛰어난 선비였으며 유불선을 막론하고 폭넓은 교유를 하였고, 기미를 보고사람과 사물을 예단하는 조감능력이 뛰어났지만 당대 사회의 한계를 인식하고 출사하지 않은 해남의 은일지사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성정(性正)의 인식과 시학의 배경에서는 이를 이근석의 발문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이희풍은 성정이 바른 데에 있어야 시문을 이룰 수 있음을 강조하였고 이를 시학의 정신으로 삼았다. 그의 시학에 대한 관점의 정립과 시문 교육 방법에 대한 체계는 한중 시대별 한시의 장단점에 대한 이해와 내용 설명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그의 시학에서 강조한 품격은 평담(平淡)이며 여기에 농려, 신운, 고회, 웅혼 등을 담아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당시(唐詩)의 근체시를 기본으로 한 뒤에 한위(漢魏)의 고체시를 익히고, 시인으로는 도연명과 두보의 시를 읽도록 한 점을 알 수 있었다.
      3장의 시문의 형상화 양상은 첫째, 사물의 정밀한 관찰과 경물의 형상화, 둘째, 감성의 묘파(描破)와 상시(傷時)의 형상화, 셋째, 영사(詠史)의 공간과 충의(忠義)의 인물 형상화로 나뉘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희풍의 한시에는 영물묘사와 영사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가을을 상찬한 노래가 자주 등장하는데 이는 연안이씨 가문에서 내려오는 ‘청’의 풍격이 반영된 것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의 시문에서 유불선을 막론한 인물들과 폭넓은 교유를 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먼저 불가의 인물로는 해남의 대흥사, 강진의 만덕사, 백련사를 중심으로 활동한 초의선사 의순, 만휴상인, 화월상인 등이 있다. 다음으로 역사 인물은 고금도에서 이충무공, 지리산에서 최고운, 임실에서 김건재, 장수에서의 기, 그리고 어재연 장군 등에 대해 영사한 시문이 있다. 이들은 최고운을 제외하곤 나라가 위태로울 때 한목숨 기꺼이 바친 충의의 인물들로서 그가 지향하는 인물임을 알 수 있다. 끝으로 지인들 중에 가장 두드러진 인물은 백파(白坡) 신헌구(申獻求)였고 그 밖에 금양 윤종민, 공삼 안영모, 좌명 손전, 소치 허련, 해사 김숙 등이었다. 행장에서 언급된 조선 말기에 역사적으로 중요한 외교업무를 담당한 신헌과 민영목과의 교유는 그의 식견이 넓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불교적 색채가 드러나는 산사와 인물이 자주 등장한다는 점이 특징이었다.
      요컨대 이 논문은 19세기 한시사 속에서 볼 때 호남의 해남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연안이씨의 시맥의 일단을 파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조선전기 청련 이후백에서 시작된 시맥이 송정 이복길, 하유당 이석신을 거쳐 조선 말기의 송파 이희풍에 이르기까지 면면히 계승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는 이희풍의 『송파유고』에 나타난 한시의 의미를 규명한 첫 연구이자 호남지역 연안 이씨의 시맥을 고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생애와 시학의 배경
      • 3. 시문의 형상화 양상
      • 4. 결론
      • 국문초록
      • 1. 서론
      • 2. 생애와 시학의 배경
      • 3. 시문의 형상화 양상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한의학대사전" 정담 2010

      2 이병두, "한국역대 명시전서" 명문당 1959

      3 한국불교단체총연합회, "한국불교 위대한 대선사" 한국불교단체총연합회 2007

      4 "한국고전번역원 DB"

      5 김기, "한국 한시 100선" 문사철 2016

      6 양훈식, "하유당 이석신의 한시에 나타난 삶과 풍격" 우리한문학회 39 (39): 41-69, 2018

      7 조규익, "조선조 시문집서발의 연구" 숭실대학교출판부 1988

      8 손종섭, "옛 시정을 더듬어 下" 김영사 2011

      9 민병수, "대동시선(大東詩選) 下" 아세아문화사 2007

      10 장지연, "대동시선 下" 아세아문화사 2007

      1 한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한의학대사전" 정담 2010

      2 이병두, "한국역대 명시전서" 명문당 1959

      3 한국불교단체총연합회, "한국불교 위대한 대선사" 한국불교단체총연합회 2007

      4 "한국고전번역원 DB"

      5 김기, "한국 한시 100선" 문사철 2016

      6 양훈식, "하유당 이석신의 한시에 나타난 삶과 풍격" 우리한문학회 39 (39): 41-69, 2018

      7 조규익, "조선조 시문집서발의 연구" 숭실대학교출판부 1988

      8 손종섭, "옛 시정을 더듬어 下" 김영사 2011

      9 민병수, "대동시선(大東詩選) 下" 아세아문화사 2007

      10 장지연, "대동시선 下" 아세아문화사 2007

      11 진쿠퍼, "그림으로 보는 세계문화상징사전" 까치 1994

      12 심경호, "간찰-선비의 마음을 읽다" 한얼미디어 2006

      13 "隋唐嘉話"

      14 "阮堂先生全集"

      15 "詩經"

      16 "舊唐書"

      17 "續齊諧記"

      18 "秋堂襍稿"

      19 "禮記"

      20 "楚辭"

      21 "松坡遺稿"

      22 "後漢書"

      23 한국디지털아카이브, "延安李氏蔭仕篇"

      24 "周子全書"

      25 "列仙傳"

      26 구사회, "『전가비보』와 송정 이복길의 새로운 연시조 <오련가>에 대하여" 한국시가학회 40 : 97-117,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79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