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자유주의 우생학에 관한 생태신학적 비판 및 재구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397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roughout history, people have recognized that “to be a superior race means to have extraordinary intelligence, appearance, healthy body and spirit” differentiating the ordinary. Since the criterion to determine a superior human entirely depends ...

      Throughout history, people have recognized that “to be a superior race means to have extraordinary intelligence, appearance, healthy body and spirit” differentiating the ordinary. Since the criterion to determine a superior human entirely depends on the contemporary perspectives such as sociocultural values, a standard to be a superior gene also must be various. Although it does not form a social consensus in the definition, every human being’s desire to get a superior DNA is gradually coming to reality by means of eugenics.
      The eugenics has been developed in two ways: one is the‘negative eugenics’that eliminates recessive trait and/or disqualified character; the other is the‘positive eugenics’that takes only dominant trait through gene selection. As time passes, however, the eugenics finally is transformed into liberal eugenics which is going in accordance with bioengineering technology. The liberal eugenics, unlike the former theory, is to strengthen the superior gene only by means of DNA selection based on individual freedom of human right. The goal of liberal eugenics is to heal all the diseases and ailment, and to improve human species as well. When it comes to the first issue of ‘healing diseases’, it helps the pregnant pre-moms give birth a healthy baby by prenatal diagnosis to see if there is genetical problem and/or eliminating serious DNA, they would take prior action to avoid it when something wrong is found accordingly. Regarding the second issue of ‘improving human species’, it serves for the pregnant women to get superior baby having aid of gene selection. This technology recently leads to gene editing, DNA manipulation, personally customized baby, and even human cloning.
      Unlike the prenatal diagnosis aimed for healing ailment, artificial improvement of gene might cause a bio-hierarchy system, so-called ‘genetical discrimination’which has nothing to do with simple healing or genetical improvement. The appearance of spoon-class in modern society (new hierarchy in human dignity classifying human by inherent status) may bring about‘life-politics’causing acute struggles between the ruler and the ruled. It also leads to polarization in human society and finally brings side effects such as status adhesion, or unnecessary bias on human dignity innate. In many ways, the technology of gene editing and customized baby is closely connected with human basic right as well. By the emerging of gene manipulation skill,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has faced new challenges. Cloning technology in the age of liberal eugenics, is carrying out new experiments such as gene editing of embryo, customized baby, human cloning under the cloak of improving human species. In this chaotic situation, the needs of new stage about human dignity will soon rise to the surface.
      Though the eugenics has many appropriateness on theory, it has left variety of ethical problems behind as well.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os-and-cons around gene editing, personally customized baby, and species improvement in human cloning. Based on many debates and arguments, it tries to provide some insight in a sound doctrine of human-centered biotechnology or the biblical/theological perspective of bioengineering. Having the above issues in mind, this dissertation is designed to establish a eco-centered view and its eco-theological critique of liberal eugenics in terms of the following four aspects.
      First,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especially in theological field is too outdated to criticize the rapidly developing view on liberal eugenics. In this context, a new counteraction is strongly needed to cope the huge upheaval of natural science with a competitive measure based on the communal responsibility of human dignity. As biotechnology is so uncertain in its essence and future result, the negative side of it is also clearly presented as much as positive one. Nobody can fathom the chaotic outcome that biotechnology might bring.
      Second, this study criticizes human-centeredness that recent biotechnology has in itself. On this groundwork, a new significance of human dignity will be highlighted in eco-theological perspective. This argument will proceed not only to defend the ontological ground but also for a new understanding of Christian anthropology.
      Third, this article shows a considerable countermeasure to make up for an aperture brought by communicational dissonance between natural science and religious doctrine. In comparison to the liberal eugenics showing a dazzling development, the corresponding effort of the theological area is still short to overtake. To make the gap narrow, this researcher provides a ground for mutual dialogue to discuss life-discourse.
      Finally, the study gives a negative comment on species discrimination and its side effect, so-called status dissension, from which it is suggested a life-egalitarianism, as Jesus says in the Sermon on the Mount as a universal command to all humankind“love your neighbor as yourselves.”The Lord Jesus lowered Himself even to the sinner comforting them. The incident of washing the disciples’feet was a typical example of life-egalitarianism. His caring for the socially marginalized can be a ground for rebuttal. The most urgent thing to be done is to reshape Jesus’s teaching. His love reaches every realm of nature in which all mankind live and breathe.
      As seen above, this study analyses some fabrications of modern technology in a critical way such as gene & embryo editing, gene-political issues, and liberal eugenics. Consequently, several findings will come up with a new countermeasure debated in context of‘ethical responsibility of community’and‘life-egalitarianism.’
      Unlike the past, the future of biotechnology is very closely at hand. The age of human cloning will come shortly, and when it comes to reality, relationship between the cutting edge of technology and its ethical significance collectively might be shaken altogether. The future will come entirely depending on current technology and its ethical interpretation indeed.
      To cope with this huge challenge, the Christian community in this human cloning age has to take a corresponding countermove in advance not only in individual dimension but also en masse. For the reason, this dissertation strongly suggests a ground for mutual dialogue among bioengineering experts, legal scholars in medical treatment, bio-ethicists, and health care-ethicists etc.
      The Christian community as a whole has to cope with the huge challenge of natural science especially in biotechnology. A human clone is also a human having its own dignity. Albeit it has somehow disparate or repulsive feeling, The bioethics-centered community of Christian perspective has to rise to a higher ground in this hot and competitive debat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과거에 사람들은“탁월한 인종이 된다는 것은 남들과는 다른 지능과 외모, 건강한 체형과 정신을 갖추는 것”이라고 알고 있었다. 탁월한 인종이란 기준은 어디까지나 그 사회나 문화 내에...

      과거에 사람들은“탁월한 인종이 된다는 것은 남들과는 다른 지능과 외모, 건강한 체형과 정신을 갖추는 것”이라고 알고 있었다. 탁월한 인종이란 기준은 어디까지나 그 사회나 문화 내에서 제시되어진 것이기 때문에 상대적일 수밖에 없고 가치관의 다양성 만큼이나 좋은 유전자의 기준도 각기 달랐다. 이런 상대적 기준에도 불구하고 좋은 유전자를 얻고 싶어 하는 인간의 소원은 우생학이 등장하면서 이룰 수 있게 되었다.
      자유주의 우생학은 질병치료와 인간 종(種)의 개량을 목표로 한다. 먼저 질병 치료의 기능은 유전적 질환 여부를 사전에 검사하고 예방하는 차원으로 심각한 질환을 가진 유전자를 선별하여 특정 유전질환을 예방하는 것과‘산전 진단’을 통해 건강한 아이를 출산할 수 있게 해 준다. 다음으로 인간 종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자유주의 우생학은 인류에게 유전자를 선별하여 우수한 유전형질을 가질 수 있게 해주었다. 이 기술은 유전자를 조작하고 선별해서 유전자 편집과 맞춤아기는 물론 인간복제 기술까지 이어지는 실험이다. 유전적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유전자 검사와 산전 진단과는 달리 복제 기술과 맞춤형 아기, 유전자 선별을 통한 개량은 단순한 질병치료와 종의 개선을 넘어 유전자 차별로 인한 생명계급을 초래할 수 있다. 생명계급의 발생은 지배와 피지배 사이의 격차를 낳게 하기 때문에 생명정치의 영역으로 이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계층 간의 심한 양극화로 야기되는 생명계급 발생과 위계는 사회적 신분의 고착화와 신분의 차별과 같은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생명공학 시대에 유전자 편집 기술과 맞춤아기를 만드는 기술은 단순한 종의 개량을 넘어 인간 존엄성과도 밀접하게 연결된다. 오늘날 유전자 조작과 관련된 실험이 등장하면서부터 과거 전통에서 다룬 인간 존엄성과 인간 이해의 방법들은 한계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자유주의 우생학 시대에 시행되는 복제 기술은 인간 출생 이전의 존재, 즉 유전자 편집, 디자이너 베이비(designer baby), 인간 복제 등 우수한 종의 개량을 목적으로 실험들이 진행되고 있어서 인간 존엄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방법들이 더욱 절실하게 되었다. 우생학은 분명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고 생명을 연장시키는 데 명분을 가지고 있지만 이 명분 이외에도 많은 윤리적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를 염두에 두고 이 논문은 자유주의 우생학의 목표 가운데 하나인 유전자 편집과 맞춤아기, 복제 기술을 통한 인간 종의 개량에 나타나는 윤리적 문제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이‘생태중심’이 아닌, 인간의 편리성만을 추구하는‘인간중심성’과 연결되는 점을 인식하고, 생명공학 기술에 나타난 인간중심성의 출발점을 성서에서 발견하고 이에 대한 신학적 비판을 논의할 것이다.
      이를 염두에 두고 논자는 자유주의 우생학 시대의 신학적 비판을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연구하고자 한다. 첫째, 자유주의 우생학 시대에 인간 생명을 대상으로 생명공학자들은 유전자를 조작하고 실험을 연구하고 있다. 심지어 복제 기술이 등장하면서 기존의 신학적 인간이해는 한계가 있다. 이에 논자는 생명복제 시대에 필요한 신학적 인간 이해와 생태윤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논자는 유전자 편집과 맞춤아기, 인간 종의 개량에 나타나는 윤리적 문제와 생명공학 기술의 이면에 자리 잡고 있는‘인간중심성’을 비판하고, 인간 중심성에서 비롯된 윤리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생명공학 시대의 인간 이해를 살필 것이다. 인간 존재에 대한 생물학적 이해를 요구하는 시대에 논자는 인간 본성 회복과 인간 존엄성의 근거를 제시하여 인간 삶의 가치와 진정성의 중요성을 논의할 것이다. 셋째, 이 논문의 목표 가운데 하나는 신학과 생명공학 기술 사이의 소통의 부재에 대해 비판하는 것이다.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자유주의 우생학 시대가 열리면서 복제기술과 유전자 치료 및 조작 기술이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과학 기술의 발전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성찰들이 한국 사회에서 아직 부족하다. 이러한 상황을 주시하면서 생명공학 기술과 신학적 이해 사이의 소통과 서로의 학문에 대한 교류 및 상호협력의 필요성을 언급할 것이다.
      그리고 이 논문은 생명복제 기술 시대에 유전자 조작 기술과 인간 본성 길들이기, 배아편집 기술의 문제, 유전자 정치 등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자유주의 우생학에 대한 생태신학적 비판을 제시할 것이다. 자유주의 우생학 시대에 필요한 윤리적 방법으로‘공동체의 생태윤리’와‘생명평등주의’를 제시할 것이다. 우선 공동체의 생태윤리를 제시하는 이유는 기존의 신학적 전통과 새로운 생명공학 기술의 접점을 이루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과학 기술의 발전 속도와 형이상학적이고 존재론적인 신학적 인간 이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복제 시대에 맞는 신학적 접근과 책임이 요청된다. 그렇기에 일부 과거 전통을 고집하는 신학적 이해에서 벗어나 새로운 과학 기술을 적용하는 신학적 비판이 뒤따라야 하고 복제 시대에 요구되는 윤리가 제시되어야 한다.
      논자는 복제 시대의 종차별과 계급 사회에 따른 생명계급 시대에 필요한‘생명평등주의’를 제시할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과 정신에서 비롯된‘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생명평등의 가치들을 성서적 입장에서 제시하고, 이를 통해 생명평등주의와 생명담론의 필요성을 제시할 것이다. 기존의 생명윤리에 관한 신학적 논의가 학계와 종교계에서 논의되고 대화하는 과정에서 너무 다른 견해를 보여주었다. 논자는 이들의 의견이 마치 평행선처럼 서로 접점이 불가능했던 한계를 인정하고, 피할 수 없는 복제 시대에 새로운 생명윤리 공동체를 제안하고 싶다.
      미래 생명공학 시대는 과거와 달리 그 발전 속도가 너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언젠가는 인간 복제시대가 도래하게 될 것이고 윤리적 성찰과 무관하게 과학 기술이 발전하게 되면 그 균형은 상실하게 된다. 미래의 어느 순간은‘갑자기’오는 것이 아니기에 다음 세대를 위해 현재의 과학 기술과 윤리적 성찰이 필요하다. 기독교 공동체는 생명복제 시대를‘지금부터’준비하고 어느 순간 복제 인간과 유전자 변형으로 태어난 존재가 등장하게 되면 준비된 자세로 공동체에서의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생명공학을 연구하는 과학자, 의료법학자, 생명윤리학자, 의료윤리학자 그리고 신학자들은 충분한 논의를 통해 생명윤리공동체를 만들어가야 한다. 이 공동체에서는‘생명담론윤리’를 제안하고 이 논의 과정에서 질병치료는 적극 권장하되, 인간의 지나친 이기심에서 비롯된 비윤리적인 실험과 인간복제 실험에 대해서는 비판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논자는 복제 시대는 언젠가 온다는 것을 전제로 미래 복제 시대에 대한 기독교 공동체의 준비를 요청할 것이다. 복제 인간은 우리와 동등한 존재를 가진 인간이다. 지금 당장 우리가 복제 인간에 대해 혐오감과 이질감을 가질 수 있지만‘기독교생명윤리공동체’가 구성되어 복제 인간에 대한‘거리두기’에서 그들을 따뜻하게 맞아주는‘가까이 다가가기’의 실천과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헌주, "『복제』", 케포이북스, 서울: 케포이북스, 2015

      2 유 민, "『유전학』", 서울: 월드 사이언스, 2011

      3 라정찬, "『줄기세포』", 서울: 위즈덤 하우스, 2010

      4 박세필, "『줄기세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서울: 동아사이언스, 2005

      5 김상득, "유전자 윤리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9

      6 이정주, "『인체유전학』", 서울: 라이프사이언스, 2015

      7 맹용길, "『예수의 윤리』", 서울: 살림출판사, 2008

      8 김선욱, "『정치와 진리』", 서울: 책세상, 2001

      9 김선욱, "『행복의 철학』", 서울: 도서출판 길, 2011

      10 최인숙, "『서양근대철학』", 한국철학회,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1

      1 이헌주, "『복제』", 케포이북스, 서울: 케포이북스, 2015

      2 유 민, "『유전학』", 서울: 월드 사이언스, 2011

      3 라정찬, "『줄기세포』", 서울: 위즈덤 하우스, 2010

      4 박세필, "『줄기세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서울: 동아사이언스, 2005

      5 김상득, "유전자 윤리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9

      6 이정주, "『인체유전학』", 서울: 라이프사이언스, 2015

      7 맹용길, "『예수의 윤리』", 서울: 살림출판사, 2008

      8 김선욱, "『정치와 진리』", 서울: 책세상, 2001

      9 김선욱, "『행복의 철학』", 서울: 도서출판 길, 2011

      10 최인숙, "『서양근대철학』", 한국철학회,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1

      11 김동춘, 최재호, "『기독교와 환경』", 서울: SFC 출판부, 2003

      12 김상득, "『생명의료윤리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1

      13 구인회, "『생명윤리의 철학』", 철학과현실사,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2

      14 이소영, "『자연, 여성, 환경』", 서울: 한신문화사, 2000

      15 장춘익, "『하버마스의 사상』", 서울: 나남출판사, 2001

      16 이상헌, "융합시대의 기술윤리", 생각의나무, 서울: 생각의 나무, 2012

      17 요나스, 한스, 이진우, "옮김.『책임의 원리』", 서울: 서광사, 1994

      18 신상규, "호모 사피엔스의 미래", 서울: 아카넷, 2014

      19 류현미, 한유정, "“산전 유전자 검사.”", 대한의학유전학회, 「대한의학유전학회지」Vol.8 No2 , 100: 100-104, 2011

      20 김창환, "『유전자와 정신세계』", 일조각, 서울: 일조각, 2001

      21 표재명, "『키에르케고르 연구』", 서울: 지성의 샘, 1995

      22 양운덕, "“생명권력과 생명정치.”", 「진보평론」 Vol.47 : 161-163, 2011

      23 최경석, "“생명윤리와 연구윤리.”",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사고와 표현」Vol.2 : 173-201, 2009

      24 김영한, "『21C 세계관과 개혁신앙』",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06

      25 장도론, "『예수 중심의 생태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26 문창옥, "『화이트헤드 철학 읽기』", 서울: 도서출판 동과서, 2005

      27 요나스, 한스, 이유택, "옮김.『기술, 의학, 윤리』", 서울: 솔출판사, 2005

      28 이일학, "의학연구에서 위험성 평가",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생명윤리 정책연구」 Vol.2 : 215-230, 2008

      29 이은선, "한스 요나스의 책임의 원리", 「신학사상」 Vol.73 : 453-477, 1991

      30 전현식, "『인간생태학과 자연철학』", 서울: 한들출판사, 2003

      31 김환석, "“의료화에서 생의료화로.”", 한국과학기술학회, 「과학기술학연구」 제14권 : 3-33, 2014

      32 이창언, "『갈등을 넘어 협력사회로』", 서울: 살림터, 2014

      33 전현식, "『페미니즘과 기독교 윤리』", 예영커뮤니케이션, 서울: 예영 커뮤니케이션, 2005

      34 김영진, "『화이트헤드 유기체 철학』", 서울: 도서출판 그린비, 2012

      35 위르겐, 하버마스, 이진우, "옮김.『탈형이상학적 사유』", 서울: 문예출판사, 2000

      36 구영모, "인간생식연구와 시술의 윤리", 범양사, 「과학사상」 Vol.21 : 79-80, 1999

      37 마정미, "포스트휴먼과 탈근대적 주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38 염운옥, "『생명에도 계급이 있는가?』", 서울: 책세상, 2009

      39 이승구, "『인간복제 그 위험한 도전』",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03

      40 김선욱, 한나, 아렌트, "옮김.『칸트 정치철학 강의』", 서울: 도서출판 푸른숲, 2002

      41 요나스, 한스, "/한정선 옮김.『생명의 원리』", 서울: 아카넷, 2001

      42 심상태, "『인간: 신학적 인간학 입문』", 서광사, 서울: 서광사, 1989

      43 김선희, "『과학기술과 인간의 정체성』", 서울: 아카넷, 2012

      44 김호연, "“과학과 이념사이의 우생학.”", 한국동서철학회, 「동서철학연구」,제48권 : 243-266, 2008

      45 구영모, "“생명의료윤리란 무엇인가?.”", 『생명의료윤리』. 서울: 동녘출판사, 2014

      46 현원복, "“생명체복제 현황과 문제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과학과 기술」 Vol.30 : 43-67, 1997

      47 권수영, "『기독상담, 어떻게 다른가요』", 서울: 학지사, 2007

      48 송기원, "『생명과학, 신에게 도전하다』", 서울: 동아시아, 2017

      49 위르겐, 하버마스, 장은주, "옮김.『인간이란 자연의 미래』", 서울: 나남출판사, 2003

      50 김호연, "『우생학, 유전자 정치의 역사』", 서울: 아침이슬, 2009

      51 정화열, "몸의 정치와 예술, 그리고 생태학", 아카넷, 서울: 도서출판 아카넷, 2005

      52 배태섭, 채오병, "“생명사회성론의 성과와 한계.”", 한국이론사회학회, 「사회와 이론」 통권 제22 호 : 241-269, 2013

      53 이진우, "『인간복제에 관한 철학적 성찰』", 서울; 문예출판사, 2004

      54 김균진, "“오늘의 생태학적 위기와 신학.”",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신학논단」 Vol 17: 153-165, 1987

      55 이진경, "“현대 자본주의와 생명의 권리.”",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탈경계 인문학」제2권2호 : 29-53, 2009

      56 김정두, "“생명에 대한 폭력과 신의 절규.”", 한국교회환경연구소 기획,『포스트휴 먼 시대, 생명신학 교회를 돌아보다』. 서울: 도서출판 동연, 2017

      57 송용섭, "“신자유주의와 기독교생태윤리.”", 한국교회환경연구소 기획,『포스트휴 먼 시대, 생명신학 교회를 돌아보다』. 서울: 도서출판 동연, 2017

      58 구미정, "『현대생태신학자의 신학과 윤리』", 대한기독교서회,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59 Paul House, "“Robert Hooke and The Discovery of the Cell”", Science of Aging, 기사, 2009

      60 허유선, "도덕적 주체로서의 인간과 정언명법", 「철학 사상 문화」 Vol.3 : 191-219, 2006

      61 구영모, "“생명공학 발전의 윤리적 쟁점들.”", 「환경과 생명」 Vol.21 : 49-50, 1999

      62 박은정, "『줄기세포 연구윤리의 어제와 오늘』", 세창, 서울: 세창출판사, 2007

      63 채드윅, "헨리/김승철 옮김.『아우구스티누스』", 서울: 시공사, 2001

      64 하대청, "“지구적 생명정치와 위험의 개인화.”", 비판사회학회, 「경제와 사회」제97호 : 65-96, 2013

      65 최재천, "『사회생물학,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 산지니, 서울: 도서출판 산지니, 2008

      66 전현식, "“기후변화와 현대 생태 담론의 흐름.”", 『기후붕괴시대, 아주 불편 한 진실, 조금 불편한 삶』. 서울: 동연출판사, 2010

      67 양해림, "“생태계의 위기와 책임 윤리의 도전.”", 한국철학회, 「철학」제 65집 : 241-267, 2000

      68 하이머, 호르크, "막스/박구용 옮김.『도구적 이성 비판』", 서울: 문예출판사, 2004

      69 성환후, "체세포 복제 기술의 현황과 사업적 활용", 「농업과학연구」 Vol.49 : 205-216, 2015

      70 금인숙, "“지배이데올로기로서 생물학 결정론.”", 한국과학기술학회, 「과학기술학 연구」 Vol.5 : 131-158, 2008

      71 정서용, "「글로벌 기후변화 거버넌스와 국제법」",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11

      72 손호현, "『아름다움과 악: 신학적 미학서설 1권』", 서울: 한들출판사, 2009

      73 전현식, "“포스트휴먼 시대와 환경운동의 좌표.”", 한국교회환경연구소 기획, 『포스트 휴먼 시대, 생명신학 교회를 돌아보다』. 서울: 도서출판 동연, 2017

      74 김균진, "『자연환경에 대한 기독교 신학의 이해』",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2009

      75 이일학, "유전자 맞춤의학연구와 위험의 개념 이해", 「생명윤리정책연 구」제6권 2호 : 26-39, 2012

      76 백종현, "인간 개념의 혼란과 포스트휴머니즘 문제", 「철학사상」51권 : 127-153, 2015

      77 손호현, "다원성과 모호성-구약성서의 신정론 연구,", 한국기독교학회, 「한국기독교신학논 총」 82 : 147-176, 2012

      78 이일학, "임신중절의 허용여부에 관한 윤리적 관점들", 「한국의료법학회」 Vol.11 : 1-9, 2011

      79 김환석, "“생명정치의 사회과학,어떻게 할 것인가?”", 비판사회학회, 「경제와 사회」 통 권 제97 : 13-38, 2013

      80 길리건, "캐롤/허란주 옮김.『심리이론과 여성의 발달』",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4

      81 남순예, "“생태-환경에 관한 화이트헤드 철학의 고찰.”", 한국환경철학회, 「한국환경」Vol.11 : 137-165, 2008

      82 전현식, "“에코페미니즘, 세계화 그리고 생명의 비전.”", 한국교회환경연구소 편 집, 『현대 생태신학자의 신학과 윤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83 조주헌, "“생명정치, 벌거벗은 생명, 페미니스트 윤리.”", 한국여성학회, 「한국여성학」제24호 : 35-64, 2008

      84 문성학, "“인간 존엄성 테제에 한 칸트의 증명과 문제.”", 「철학연구」 96호 : 239-263, 2005

      85 김선욱, "“인간 존엄성의 철학적 근거와 존엄성의 의미.”", 「사색」제21집 : 57-77, 2005

      86 김균진, "“창조신학의 관점에서 본 자연과 인간의 관계.”",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회」 vol 4: 7-43, 1999

      87 김태완, "“예외성의 철학: 조르조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문학과 사회」 제 17권 3호 : 1281-1297, 2004

      88 박지환, 노태영, 이정운, "배아줄기세포 자가증식 및 분화의 후성유전적 조절", 생화학분자생물학회(구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한 국생화학 분자생물학회」34권1호 : 54-63, 2014

      89 김용해, "인간존엄성과 인권을 근거 짓는 작업에서의 문제들", 「사회와 철학」Vol.6 : 217-252, 2003

      90 김현섭, "유전자편집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생명윤리법의 재검토", 한국의료윤리학회, 「한국의 료윤리학회지」, 제20권 : 206-217, 2017

      91 김국태, "“칸트의 존엄성 개념에서 본 인간복제의 윤리적 문제.”", 「시대와 철학」Vol.12 : 257-277, 2001

      92 이용주, "“자연과학과 신학의 대화에 대한 신학적, 비판적 접근.”", 한국기독교학회, 「한국기독교신 학논총」 Vol.70 : 157-185, 2010

      93 호친스키, "토마스/장황식 이경호 옮김.『화이트헤드 철학 풀어읽기』", 서울: 이문출판사, 1988

      94 전현식, "“인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에코페미니즘의 비판적 성찰.”", 한국기독교학회, 「한국기 독교신학 논총」 Vol.44: 141-171, 2006

      95 손호현, "“지진은 하나님의 심판인가?: 고전적 신정론의 네 가지 답들.”", 「신 학사상」 Vol.154 : 179-206, 2011

      96 전현식, "“창조의 보편적 복지에 대한 생태, 윤리적, 과정신학적 고찰.”", 한국기독교학회, 「한국 기독교 신학논총」 제 28집: 125-150, 2003

      97 염운옥, "“영국의 우생학 운동과 산아제한(단종법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영국연구」 제12호 : 235-271, 2004

      98 이용주, "“자유와 결정론의 대립을 넘어: 칸트와 셀링의 근본악 개념을 중심으 로.”", 「신학논단」 Vol 72 : 101-136, 2013

      99 송용섭, "“생명윤리와 개신교의 종교교육-개신교 생명 윤리학의 관점을 중심으 로-.”", 「종교교육학연구」 45권 : 9-47, 2014

      100 이용주, "“자유란 무엇인가? -현대 철학 및 신경과학의 자유개념에 대한 신학적 비판과 제언”", 「한국조직신학논총」 제36집 : 179-213, 2013

      101 양해림, "“니체와 트랜스휴먼(Transhuman) - 슬로터다이크(Peter Sloterdijk) 의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론을 중심으로.”", 한국니체학회, 「한국니체학회」 23권 : 7-41,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