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벨라르두스 윤리학의 ‘의도’ 개념 연구 = A Study on the concept of intention in Abelard's Eth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588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e of the issues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 of Abelard's 'intention' is how to reconcile the tension between the inner subjectivity and the absoluteness of the moral laws. For example, how are the Jews to morally evaluate who prosecuted Jesus in t...

      One of the issues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 of Abelard's 'intention' is how
      to reconcile the tension between the inner subjectivity and the absoluteness of
      the moral laws. For example, how are the Jews to morally evaluate who prosecuted
      Jesus in the conviction that their persecutions were pleasing God.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layers of meaning in the concept of intention in Abelard and interpret
      the position of Abelard in a strongly intellectualistic way. 'Intention' has (1) an
      intellectual understanding of the goal, which an agent through his actions aims,
      (2) as the second thought of the mind (cogitatio animi), against the first and
      natural movement of the will, (3) the function of mediating the insight of the
      goal and the individual will. According to Abelard the main reason of denying
      the Jews the correctness of the intention is their intellectual failure, to understand
      correctly what should be the goal of their actions. So Abelard's concept of intention
      seems to assume an order or providence that lies outside the intentions, and
      accordingly judges the rightness or wrongness of the intentions. This is a strong
      support for the intellectualistic way of understanding the 'intention' in Abelard's
      ethic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아벨라르두스의 의도 개념 해석을 둘러싼 쟁점 중의 하나는 의도 개념이 강 조하는 내면적 주관성과 도덕적 자연법의 절대성 사이의 긴장을 어떻게 해 소할 것인가이다. 단적으로 예수를 박...

      아벨라르두스의 의도 개념 해석을 둘러싼 쟁점 중의 하나는 의도 개념이 강
      조하는 내면적 주관성과 도덕적 자연법의 절대성 사이의 긴장을 어떻게 해
      소할 것인가이다. 단적으로 예수를 박해한 유대인들의 경우처럼 자신들의 행
      위가 신의 뜻에 맞는 것이라고 굳게 믿어 행위한 경우와 같이 순수한 의도
      로부터 나왔지만 잘못된 양심에서 비롯한 잘못된 행위를 어떻게 평가할 것
      인가의 문제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아벨라르두스 의도개념의 층위를 분석
      하고 이 분석으로부터 아벨라르두스의 입장을 주지주의적인 것으로 해석한
      다. 의도는 자신이 지향하는 목적에 대한 통찰에 의해 자신의 자연적이고
      일차적인 의지를 매개하는 성격을 갖는다. 예수를 박해한 유대인의 경우에는
      의지의 일차적 방향을 매개할 지적인 계기가 올바르지 않았기 때문에 순수
      한 의도일 수 없다는 것이 아벨라르두스의 분석이다. 아벨라르두스의 ‘의도’
      개념은 의도 바깥에서 의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게 하는 질서 내지 섭리에 대한 믿음을 전제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며, 필자는 이것을 그의 의도 개
      념이 갖는 상당히 강력한 주지주의적 색채로 평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영란, "합리적 자아와 도덕적 자아" 철학연구회 66 (66): 167-185, 2004

      2 강상진, "의지에서 의도로 - 안셀무스와 아벨라르두스의 '마지못한 행위'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중세철학회 11 (11): 33-67, 2005

      3 이창우, "우리에게 달려 있는 것 -에픽테토스의 메시지와 소크라테스-" 한국서양고전학회 (31) : 33-56, 2008

      4 김율, "성토마스 후기 저작에 나타난 의지와 지성의 작용적 통일성과 의지의 자유" 한국가톨릭철학회 (7) : 206-231, 2005

      5 강상진, "선(善 bonum)에 관한 아벨라르두스의 의미론적 분석" 8 : 215-36, 2002

      6 서병창, "도덕적 행위에서 이성과 욕구의 문제 - 아리스토텔레스와 아우구스티누스, 토마스 아퀴나스 윤리 사상의 비교 고찰 -" 한국가톨릭철학회 4 (4): 189-214, 2002

      7 김선희, "데이빗슨 (Donald Davidson)의 의도 (Intention) 이론" 31 : 199-221, 1989

      8 Bratman, Michael, "Two faces of intention in: The Philosophy of A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9 Inwood, Brad, "The will in Seneca the younger" 95 : 44-60, 2000

      10 McCluskey, Colleen, "The Roots of Ethical Voluntarism" 39 : 185-208, 2001

      1 노영란, "합리적 자아와 도덕적 자아" 철학연구회 66 (66): 167-185, 2004

      2 강상진, "의지에서 의도로 - 안셀무스와 아벨라르두스의 '마지못한 행위'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중세철학회 11 (11): 33-67, 2005

      3 이창우, "우리에게 달려 있는 것 -에픽테토스의 메시지와 소크라테스-" 한국서양고전학회 (31) : 33-56, 2008

      4 김율, "성토마스 후기 저작에 나타난 의지와 지성의 작용적 통일성과 의지의 자유" 한국가톨릭철학회 (7) : 206-231, 2005

      5 강상진, "선(善 bonum)에 관한 아벨라르두스의 의미론적 분석" 8 : 215-36, 2002

      6 서병창, "도덕적 행위에서 이성과 욕구의 문제 - 아리스토텔레스와 아우구스티누스, 토마스 아퀴나스 윤리 사상의 비교 고찰 -" 한국가톨릭철학회 4 (4): 189-214, 2002

      7 김선희, "데이빗슨 (Donald Davidson)의 의도 (Intention) 이론" 31 : 199-221, 1989

      8 Bratman, Michael, "Two faces of intention in: The Philosophy of A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9 Inwood, Brad, "The will in Seneca the younger" 95 : 44-60, 2000

      10 McCluskey, Colleen, "The Roots of Ethical Voluntarism" 39 : 185-208, 2001

      11 Marenbon, John, "The Rediscovery of Peter Abelard's Philosophy" 44 : 331-351, 2006

      12 Peter Abailard, "Sic et N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6

      13 Peter Abaelard, "Scito te ipsum [Ethica]/Erkenne dich selbst, Lat.-Deut. (ed.) Stegger, Ph., Hamburg, 2006. (라틴어-독어 대역본)"

      14 Porter, Jean, "Responsibility, passion, and sin" 28 : 367-394, 2000

      15 "Petrus Abaelardus, Scito te ipsum, (ed.) Ilgner, R.M., Petri Abaelardi Opera Theologica IV, Turnhout: Brepols, 2001 [Corpus Christianorum Continuatio Mediaevalis 190]. (표준판본)"

      16 Ernst, Stephan, "Petrus Abaelardus" 2003

      17 D.E. Luscombe, "Peter Abelard's Ethics" Clarendon 1971

      18 Verbeke, G., "Peter Abelard and the Concept of Subjectivity" 1-11, 1974

      19 Abulafia, Anna Sapir, "Intentio recta an Erronea? Peter Abelard's views on Judaism and the Jews in: Medieval Studies in honour of Avrom Saltman, Ramat-Gan" 13-30, 1995

      20 Otten, Willemien, "In Conscience's court: Abelard's Ethics as a Science for the Self" 53-74, 2005

      21 Griffloen, A. L., "In Accordance with the Law" 81 : 307-321, 2007

      22 Mann, W.E., "Happiness, Reason, and Sin in Abelard's Ethics in: Rationality and happiness: from the ancients to the early medievals" 217-237, 2003

      23 Frankfurt, Harry, "Freedom of the Will and the Concept of a Person" 68 : 5-20, 1971

      24 Abaelard, "Expositio in Epistolam ad Romanos in übersetzt und eingeleitet von R. Peppermüller, 3 vols" 2000

      25 Peter Abelard, "Ethical Writings" Hackett 1995

      26 Perkams, Matthias, "Divine Omnipotence and Moral Theory in Abelard's Theology" 65 : 99-116, 2003

      27 Bejczy, I., "Deeds without value: Exploring a weak Spot in Abelard's Ethics" 70 : 1-20, 2003

      28 Abelard, "Commentaria in Epistolam Pauli ad Romanos in: Petri Abaelardi Opera Theologica I" 1969

      29 Peter Abailard, "Collationes sive Dialogus inter Philosophum, Iudaeum et Christianum / Gespräch eines Philosophen, eines Juden und eines Christen" WBG 1995

      30 Peter Abelard, "Collationes" Clarendon 2001

      31 Ernst, St., "Bloss intentionalistische und theonome Ethik? Autonome und teleologische Elemente in der Begründung sittlichen Handelns bei Peter Abaelard" 112 : 2005

      32 Wilson, George, "Action in: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33 Hause, Jeffiey, "Abelard on Degrees of Sinfulness" 81 (81): 251-270, 2007

      34 Mews, C.J., "Abelard and Heloise" 2005

      35 Cameron, Margaret, "Abelard (and Heloise?) on Intention" 81 : 323-338, 2007

      36 Peter Abelard, "A dialogue of a philosopher with a Jew, and a Christian" Pontifical Institute of Mediaeval Studies 1979

      37 강상진, "12세기 서방 라틴 그리스도교의 자기이해-아벨라르두스(1079–1142)의 <철학자와 유대인과 그리스도교인 간의 대화>를 중심으로" 16 : 3-28, 2003

      38 Abelard, Theologia, "'Summi boni’ / Theologia ‘Scholarium’ in: Petri Abaelardi Opera Theologica III" Turnhout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5 1.09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