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돈 아이디의 기술철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미디어 아트에 구현된 신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1426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Study on bodies in media ar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on Ihde's philosophy of technology

      • 형태사항

        vi, 115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중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형기
        참고문헌수록

      • UCI식별코드

        I804:11052-000000228438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미디어 아트를 통해 구현된 인간 신체의 의미와 특징을 돈 아이디의 기술철학적 관점을 기반으로 분석・평가함으로써, 미래 사회에서의 인간과 기술, 인간과 예술의 바람직한 상호 작용과 상호 관계를 성찰・모색하고, 그를 통해 미디어 아트의 기술적, 예술적 정체성 확립과 미래 지향적 발전의 방향성을 탐색하고 유효한 지침을 얻고자 하였다.
      미디어 아트가 다른 장르와 구별되는 중요한 특징 중에 하나는 ‘매체의 창조적인 활동을 중시하는 예술’인 점이다. 미디어 아트는 매체나 기술을 단순한 도구나 수단이 아닌, 작품 구성에 능동적으로 개입・관여하여 인간과 교류하고 상호 작용하는 표현의 도구로서 예술관을 투영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작품을 창작하고, 감상하고, 평가하는 모든 과정에서 인간, 매체와 예술, 기술과 예술에 대한 주체적인 접근과 논의가 종합적으로 필요하다. 이와 함께 미디어 아트 속 신체는 수많은 디지털 정보와 쌍방향적으로 소통하며 인간 경험의 방식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고, ‘표현하는 주체’ 이자 ‘표현되는 객체’로서 기술과 세계와의 능동적인 상호 작용 속에, 다양한 이미지와 감각, 지각, 관련 정보 등을 전달하고 있다. 이에 신체의 중요성 및 그 역할에 대해서도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시각과 접근방법이 요구된다.
      우선, 본 논문은 미디어 아트 속 인간 신체의 철학적, 예술적 의미와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틀로서 돈 아이디의 기술 철학을 채택하였다. 기술 철학이 규정하는 인간, 기술, 세계의 세 가지 유형관계인 체현관계, 해석학적 관계, 배경 관계의 철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인간과 기술이 관계를 형성하는 방식을 구조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의 인간-기술-세계의 체현-해석학적-배경의 세 가지 관계를 각각 따로 분리해서 설명하거나 개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유기적, 호환(互換)적, 협응(協應)적인 구조, 상호 밀접하게 연계되고 융복합된 구조로서 이해해야 하는 논리적 당위성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융합적, 호환적 이해를 토대로 미디어 아트에 내재한 인간(신체)-기술(인터페이스)-세계(실재하는 가상세계)의 복합적, 가변적 관계를 미디어 퍼포먼스 「겨울의 사랑」과「소녀 그 상상의 가능성」 두 작품 구현을 통해 실증하였다. 작품 속에 나타나는 현상학적, 기술 철학적 신체는 ‘실재하는 가상 공간’에서 코드화 등의 ‘비물질적인 과정’을 거쳐 예술적, 미학적으로 구현되고, 수용자들의 정념성(촉각성)과 지각을 통해 실재성을 확보하며, 이 과정에서 실재하는 가상 세계에 대한 수용자의 색다른 체험과 지각, 긴밀한 상호 작용, 상호 관계 등을 매개하고 구축하게 된다.
      본 연구는 미디어 아트를 창작하고 감상하는 과정에서 기술 철학적 관점을 활용하여 예술과 인간, 기술과 인간, 인간의 본질적인 관계 및 이들이 상호 유기적, 현상학적, 기술학적으로 소통하는 과정을 전반적으로 고찰하면서 앞으로 미래 사회의 기술과 예술의 상호 관계 및 철학적 가치와 정체성을 올바르게 지각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인간의 상상보다 기술 발전이 빠른 시대가 도래 하면서 인간-기술-세계의 체현-해석학적-배경 관계의 ‘융복합적 양상’이 더욱 뚜렷해 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의 인공 지능 사회에 대비하여 인간-기술-세계의 ‘도구 매개적 관계’ 즉, 체현-해석학적-배경관계에 대한 상호 유기적, 호환적, 협응적 이해를 통해, 인간의 상상력과 철학을 예술 작품 안에 이상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미디어 아트를 대상으로 탐색하고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지금도 그렇지만, 앞으로도 미디어 아트는 첨단 기술의 매개를 통해 인간의 상상력과 철학적 가치관을 창의적으로 표현・재현하는 예술로서 발전해 나가야 하며, 그를 위해 작품의 창작・연출・공연・감상의 전 과정에서 인간-기술-세계 간의 유기적 연결성, 쌍방 소통성, 상호 관계성 등을 충분히 중시하고 존중하면서 성장해 나가야 한다. 미디어 아트의 이 같은 바람직한 발전 방향성과 철학적 매카니즘이 이상적으로 정립・유지될 때, 미디어 아트의 예술적, 철학적 정체성과 미학적 가치도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미디어 아트를 통해 구현된 인간 신체의 의미와 특징을 돈 아이디의 기술철학적 관점을 기반으로 분석・평가함으로써, 미래 사회에서의 인간과 기술, 인간과 예술의 바람직한 상...

      본 논문은 미디어 아트를 통해 구현된 인간 신체의 의미와 특징을 돈 아이디의 기술철학적 관점을 기반으로 분석・평가함으로써, 미래 사회에서의 인간과 기술, 인간과 예술의 바람직한 상호 작용과 상호 관계를 성찰・모색하고, 그를 통해 미디어 아트의 기술적, 예술적 정체성 확립과 미래 지향적 발전의 방향성을 탐색하고 유효한 지침을 얻고자 하였다.
      미디어 아트가 다른 장르와 구별되는 중요한 특징 중에 하나는 ‘매체의 창조적인 활동을 중시하는 예술’인 점이다. 미디어 아트는 매체나 기술을 단순한 도구나 수단이 아닌, 작품 구성에 능동적으로 개입・관여하여 인간과 교류하고 상호 작용하는 표현의 도구로서 예술관을 투영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작품을 창작하고, 감상하고, 평가하는 모든 과정에서 인간, 매체와 예술, 기술과 예술에 대한 주체적인 접근과 논의가 종합적으로 필요하다. 이와 함께 미디어 아트 속 신체는 수많은 디지털 정보와 쌍방향적으로 소통하며 인간 경험의 방식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고, ‘표현하는 주체’ 이자 ‘표현되는 객체’로서 기술과 세계와의 능동적인 상호 작용 속에, 다양한 이미지와 감각, 지각, 관련 정보 등을 전달하고 있다. 이에 신체의 중요성 및 그 역할에 대해서도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시각과 접근방법이 요구된다.
      우선, 본 논문은 미디어 아트 속 인간 신체의 철학적, 예술적 의미와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틀로서 돈 아이디의 기술 철학을 채택하였다. 기술 철학이 규정하는 인간, 기술, 세계의 세 가지 유형관계인 체현관계, 해석학적 관계, 배경 관계의 철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인간과 기술이 관계를 형성하는 방식을 구조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의 인간-기술-세계의 체현-해석학적-배경의 세 가지 관계를 각각 따로 분리해서 설명하거나 개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유기적, 호환(互換)적, 협응(協應)적인 구조, 상호 밀접하게 연계되고 융복합된 구조로서 이해해야 하는 논리적 당위성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융합적, 호환적 이해를 토대로 미디어 아트에 내재한 인간(신체)-기술(인터페이스)-세계(실재하는 가상세계)의 복합적, 가변적 관계를 미디어 퍼포먼스 「겨울의 사랑」과「소녀 그 상상의 가능성」 두 작품 구현을 통해 실증하였다. 작품 속에 나타나는 현상학적, 기술 철학적 신체는 ‘실재하는 가상 공간’에서 코드화 등의 ‘비물질적인 과정’을 거쳐 예술적, 미학적으로 구현되고, 수용자들의 정념성(촉각성)과 지각을 통해 실재성을 확보하며, 이 과정에서 실재하는 가상 세계에 대한 수용자의 색다른 체험과 지각, 긴밀한 상호 작용, 상호 관계 등을 매개하고 구축하게 된다.
      본 연구는 미디어 아트를 창작하고 감상하는 과정에서 기술 철학적 관점을 활용하여 예술과 인간, 기술과 인간, 인간의 본질적인 관계 및 이들이 상호 유기적, 현상학적, 기술학적으로 소통하는 과정을 전반적으로 고찰하면서 앞으로 미래 사회의 기술과 예술의 상호 관계 및 철학적 가치와 정체성을 올바르게 지각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인간의 상상보다 기술 발전이 빠른 시대가 도래 하면서 인간-기술-세계의 체현-해석학적-배경 관계의 ‘융복합적 양상’이 더욱 뚜렷해 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의 인공 지능 사회에 대비하여 인간-기술-세계의 ‘도구 매개적 관계’ 즉, 체현-해석학적-배경관계에 대한 상호 유기적, 호환적, 협응적 이해를 통해, 인간의 상상력과 철학을 예술 작품 안에 이상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미디어 아트를 대상으로 탐색하고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지금도 그렇지만, 앞으로도 미디어 아트는 첨단 기술의 매개를 통해 인간의 상상력과 철학적 가치관을 창의적으로 표현・재현하는 예술로서 발전해 나가야 하며, 그를 위해 작품의 창작・연출・공연・감상의 전 과정에서 인간-기술-세계 간의 유기적 연결성, 쌍방 소통성, 상호 관계성 등을 충분히 중시하고 존중하면서 성장해 나가야 한다. 미디어 아트의 이 같은 바람직한 발전 방향성과 철학적 매카니즘이 이상적으로 정립・유지될 때, 미디어 아트의 예술적, 철학적 정체성과 미학적 가치도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and evaluates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realized through media arts based through the view of Don Ihde's Philosophy of Technology, seeking and reflecting upon the concept of interaction and correlation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Through this, I sought to establish the technical and artistic identity of media arts and to seek guidance in the direction of future-oriented developmen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rts that differentiate it from genres of art is that emphasizes the creative activities of the media. Media art not only uses media or technology as means, but as a direct subject of artistic value and a tool of expression that actively participates and intervenes in the creative process, interacting with humans in a mutual manner.
      Therefore, an active discussion and attitude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media , technology, and art is necessary in every process of creating, appreciating, and evaluating art. With this the human body within media art id both a subject of expression and a subject with expression, mutually communicating with countless digital information. And within the active communication it conveys diverse image, sensation, and related information. Thus, a new approach and perspective on the importance and role of a body is required.
      Firstly, this paper chose Don Ihde's Philosophy of Technology as its theoretical frame to analyze the philosophic and aesthetic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Based on the philosophic understanding of the three types of relationships -the embodiment relation, the hermeneutic relation, and the background relation-the Philosophy of Technology defines as the relations between human, technology, and the world, this paper performs a structural analysis on the way human and technology form a relationship. Instead of separately explaining or individually understanding the three relationships, the logical justification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as a mutually organic, compatible, and coordinated single comprehensive structure was derived. This organic understanding of the comprehensive, ever-changing relationship of human (body)-technology(interface)ーworld(existing virtual dimensions)was realized through the creation of the two pieces-the media performances of 「Love in Winter」 and 「A girl, the Possibility of Imagination」.
      The Bodies in phenomenology, technology in the works are artistically and aesthetically realized in ‘existing virtual dimensions’ through ‘immaterial processes’ such as coding, and acquire substantiality through the viewers’ tactility and senses, and in doing so convey and construct the unique experience of the viewers’ perception of an existing virtual world, including the related sensation and mutual relations.
      This research offers a future-oriented methodology that allows one to rightly perceive the identity, philosophical significance, and the mutual relationship of technology and art in the future, through the utilization of philosophy of technology perspective in a comprehensive reflection of the substanti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art and technology, and how they interact in a mutually organic, technological, and phenomenological manner.
      With the emergence of an age where technological advances at a pace quicker than expected, the comprehensive-organic characteristic of human-technology-machine relationship is expected to grow more substantial. I sought to seek and confirm the method through which human imagination and philosophy could be ideally expressed in art, through the mutually organic, interdisciplinary, and coordinated understanding of the ‘tool-oriented relationship’ of human - technology - world, or in other words, the embodiment - hermeneutic - background relationship, with media art as the object of analysis. Although it is already so, media art should advance as art that creatively expresses and reproduces human imagination and philosophical values through the means of state-of-art technology. And To do so, it must emphasize and respect, in its every stage of creation・direction・performance・appreciation, the organic connection between human - technology - world, the mutual communication, and the mutual relation, among others. Only when the philosophical mechanism and rightful direction in development of media art is established and maintained, will its philosophical identity and aesthetic values be assured as well.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s and evaluates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realized through media arts based through the view of Don Ihde's Philosophy of Technology, seeking and reflecting upon the concept of interaction and correlation betwe...

      This paper analyzes and evaluates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realized through media arts based through the view of Don Ihde's Philosophy of Technology, seeking and reflecting upon the concept of interaction and correlation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Through this, I sought to establish the technical and artistic identity of media arts and to seek guidance in the direction of future-oriented developmen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rts that differentiate it from genres of art is that emphasizes the creative activities of the media. Media art not only uses media or technology as means, but as a direct subject of artistic value and a tool of expression that actively participates and intervenes in the creative process, interacting with humans in a mutual manner.
      Therefore, an active discussion and attitude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media , technology, and art is necessary in every process of creating, appreciating, and evaluating art. With this the human body within media art id both a subject of expression and a subject with expression, mutually communicating with countless digital information. And within the active communication it conveys diverse image, sensation, and related information. Thus, a new approach and perspective on the importance and role of a body is required.
      Firstly, this paper chose Don Ihde's Philosophy of Technology as its theoretical frame to analyze the philosophic and aesthetic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Based on the philosophic understanding of the three types of relationships -the embodiment relation, the hermeneutic relation, and the background relation-the Philosophy of Technology defines as the relations between human, technology, and the world, this paper performs a structural analysis on the way human and technology form a relationship. Instead of separately explaining or individually understanding the three relationships, the logical justification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as a mutually organic, compatible, and coordinated single comprehensive structure was derived. This organic understanding of the comprehensive, ever-changing relationship of human (body)-technology(interface)ーworld(existing virtual dimensions)was realized through the creation of the two pieces-the media performances of 「Love in Winter」 and 「A girl, the Possibility of Imagination」.
      The Bodies in phenomenology, technology in the works are artistically and aesthetically realized in ‘existing virtual dimensions’ through ‘immaterial processes’ such as coding, and acquire substantiality through the viewers’ tactility and senses, and in doing so convey and construct the unique experience of the viewers’ perception of an existing virtual world, including the related sensation and mutual relations.
      This research offers a future-oriented methodology that allows one to rightly perceive the identity, philosophical significance, and the mutual relationship of technology and art in the future, through the utilization of philosophy of technology perspective in a comprehensive reflection of the substanti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art and technology, and how they interact in a mutually organic, technological, and phenomenological manner.
      With the emergence of an age where technological advances at a pace quicker than expected, the comprehensive-organic characteristic of human-technology-machine relationship is expected to grow more substantial. I sought to seek and confirm the method through which human imagination and philosophy could be ideally expressed in art, through the mutually organic, interdisciplinary, and coordinated understanding of the ‘tool-oriented relationship’ of human - technology - world, or in other words, the embodiment - hermeneutic - background relationship, with media art as the object of analysis. Although it is already so, media art should advance as art that creatively expresses and reproduces human imagination and philosophical values through the means of state-of-art technology. And To do so, it must emphasize and respect, in its every stage of creation・direction・performance・appreciation, the organic connection between human - technology - world, the mutual communication, and the mutual relation, among others. Only when the philosophical mechanism and rightful direction in development of media art is established and maintained, will its philosophical identity and aesthetic values be assured as wel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7
      • 제 2 장 기술 철학과 육체, 기술, 세계의 관계 9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7
      • 제 2 장 기술 철학과 육체, 기술, 세계의 관계 9
      • 제 1 절 기술 철학의 이론적 토대 9
      • 제 2 절 육체, 기술, 세계의 관계 유형 17
      • 1. 체현 관계 (embodiment relation) 17
      • (1) 체현 관계의 개념과 의미 17
      • (2) 미디어 아트와 체현 관계 19
      • 2. 해석학적 관계 (hermeneutic relation) 20
      • (1) 해석학적 관계의 개념과 의미 20
      • (2) 미디어 아트와 해석학적 관계 22
      • 3. 배경 관계 (background relation) 24
      • (1) 배경 관계의 개념과 의미 24
      • (2) 미디어 아트와 배경 관계 25
      • 제 3 절 기술 철학의 분석 틀 28
      • 제 3 장 미디어 아트와 기술 철학적 신체 33
      • 제 1 절 신체의 개념적 변화 33
      • 1. 아날로그 시대의 신체 33
      • (1) 철학사적 고찰 33
      • (2) 미술사적 고찰 37
      • 2. 디지털 시대의 신체 41
      • (1) 신체 표현의 변화 41
      • (2) 신체 지각의 변화 45
      • 제 2 절 미디어 아트에 구현된 신체 46
      • 1. 미디어 아트의 의미 46
      • 2. 신체의 미디어 아트적 특성 49
      • (1) 실재하는 가상성 49
      • (2) 지각을 통한 정념성 57
      • (3) 코드화된 비물질성 60
      • 제 4 장 미디어 퍼포먼스 구현 63
      • 제 1 절 겨울의 사랑 63
      • 1. 작품 소개 및 제작 의도 63
      • 2. 표현 전개 및 작품 제작 65
      • (1) 움직임 - 빛 - 사운드의 동기화 틀 66
      • (2) 적용 기술 및 콘텐츠 구성 70
      • 가.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구성 71
      • 나. 라바노테이션 동작에 기반한 인식 데이터 범위 72
      • 다. Zigbee 모듈을 이용한 무선 전송 환경 구축 73
      • 라. 조명 모듈 설치 및 연동 74
      • 마. 영상 및 사운드 콘텐츠 제작 77
      • 3. 작품 분석 78
      • (1) 체현 관계 78
      • (2) 해석학적 관계 79
      • (3) 배경 관계 81
      • 4. 종합 결과 83
      • 제 2 절 소녀, 그 상상의 가능성 85
      • 1. 작품 소개 및 미디어 연출 의도 85
      • 2. 표현 전개 및 작품 제작 86
      • (1) 미디어 연출 시나리오 88
      • (2) 전도성 잉크 설계 89
      • (3) 조명 모듈 연동 91
      • 3. 작품 분석 92
      • (1) 체현 관계 92
      • (2) 해석학적 관계 93
      • (3) 배경 관계 94
      • 4. 종합 결과 95
      • 제 5 장 결론 및 제언 97
      • 제 1 절 연구의 결과 요약 97
      •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99
      •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00
      • 참고문헌 101
      • 국문초록 110
      • ABSTRACT 11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성동, "돈 아이디", 커뮤니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2 서성열, "캐릭터 스튜디오 2.X", 서울: 삼각형프레스, 2000

      3 김예경 ( Yea Gyung Kim ), "보는 것과 만지는 것", 한국기호학회, 기호학연구, 44. 113-147, 2015

      4 아이디, "기술철학 (김성동 역)", 서울: 철학과 지성사, 1998

      5 조광제, "몸의 세계, 세계의 몸", 이학사, 2014

      6 김향선, "하이데거의 기술철학", 철학연구회, 哲學硏究, 52. 79-102, 2001

      7 이유택, "하이데거의 과학 비판", 한국하이데거학회, 현대유럽철학연구, 38. 155-183, 2015

      8 김리진, "Digital Body: New Media Art 2018", CICA press, 2017

      9 김원방, "『몸이 기계를 만나다』", 예경, 2014

      10 김인택, "신체언어와 문화의 상관성", 우리말학회, 우리말연구, 24, 165-195, 2009

      1 김성동, "돈 아이디", 커뮤니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2 서성열, "캐릭터 스튜디오 2.X", 서울: 삼각형프레스, 2000

      3 김예경 ( Yea Gyung Kim ), "보는 것과 만지는 것", 한국기호학회, 기호학연구, 44. 113-147, 2015

      4 아이디, "기술철학 (김성동 역)", 서울: 철학과 지성사, 1998

      5 조광제, "몸의 세계, 세계의 몸", 이학사, 2014

      6 김향선, "하이데거의 기술철학", 철학연구회, 哲學硏究, 52. 79-102, 2001

      7 이유택, "하이데거의 과학 비판", 한국하이데거학회, 현대유럽철학연구, 38. 155-183, 2015

      8 김리진, "Digital Body: New Media Art 2018", CICA press, 2017

      9 김원방, "『몸이 기계를 만나다』", 예경, 2014

      10 김인택, "신체언어와 문화의 상관성", 우리말학회, 우리말연구, 24, 165-195, 2009

      11 장성수, "니체의 신체관에 대한 연구", 한국체육철학회, 움직임의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15(4), 1-17, 2007

      12 아이디, "테크놀로지의 몸 (이희은 역)", 도서출판 텍스트 (원서출판 2002), 2013

      13 박영균, "기술의 본질과 오인의 원천들", 시대와 철학, 18(1). 171-204, 2007

      14 최연희, "미디어 아트. 현대의 예술과 미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15 유원기,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적 인간학", 신학과사상학회, 가톨릭 신학과 사상, 62호, 56-84, 2008

      16 박영균, "근대 ‘기술관’과 ‘해체’ 전략",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시대와 철학, 12(1). 205-236, 2001

      17 송주영, "체현인지 접근과 인터페이스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연구, 33. 51-60, 2012

      18 장정윤, "무용하는 신체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05

      19 정의성, "신체를 매체로 활용한 현대미술 고찰",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2

      20 오생근, "「데카르트, 푸코, 들뢰즈의 '육체'」", 가톨릭대학교 성평등연구소, 성평등연구, 9. 23-41, 2005

      21 이승건, "미학적 관점에서 본 고대 서양의 신체문화",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2 정현희, "“디지털 아트의 미학적 특성에 관한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연구, 33, 203-212, 2012

      23 오한나, "미디어아트에서의 기술에 대한 접근과 고찰",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연세대학교 커뮤 니케이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4 박치완 ( Park Tchi Wan ), "치유의 관점에서 본 정신과 신체의 두 극단론",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학연구, 107, 97-128, 2017

      25 장영란(Chang, Young-Ran), "초월과 관능으로서의 신체 미학과 이데올로기", 새한철학회, 哲學論叢, 79, 239-261, 2015

      26 박영균, "기술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Don Ihde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7 이성환, "몸인 세계, 세계인 몸: 사르트르의 몸의 존재론", 새한철학회, 哲學論叢, 54. 383-405, 2008

      28 이수진, "『뉴미디어 아티스트, 기술을 활용한 예술가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29 김규정, "디어아트에서 정보 시각화와 상호작용 표현 방법", 방송과 미 디어, 21(2), 36-50, 2016

      30 임산 ( Shan Lim ), "비디오아트의 재역사화 -전시와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미학예술학회, 美學 藝術學 硏究, 40, 3-39, 2014

      31 송은주, "『예술의 미적 개념 변화와 뉴미디어 아트 특성』",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한국디 자인포럼, 33, 417-426, 2011

      32 전 석, "뉴미디어 아트에 의한 창작 활동의 확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숭실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3 전하현, "인상주의: 인상파 속 숨겨진 진실과 새로운 개척자들", 생각의나무, 생각의 나무, 2011

      34 가은영, 황성걸, "“네트워크기반의 미디어 아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디 자인학연구, 21(4). 151-161, 2008

      35 김형기, 정현이, "무형유산 공연 콘텐츠의 확장성을 위한 웨어러블 공 연", 우리춤연구학회 학술대회 연구집, 2015

      36 홍경실, "베르그손과 메를로-퐁티의 우리의 몸에 대한 이해 비교", 한국철학회, 철학, 95, 91-114, 2008

      37 문병호, "자연 – 인간 – 사회관계의 구조화된 체계로서의 기술", 한국사회학회, 韓國 社會學, 43(4). 77-106, 2009

      38 김희영 ( Hee Young Kim ), "미술사와 뉴미디어아트 간의 재매개된 담론적 조응관계",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미술 사와 시각문화, 14, 168-191, 2014

      39 여인성, "신체 및 체육문화에 미친 르네상스 철학과 종교개혁사상", 한국스포츠무용철학회, 움 직임의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6(2), 21-39, 1998

      40 이재운, "증강현실 퍼포먼스: 디지털 공연 예술의 새로운 패러다임", 숭 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41 박영균, "스피노자적 실천철학과 맑스주의: “육체”와 역사유물론", 시대 와 철학, 18(3). 313-344, 2007

      42 김소연(So-Yeon Kim), 김승민(Seung-Min Kim), "디지털시대의 아날로그적 감성 및 디자인요소에 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1), 584-593, 2016

      43 김윤희, "신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적 및 방법론적 근거", 한국체육철학회,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12(2), 251-266, 2004

      44 이은아, "가상현실과 몸: 디지털 이미지와 수용자의 관계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45 박삼열, "데카르트 실체 개념의 문제점과 후대 합리론자들의 해결방안",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철학논집, 20, 133-163, 2010

      46 최성원(Choi, Sung-Won), "상상-예술로서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고찰", 한국애니메이션학회, 애니메이션연구, 12(4), 174-193, 2016

      47 이은아, "“관객과 디지털 아트 간의 체험적 소통방법의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 163-170, 2006

      48 박현, "『뉴 미디어 아트에 나타난 가변적 페르소나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49 오은경, "『뉴미디어 시대의 예술: 예술은 미디어를 어떻게 이해했는가?』", 연세대학교 출판부,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8

      50 한주연, "뉴 미디어를 활용한 예술치료의 표현과 정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예술심리치료연구, 14(1), 47-70, 2018

      51 이태훈, 채은미, "팝아트의 문화적 접근성을 통한 미디어 아트의 대중 예술성 연구",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22, 5-14, 2010

      52 정현이, ""신체의 매체성을 강조한 인터랙티브 퍼포먼스 효과에 관한 연구 "",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53 박규호, "정서 색체 성격이론에 기반한 game character의 facial color Adaptive Technique", 중앙대 석사논문, 2006

      54 장용훈,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아트의 가능성에 대한 접 근」", 한국디자인학회, 디자인학연구, 53, 309-318, 2003

      55 김석완, "지(知), 덕(德), 체(體)의 개념사(槪念史) 연구–고대 그리스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 35(4), 33-58, 2013

      56 김성동, "기술철학의 시각에서 본 인간의 문제: 돈 아이디의 기술철학 을 중심으로", 哲學, 54. 197-217, 1998

      57 김종성, 황승원, "중세 기독교 신체관과 성서 신체관의 문헌적 고찰: 금 욕주意를 중심으로", 평생체육연구소 논문집, 6, 139-172, 1993

      58 유석호, 최태준, 이동열, "광학식 모션 캡쳐(Optical Motion Capture) 방 식을 이용한 디지털 캐릭터 움직임",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7(8). 109-116, 2007

      59 최병진, "근대 초 해부학의 발전과 시각적 사유: 미술과 의학의 학제 간 상호연관성", 한국미술이론학회, 미술이론과 현장, 20, 33-60, 2015

      60 박선영, "칼로카가티아(kalokagathia)의 개념에서 본 무용수의 아레테(arete)에 관한 고찰",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홀리스틱교육연구, 20(2), 1-14, 2016

      61 고수진, "국악기 태평소와 피리 및 서양악기 오보에의 색청 비교에 따른 공감각 연구", 한국음악학학회, 한국음악학학회, 29, 89-124, 2015

      62 신상미, "춤 움직임 분석의 이론과 실제 : 루돌프 본 라반의 움직임 분석을 중 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한국문화연구원, 66(1-3), 165-187, 1995

      63 김문조, 임종인, "기술-예술 융합체로서의 미디어아트: 특성 및 사회문 화적 효과에 관한 소고", 한국영상문화학회, 영상문화, 23, 235-285, 2013

      64 박영욱, "디지털 예술과 몸의 개입: 마크 핸슨의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드라마연구, 44. 5-31, 2014

      65 박기순, "스피노자의 ‘자유로운 인간’: 데카르트의 이원론에 대한 비판 을 중심으로", 동서인문학, 41, 55-72, 2008

      66 오한나, 이현진, "돈아이디의 기술철학을 통해 바라본 미디어아트에서의 기술에 대 한 접근과 고찰",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13(5). 317-326, 2012

      67 강상학, 진영완, 손원일, "모션 캡쳐 자료를 이용한 동작 분석용 캐릭터 애니메이션의 적용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운동역학회, 한국운동역학회. 17(4). 37-44, 2007

      68 진시영, "미디어 퍼포먼스 아트의 신체성 확장에 관한 연구: 연구자의 NEW FORMS 작업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69 민희정, "한국 미디어아트의 초기담론 연구 -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용어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영상학회,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14(5), 95-114, 2016

      70 임연미, "모션캡쳐를 활용한 무용의 멀티미이어화에 관한 연구: 한국무 용 호흡기본을 중심으로", 이화체육논집 제6권. 81-97, 2002

      71 홍경실, "베르그손으로부터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으로: 우리의 몸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철학과 현상학 연구, 26, 55-82, 2005

      72 김형기, 정현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공연 예술의 특성-움직임을 이 용한 인터랙티브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디자인융복합학회, 12(1), 101-115, 2013

      73 최재식, "「신체개념을 통한 메를로-퐁티 현상학과 후설 현상학 연구-신체(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철학과 현상학 연구, 40. 1-33, 2009

      74 박명진, 이범준, "가상현실 커뮤니케이션의 특성과 그 체험의 양상: 몰입 과정과 몰입 조건에 대한 수용자 연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언론정보연구, 41(1). 29-60, 2004

      75 장정윤, "기독교의 금욕주의적 신체관과 무용: 중세초기(300-600 A.D.) 와 중세말기(900-1400 A.D.)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3호, 227-241, 1997

      76 윤미정, 황경숙, "파이돈, 파이드로스와 국가를 통해 본 플라톤의 신체와 영혼의 가치이원적 관계", 움직임의철학: 한국체육 철학회지, 19(1), 177-188, 2011

      77 서영주, "감각 경험을 확장시키는 애니메이션의 실험적 실천 연구: 애 니메이터의 매체 수행 방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78 강재원, 김남두, "매체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탐색적 연구: 매체속성에 대한 수용자 인식과 매체 이용수준", 한국언론학회, 韓國言論學報, 56(4), 236-264, 2012

      79 김현주, "「기술매체와 신체의 인터페이스를 강조하는 미디어 아트의 해석에 대한 고찰: 현상학적 체현인지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이론학회, 미술이론과 현 장, 20, 94-118, 2015

      80 오준호, "가상현실 예술에 적용된 센서를 통한 실재, 인식 그리고 매개 의 문제 연구–인지주의와 발제주의적 접근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과미디어학회, 예술과 미디어, 13(1). 217-239, 2014

      81 김이경, 정승화, 이태하, "공감각을 활용한 공연 기술을 통한 예술적 표 현의 확장 가능성 연구: 로버트 웨슬러(R. Wechsler)와 팰린드롬 (Palindrome) 무용단을 중심으로", 한국무용예술학회, 무용예술학연구, 49. 73-88, 2014

      82 한지영, "돈 아이디(Don Ihde)의 기술철학적 관점으로 살펴본 디지털 댄스의 특성 논의 –빌티 존스의 「고스트캐칭 (Ghostcatching)」 (1999)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4(2), 181-203, 2016

      83 이재운, "전석, 김동호 디지털 퍼포먼스에서 신체, 디지털 분신 그리고 통합된 세계의 관계-배우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젝션 매핑 사례를 중 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16(5). 439-450,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