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동산 중개업소 입지선정 기준의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부동산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 = Importance Analysis of the Location Selection Criteria for Realtor Off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521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al estate brokerage business in the real estate service area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protection of the property rights of people and in the national economy by serving as one of major sources for employment. It enables real estate transactions by people to be made securely and promptly, and it offers an indispensable service during the transaction of real estate.
      However, the real estate market has been reorganized from a sellers market to a buyers market within the brokerage service, and many people are acquiring a real estate brokerage certificate every year. Also, many brokerage offices are being opened. But still, a considerable number of existing brokerage officers are closing because of difficulties in their business operation. Although the importance of the brokerage business is being perceived and difficult situations are emerging, there are not many systematic studies for solving these difficulties. In particular, studies on the location of brokerage businesses may be still insufficient compared with other business areas.
      In order to solve these difficulties and identify the selection of location in a comprehensive and scientific manner,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for a decision-making process in selecting the location of a brokerage office by applying AHP, an 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that is often used as one of multi-criteria analyses.
      번역하기

      The real estate brokerage business in the real estate service area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protection of the property rights of people and in the national economy by serving as one of major sources for employment. It enables real estate tr...

      The real estate brokerage business in the real estate service area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protection of the property rights of people and in the national economy by serving as one of major sources for employment. It enables real estate transactions by people to be made securely and promptly, and it offers an indispensable service during the transaction of real estate.
      However, the real estate market has been reorganized from a sellers market to a buyers market within the brokerage service, and many people are acquiring a real estate brokerage certificate every year. Also, many brokerage offices are being opened. But still, a considerable number of existing brokerage officers are closing because of difficulties in their business operation. Although the importance of the brokerage business is being perceived and difficult situations are emerging, there are not many systematic studies for solving these difficulties. In particular, studies on the location of brokerage businesses may be still insufficient compared with other business areas.
      In order to solve these difficulties and identify the selection of location in a comprehensive and scientific manner,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for a decision-making process in selecting the location of a brokerage office by applying AHP, an 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that is often used as one of multi-criteria analy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부동산 산업은 국가 산업에서 영향력 있는 산업으로 부상하였다. 규모면에서 여타 산업보다 더 큰 시장규모를 보유하고 있으며, 부가가치가 큰 서비스업종에서도 최고수준이며 성장성이 높은 고부가가치 창출 산업이 되었다. 특히 부동산서비스 관련 분야에서 부동산 중개업은 국민들의 부동산 거래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부동산의 거래과정에 필수불가결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재산권보호와 국민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부동산 중개업은 특성상 주변 배후지에 대한 입지환경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여러 부동산 대상물 중에 어느 분야를 전문화하느냐에 따라 배후지와 업소의 입지선정이 달라지므로 중개업소의 입지선정에 대한 연구의 당위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지선정 기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개업소의 입지선정 요인을 도출하고 그 요인들의 중요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주거용 부동산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공인중개업소는 소득수준, 건물의 위치, 주차시설확보, 중개대상물의 규모, 층수의 순이며, 상업용 부동산 전문 공인중개업소는 건물의 위치, 성장잠재력, 경쟁 중개업소의 경쟁력, 주차시설의 확보, 대중교통 순으로 입지선정 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공인중개사의 비즈니스 활동에 도움이 되고,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입지선정 기준의 도출을 통한 부동산 중개업의 전문성 강화와 최적의 입지선정을 통한 부동산 중개업의 활성화를 통해 부동산 서비스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부동산 산업은 국가 산업에서 영향력 있는 산업으로 부상하였다. 규모면에서 여타 산업보다 더 큰 시장규모를 보유하고 있으며, 부가가치가 큰 서비스업종에서도 최고...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부동산 산업은 국가 산업에서 영향력 있는 산업으로 부상하였다. 규모면에서 여타 산업보다 더 큰 시장규모를 보유하고 있으며, 부가가치가 큰 서비스업종에서도 최고수준이며 성장성이 높은 고부가가치 창출 산업이 되었다. 특히 부동산서비스 관련 분야에서 부동산 중개업은 국민들의 부동산 거래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부동산의 거래과정에 필수불가결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재산권보호와 국민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부동산 중개업은 특성상 주변 배후지에 대한 입지환경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여러 부동산 대상물 중에 어느 분야를 전문화하느냐에 따라 배후지와 업소의 입지선정이 달라지므로 중개업소의 입지선정에 대한 연구의 당위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지선정 기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개업소의 입지선정 요인을 도출하고 그 요인들의 중요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주거용 부동산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공인중개업소는 소득수준, 건물의 위치, 주차시설확보, 중개대상물의 규모, 층수의 순이며, 상업용 부동산 전문 공인중개업소는 건물의 위치, 성장잠재력, 경쟁 중개업소의 경쟁력, 주차시설의 확보, 대중교통 순으로 입지선정 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공인중개사의 비즈니스 활동에 도움이 되고,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입지선정 기준의 도출을 통한 부동산 중개업의 전문성 강화와 최적의 입지선정을 통한 부동산 중개업의 활성화를 통해 부동산 서비스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정우, "한번 읽고 성공하는 부동산 중개업" 평단문화사 2001

      2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3 최수길, "최수길의 부동산 중개박사 되기" 다성기획 2007

      4 이용신, "입지이론에 근거한 충남 부동산중개업의 입지선정" 목원대학교 2006

      5 이희연, "쓰레기 소각장 입지선정에 있어서 퍼지 집합과 AHP이론의 활용" 한국GIS학회 7 (7): 223-236, 1999

      6 전정우, "성공하는 부동산중개업 실패하는 부동산중개업" 평단문화사 2003

      7 부동산 협회, "부동산 중개이론과 실무" 한국공인중개사협회 2003

      8 이봉철, "부동산 중개업 성공전략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04

      9 윤영선, "부동산 산업과 국민경제"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1-21, 2009

      10 권기하, "벤처형 부동산중개업 이렇게 하면 성공한다" 굿인포메이션 2001

      1 전정우, "한번 읽고 성공하는 부동산 중개업" 평단문화사 2001

      2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3 최수길, "최수길의 부동산 중개박사 되기" 다성기획 2007

      4 이용신, "입지이론에 근거한 충남 부동산중개업의 입지선정" 목원대학교 2006

      5 이희연, "쓰레기 소각장 입지선정에 있어서 퍼지 집합과 AHP이론의 활용" 한국GIS학회 7 (7): 223-236, 1999

      6 전정우, "성공하는 부동산중개업 실패하는 부동산중개업" 평단문화사 2003

      7 부동산 협회, "부동산 중개이론과 실무" 한국공인중개사협회 2003

      8 이봉철, "부동산 중개업 성공전략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04

      9 윤영선, "부동산 산업과 국민경제"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1-21, 2009

      10 권기하, "벤처형 부동산중개업 이렇게 하면 성공한다" 굿인포메이션 2001

      11 "국토해양부 부동산중개업자 현황"

      12 서진형, "공인중개사 창업과 경영 이렇게 하면 성공한다" 부연사 2002

      13 김명순, "공인중개사 월 1,000만원 벌기" 한언 2007

      14 김건영, "AHP를 이용한 서울시 소화물일관운송 공동집배송센터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7 (37): 65-76, 2002

      15 이창원, "AHP 모형을 이용한 우편 집중국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9 (9): 171-183,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4-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Association For Housing Policy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15 2.12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