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 입양서사에 나타난 귀향과 기원 신화에 대한 재정의 제인 정 트렌카의 『덧없는 환영』 = Reconceptualizing the Myth of Origin and Homecoming in a Korean Adoptee Narrative: Jane Jeong Trenka's Fugitive Vis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093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제인 정 트렌카의 자서전은 해외입양 한국인의 귀향에 대한 열망뿐 아니라 상실감과 정체성, 소속감 등의 문제를 재현한다. 첫 자서전 『피의 언어』에서 저자는 기존 입양서사에서 침묵되...

      제인 정 트렌카의 자서전은 해외입양 한국인의 귀향에 대한 열망뿐 아니라 상실감과 정체성, 소속감 등의 문제를 재현한다. 첫 자서전 『피의 언어』에서 저자는 기존 입양서사에서 침묵되어온 생모의 존재를 부각시킨다. 두 번째 자서전 『덧없는 환영』은 상실한 언어, 문화적 정체성, 가족 관계 등을 되찾고자 하는 의지뿐 아니라 한국에 귀향해 정착하려는 해외입양 한국인들의 삶을 재현한다. 해외 입양인 들의 귀향에 대한 열망은 삶의 일관성과 연속성의 부재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입양서사는 정체성의 중요한 구성요소인 뿌리와 기원의 문제를 천착한다. 트렌카는 귀향한 입양 한국인들의 경험을 재현함으로써 상실된 것을 기억, 애도할 뿐 아니라 침묵된 한국 입양인의 존재를 역사에 재위치 시킨다. 또한 그들이 어떻게 다양한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협상해나가면서 새로운 관계를 구성하는지 보여준다. 그녀는 한국사회의 이데올로기적 모순을 비판적 시각에서 조명하면서 외국인 노동자와 결혼 이주여성과 같은 한국사회의 주변인들과 동일시한다. 트렌카의 귀향과 정체성 재구성 서사는 해외입양 한국인들에게 대안적 가정, 관계, 소속감등을 가져다주는 정치적이며 또한 미학적인 행위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ane Jeong Trenka's two autobiographies represent a Korean adoptee's desire to go back to the place of origin and her anxiety to deal with the sense of loss, belonging and cultural identity. Her first autobiography, The Language of Blood, brings to th...

      Jane Jeong Trenka's two autobiographies represent a Korean adoptee's desire to go back to the place of origin and her anxiety to deal with the sense of loss, belonging and cultural identity. Her first autobiography, The Language of Blood, brings to the fore the presence of a birth mother silenced in most adoption narratives. The second autobiography, Fugitive Visions, represents the effort to reclaim what she has lost and redefine her identity as she struggles to resettle and readjust in the place of origin as a resident, not as a temporary visitor. Adoptees' desire for the return is, in a sense, a way to deal with incoherence and discontinuity which have permeated their lives. Therefore, adoptee narratives are deeply involved with the idea of roots and origin which is the essential part of identity. In portraying the experiences of returning Korean adoptees living in Seoul, Trenka remembers and mourns what was lost and reinscribes the presence of silently migrated Korean children back into Korean history. She turns a critical eye towards the ideological contradictions of Korean society and identifies with other socially marginalized people such as migrant workers and foreign brides. In presenting a growing community of Korean adoptees in Korea, she illustrates their continuous struggles to construct a new kind of kinship and community while constantly negotiating with multiple subject positions. Her narrative of return and reconstruction is an aesthetic as well as political gesture which provides them with an alternative home, kinship and sense of belonging.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