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중문화 활용 예술치료프로그램이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중문화 활용 예술치료프로그램이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
본 연구는 대중문화 활용 예술치료프로그램이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해 아동에게 접근 유용한 대중문화를 활용하여 예술치료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대중문화 활용 예술치료프로그램은 게슈탈트 치료의 ‘지금-여기’이론과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이론을 근거로 설계하였으며, 프로그램에 활용된 대중문화는 애니메이션, 영화, 사진, 잡지, 영상, 가요, 뮤직비디오가 있다. 대중문화 활용 예술치료프로그램은 초기1-2회기, 중기3-8회기, 후기9-10회기의 총 10회기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C시 내에 있는 고신 측 교단에 소속된 교회에 다니는 한부모 가정 아동 중 참여에 동의한 12명을 대상으로 2018년 10월 19일부터 2018년 11월 18일까지 매주 금요일, 일요일 2회씩 60분 동안 대중문화 활용 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 측정도구는 coopersmith(1987)의 자아존중감 검사(Self-Esteem-Inventory; SEI)를 1997년에 신철이 번안한 검사지와 정범모(1971)가 제작한 초등학교 인성검사지 중 사회성을 검사하기 위한 내용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인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교내 자아존중감 전체의 사전-사후 점수와 사회성의 하위영역인 준법성, 협동성, 사교성, 자주성 전체의 사전-사후 점수를 단일 집단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회기별 종결보고서를 함으로 질적인 연구의 내용을 추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중문화 활용 예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한부모 가정 아동은 자아존중감의 4개의 하위영역이 사전-사후검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대중문화 활용 예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한부모 가정 아동은 사회성의 4개의 하위영역이 사전-사후검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의해 본 연구의 대중문화 활용 예술치료프로그램은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popular culture and arts treatment programs can improve self-esteem and sociality of single-parent families. To improve self-esteem and sociality of single-parent families, the art treatment programs were 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popular culture and arts treatment programs can improve self-esteem and sociality of single-parent families. To improve self-esteem and sociality of single-parent families, the art treatment programs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using popular culture that is accessible to children. The popular culture treatment program is designed based on the current-here theory of Gestalt treatment and the positive psychology theory of Selig alone. The popular culture-based art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10 programs in the initial 1-2 cycles, medium to 8 sessions, and late 9-10 sessions.
The program was used twice a week for 60 minutes from October 19, 2018 to November 18, 2008. Self-esteem measurement tool was developed by Shin Cheol-soo (1987) during the Self-Estem-Inventory (SCI), which was developed by him in 1997. Research result analysis used SPSS 25.0 program to analyze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family self-esteem, and self-esteem as a whole In addition, we added the content of quality research by filing a closing report by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of single parents who participated in art treatment programs utilizing popular cultu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re-post-examination in four sub-area self-esteem.
Second, children of single parents who participated in art treatment programs utilizing popular cultu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re-post-examination in four areas of soci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rt treatment program utilizing pop cultur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elf-esteem and sociality of single-parent famili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