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삼국시대 영남지역 도질토기 생산과 유통 -4~5세기를 중심으로- =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unglazed earthenware at the Yeongnam region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03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will be distributing older the unglazed earthenware step(고식도질토기), the double type step(이대양식 단계) and examining producting sites, distributional pattern of pottery based on existing research results to figure out production an...

      It will be distributing older the unglazed earthenware step(고식도질토기), the double type step(이대양식 단계) and examining producting sites, distributional pattern of pottery based on existing research results to figure ou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unglazed earthenware in Yeongnam province for fourth, fifth century. It's progressed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ose it had been limited with the mouth of Nakdong River as the center from the late 3rd century to the early 4th century in older the unglazed earthenware step. Grey pottery(와질토기), unglazed earthenware craftsman were existed separately. The production information of pottery that it had been evolved in the mouth of Nakdong River, Haman region spread throughout Yeongnam from middle 4th century.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unglazed earthenware was worked better in every corner.
      However, with the exception of the mouth of Nakdong River, Haman region, measure of producting sites were comparatively few. It's presumed the produced pottery that it would be limited to the region. It's getting to be divided into Sila and Gaya pottery culture in 5th century, the pottery culture that has localism was established in all parts of the Yeongnam. The producting sites were contrasting two cultures. Sila has relatively wide range of pottery cultures that it's coming to the ultra grouped type. The grouped type was center at all locations of Gaya.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 to the distribution of pottery depending on the location. There was not only distribution of goods itself, but imitation caused by the distribution of production information.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goods etc. by moving craftsman group, it turned out that many different forms in comparison with older the unglazed earthenware step a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4~5세기대 영남지역의 도질토기 생산과 유통을 파악하기 위해서 기존 연구 성과를 토대로 고식도질토기 단계와 이대양식 단계로 나누어 생산유적과 토기의 유통양상을 살펴보았다. 고식도...

      4~5세기대 영남지역의 도질토기 생산과 유통을 파악하기 위해서 기존 연구 성과를 토대로 고식도질토기 단계와 이대양식 단계로 나누어 생산유적과 토기의 유통양상을 살펴보았다. 고식도질토기 단계에서도 3세기 말부터 4세기 초까지는 낙동강 하구역을 중심으로 한정된 생산유통이 이루어지며, 와질토기공인과 도질토기공인이 별도로 존재하였다. 4세기 전반부터 낙동강 하구역과 함안의 제품과 생산정보가 영남전역으로 유통되면서 각지에서는 도질토기의 생산과 유통이 활발해진다. 그러나 낙동강 하구역과 함안지역을 제외하면 생산유적의 단위가 비교적 적고 생산된 토기도 그 지역에 한정되었던것으로 추정된다.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초에는 영남각지에서 유사한 형태의 토기가 생산되면서, 생산정보와 제품이 활발하게 유통되며, 이를 토대로 5세기 중반에는 이대양식토기가 확립된다. 이 시기에는 생산유적은 비교적 토기문화권의 범위가 넓은 신라에서는 초군집형이 등장하고 있고, 가야의 각 지역에서는 군집형과 단독형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소성기술이나 전용 요도구의 형태에서는 각 지역마다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5세기 대까지 신라권역에서는 중앙에서의 생산정보와 제품을 자율적으로 받아들였지만, 6세기 중반 이후 경주를 중심으로 생산과 유통이 완전히 재편된다. 반면 가야권역에서는 대가야, 소가야, 아라가야를 중심으로 각 지역에 제품자체의 유통은 물론 생산정보의 유통으로 인한 모방품,공인집단의 이동에 의한 제품의 유통 등 매우 다양한 형태의 유통양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申敬澈, "金官加耶土器의 編年"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3 : 2000

      2 朴天秀, "호남동부지역을 둘러싼 大加耶와 百濟, 전남동부지역의 가야문화" 제38회 한국상고사학회 학술발표대회 2008

      3 정주희, "함안양식 고식도질토기의 분포정형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4 金正完, "함안권역 도질토기의 편년과 분포변화" 3 : 2000

      5 김재철, "한국 고대 토기요 변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6 이성주, "토기연구법" 도서출판 考古 2008

      7 조성원, "토기문화로 본 삼국시대 낙동강하구의교류양상" 한국고고학회 (89) : 138-171, 2013

      8 김주용, "창원지역 고분의 추이와 성격"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9 심재용, "중국계유물로 본 금관가야와 중국 동북지방, 중국 동북지역과 한반도 남부의 교류" 2013

      10 이성주, "원삼국시대 토기의 유형·계보·편년·생산체제" 2 : 1991

      1 申敬澈, "金官加耶土器의 編年"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3 : 2000

      2 朴天秀, "호남동부지역을 둘러싼 大加耶와 百濟, 전남동부지역의 가야문화" 제38회 한국상고사학회 학술발표대회 2008

      3 정주희, "함안양식 고식도질토기의 분포정형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4 金正完, "함안권역 도질토기의 편년과 분포변화" 3 : 2000

      5 김재철, "한국 고대 토기요 변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6 이성주, "토기연구법" 도서출판 考古 2008

      7 조성원, "토기문화로 본 삼국시대 낙동강하구의교류양상" 한국고고학회 (89) : 138-171, 2013

      8 김주용, "창원지역 고분의 추이와 성격"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9 심재용, "중국계유물로 본 금관가야와 중국 동북지방, 중국 동북지역과 한반도 남부의 교류" 2013

      10 이성주, "원삼국시대 토기의 유형·계보·편년·생산체제" 2 : 1991

      11 이지균, "영남지역 토기가마에 대한 일고찰" 경주대학교대학원 2006

      12 이희준, "신라고고학 연구" 사회평론 2008

      13 홍보식, "신라·가야고분의 교차편년, 신라와 가야의 경계" 2014

      14 조성원, "소성실험을 통해 본 삼국시대소성기술 연구 -영남지역 자료를 중심으로-"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9 (9): 199-234, 2010

      15 金正完, "석헌정징원교수정년퇴임기념논총" 간행위원회 2006

      16 이정근, "석심 정영화교수 정년퇴임기념 천마고고학논총" 2007

      17 조영제, "서부경남 가야제국의 성립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 釜山大學校 2006

      18 이성주, "삼한·삼국시대의 토기생산기술" 복천박물관 2003

      19 홍진근, "삼한·삼국시대의 토기생산 기술" 복천박물관 2003

      20 우지남, "대가야 고분의 편년 : 토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1986

      21 이초롱, "내륙양식 고식도질토기의 연구" 부산대학교 2011

      22 조성원, "고분 출토 고배로 본 5세기대 낙동강하류역의 소지역성 연구" 영남고고학회 (55) : 5-44, 2010

      23 金斗喆, "고대 창녕지역사의 재조명" 창녕군 2011

      24 박천수, "고고학을 통해 본 아라가야와 주변제국" 학연문화사 2013

      25 朴升圭, "고고학을 통해 본 가야" 한국고고학회 2003

      26 김규운, "고고자료로 본 5∼6세기 소가야의 변천" 경북대학교 2009

      27 金才喆, "경상도의 고대 토기가마 연구" 十五 : 2004

      28 박승규, "가야토기 양식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

      29 박천수, "가야토기" 진인진 2010

      30 홍보식, "가야와 그 전환기의 고분문화"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2006

      31 朴天秀, "가야고고학의 새로운 조명" 혜안 2003

      32 趙榮濟, "가야고고학의 새로운 조명"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3

      33 이성주, "가야고고학의 새로운 조명" 혜안 2003

      34 이주헌, "가야 각국사의 재구성" 2000

      35 이희준, "高靈樣式 土器 出土 古墳의 編年" 15 : 1994

      36 菱田哲郎, "須恵器生産の擴散と工人の動向" 39 (39): 1992

      37 定森秀夫, "韓國慶尙南道釜山金海地域出土陶質土器の檢討" 7 : 1982

      38 郭鐘喆, "韓國慶尙北道陶質土器の地域相硏究-いわゆる高靈系土器を素材として" 40 (40): 1988

      39 최종규, "陶質土器의 起源" 6 : 1994

      40 申敬澈, "金海禮安里 160號墳에 대하여"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 : 1992

      41 禹枝南, "道項里·末山里遺蹟" 慶南考古學硏究所 2000

      42 李相俊, "蓀谷洞토기가마(窯)의 類型과 構造的特徵"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8) : 1997

      43 홍보식, "考古學을 통해 본 加耶" 韓國考古學會 2000

      44 朴升圭, "考古學을 통해 본 加耶" 韓國考古學會 2000

      45 亀田修一, "考古學から見た渡來人" 30 (30): 1993

      46 大阪市立大学経済研究所, "經濟學辭典" 岩波書店 1156r-, 2002

      47 趙榮濟, "玉田古墳群의 編年硏究" 18 : 1996

      48 최종규, "消葉紋-大加耶系 陶質土器의 인식수단-" 7 : 1999

      49 郭鐘喆, "東アジアの考古と歷史 上" 1987

      50 禹枝南, "晉州 武村" 慶南考古學硏究所 2005

      51 하승철, "晉州 安磵里遺跡" 경남발전연구원역사문화센터 2008

      52 鄭澄元, "昌寧地域의 古墳文化" 7 : 1995

      53 이성주, "打捺文土器의 展開와 陶質土器 發生" 42 : 2000

      54 金斗喆, "打捺技法의 硏究-金海 禮安里遺蹟 出土品을 中心으로-" 28 : 2001

      55 安在晧, "慶州地域の初期新羅土器の檢討" (240) : 2000

      56 金光玉, "嶺南地方 土器가마의 硏究-가마의 構造를 중심으로-" 嶺南大學校 2004

      57 김지연, "小加耶樣式 土器의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58 禹枝南, "密陽貴明里遺蹟出土陶質土器에 대하여" 考古學探究會 (5) : 2008

      59 朴天秀, "大加耶圈 古墳의 編年" 39 : 1998

      60 金斗喆, "大加耶古墳의 編年 檢討" 45 : 2001

      61 趙榮濟, "型式亂立期의 加耶土器에 대하여" 2008

      62 武末純一, "土器からみた日韓交渉" 學生社 1991

      63 정주희, "咸安樣式古式陶質土器의 分布定型과 意味" 한국고고학회 73 (73): 4-51, 2009

      64 安在晧, "古式陶質土器에 대한 약간의 考察" 1 : 1986

      65 宇野隆夫, "古代史の論点 3. 都市と工業と 流通" 小學館 1998

      66 申敬澈, "三韓·三國時代의 東萊" 1995

      67 이정근, "三國時代土器재임방법에 대한 檢討 -古式陶質土器재임방법과 변화를 중심으로-" 영남고고학회 (60) : 73-104, 2012

      68 朴天秀, "三國時代 昌寧地域 集團의 性格硏究" 영남고고학회 (13) : 1993

      69 하승철, "4~6세기 창녕지역 도질토기의 변천"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창간) :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2 1.798 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