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반도 후기구석기공작의 기원과 편년의 문제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265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반도의 후기구석기시대의 편년은 크게 대형석인과 슴베찌르개를 공반하는 석인석기공작을 초기의 형식이라고 보고 이것은 현재의 절대연대자료를 토대로 4만년 전에서 3만 5천년 전 경에...

      한반도의 후기구석기시대의 편년은 크게 대형석인과 슴베찌르개를 공반하는 석인석기공작을 초기의 형식이라고 보고 이것은 현재의 절대연대자료를 토대로 4만년 전에서 3만 5천년 전 경에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후기구석기의 후기에는 일반적으로 중석기시대로 구분하는 세석인 석기공작이 2만 년 전 경에 발전하게 되는데 이를 전후하여 후기구석기시대에 지속적으로 출현하던 고식의 석영박편석기전통은 점차로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세석인 석기공작은 분명하지는 않지만 1 만년전후한 시기에 까지 지속되며 신석기시작과 함께 사라지게 된다.
      후기구석기문화의 기원은 현재로서는 두 가지의 다른 방향에서 생각되고 있다. 하나는 석인석기의 도입으로 후기구석기가 시작된다는 것과 과도기를 거쳐서 자체 발전하였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다시 말해서, 전ㆍ중기에 나타나는 구식석기들이 발달하여 후기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포함하고 석인은 후기구석기의 중기에 출현한다는 설명이다. 석인석기의 도입은 분명 북방 시베리아 지역에서 북중국을 거쳐 유입된 것으로 보는 것이 보편적이며 이는 흔히 제안하듯이 현생인류의 확산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후기구석기시대에 석영석기전통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에 대해서 석인석기집단 이전에 존재하던 고인류 집단의 문화가 지속되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지만, 시기적으로 볼 때 석인석기와 공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적응과정의 산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한편으로 한반도의 후기구석기문화가 시베리아의 석인석기공작이 전파하여 온 것과 동시에 불규칙한 석영석기를가진 다른 현생인류 집단이 중국의 남부지역에서 들어와서 문화적으로 공존하면서 서서히 문화변동이 일어난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pper Paleolithic in Korea can be divided into two periods; early and late. Early Upper Paleolithic industries consist of long blades and tang points while late of micro-blades. Early Upper Paleolithic industries appeared sometime between 40 k BP ...

      The Upper Paleolithic in Korea can be divided into two periods; early and late. Early Upper Paleolithic industries consist of long blades and tang points while late of micro-blades. Early Upper Paleolithic industries appeared sometime between 40 k BP and 35 k BP on the basis of AMS datings. Micro-blade industries are often thought to have appeared 20 k BP, although some of AMS dates indicate older than this time. Small flake tool industries on vein quartz persisted in the early Upper Paleolithic Age and gradually disappeared at the time of introduction of micro-blade technology.
      Origin of blade industriesis believed to have diffused from Siberian region via Inner Mongolia and northernChina to the Korean peninsula. It is clearly associated with the migrationof the modern man. Continuing appearance stone industries on of quartz or quartzite raw material is often considered an evidence of local development of Upper Paleolithic industries, however the coexistence of the two different industries in the early Upper Paleolithic Age could represent two different origins of modern human in the Korean peninsula. Some Upper Paleolithic immigrants from the Southern China may not have had blade technology, but conventional expedient tools on crude raw material. Although strong possibilityof migration from this area exists, currently no presence of blade has been reported in this area. This would be an alternative explanation for the cultural complexity of the early Upper Paleolithic Age along with an explanation of modern blade maker’s local adaptation to poor raw material after arrival in northeast As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언
      • 2. 한반도의 후기구석기공작의 일반적인 특성
      • 3. 후기구석기유적의 분포
      • 4. 후기구석기시대의 편년과 문제점
      • 5. 후기구석기공작의 기원에 대한 재론
      • 1. 서언
      • 2. 한반도의 후기구석기공작의 일반적인 특성
      • 3. 후기구석기유적의 분포
      • 4. 후기구석기시대의 편년과 문제점
      • 5. 후기구석기공작의 기원에 대한 재론
      • 6. 결어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구석기학회, 2007

      2 (재)호남문화재연구원, "화순 춘양면 우봉리 사창 구석기유적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

      3 이헌종, "호남지역 후기구석기시대 석기문화의 주요 특징에 대한 고찰" 호남고고학회 16 : 5-24, 2002

      4 연세대학교 박물관, "한국의 구석기"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1

      5 성춘택, "한국 후기구석기 문화 유형론" 한국고고학회 59 (59): 4-37, 2006

      6 한창균, "한국 구석기유적의 연대문제에 대한 고찰-절대연대 측정결과와 퇴적층의 형성시기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구석기학보 7 : 2003

      7 이융조, "청주 율량동 구석기 유적" 박물관 2005

      8 이융조, "청원 노산리유적 시굴조사보고서" 충북대학교 박물관ㆍ한국문화재 보호재단 2002

      9 박희현, "창내 후기 구석기문화층의 석기 분석 in: 손보기박사 정년기념 고고인류학 논총" 지식산업사 1998

      10 이융조, "중원지역의 구석기유적" 충북대학교 박물관 2005

      1 한국구석기학회, 2007

      2 (재)호남문화재연구원, "화순 춘양면 우봉리 사창 구석기유적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

      3 이헌종, "호남지역 후기구석기시대 석기문화의 주요 특징에 대한 고찰" 호남고고학회 16 : 5-24, 2002

      4 연세대학교 박물관, "한국의 구석기"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1

      5 성춘택, "한국 후기구석기 문화 유형론" 한국고고학회 59 (59): 4-37, 2006

      6 한창균, "한국 구석기유적의 연대문제에 대한 고찰-절대연대 측정결과와 퇴적층의 형성시기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구석기학보 7 : 2003

      7 이융조, "청주 율량동 구석기 유적" 박물관 2005

      8 이융조, "청원 노산리유적 시굴조사보고서" 충북대학교 박물관ㆍ한국문화재 보호재단 2002

      9 박희현, "창내 후기 구석기문화층의 석기 분석 in: 손보기박사 정년기념 고고인류학 논총" 지식산업사 1998

      10 이융조, "중원지역의 구석기유적" 충북대학교 박물관 2005

      11 도유호, "조선의 구석기시대 문화인 굴포문화에 관하여" 2 : 1964

      12 이동영, "제4기지질학과 고고학의 공동연구" 충북대 선사문화연구소 1992

      13 배기동, "전곡리구석기유적" 연천군ㆍ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1996

      14 배기동, "전곡리1986" 서울대학교 박물관 1989

      15 이기길, "장흥 신북 후기구석기유적 발굴조사 개보" 한국 구석기 학회 2003

      16 이기길, "임실 하가 구석기유적의 조사와 성과" 한국 구석기 학회

      17 이헌종,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의 편년과 석기의 기술형태적 특성의 상관성 연구" 한국상고사학회 44 (44): 5-22, 2004

      18 이헌종, "우리나라 자갈돌석기전통의 보수성과 지속성에 대한 연구" 한국상고사학회 38 : 27-52, 2002

      19 (재)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안동 마애솔숲 문화공원 조성사업부지 내 유적발굴조사 -지도위원회 자료집-" 2007

      20 이선복, "심곡리 구석기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 박물관 2006

      21 이기길, "순천죽내리유적" 조선대학교박물관ㆍ순천시ㆍ익산지방국토관리청 2000

      22 이기길, "순천 월평유적 -1998년 1차 발굴-" 조선대학교박물관․순천시 2002

      23 성춘택, "세석인 제작기술과 세석기" 한국고고학회 38 : 1998

      24 손보기, "석장리의 후기 구석기시대 주거지 학술연구조성비에 의한 보고서" 문교부 1972

      25 손보기, "석장리 선사유적" 동아출판사 1993

      26 장용준, "석영제 석기군의 내재적 발전가능성에 대한 검토-석인기법의 기원과 관련해서-" 한국구석기학회 12 : 2005

      27 김교경, "새로 발견된 만달리 동굴유적" 81 (81): 1981

      28 김현, "사천 이금동 유적" 경남고고학연구소 2002

      29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보성강ㆍ한탄강유역 구석기유적 발굴조사보고서" 1994

      30 서영남, "밀양 고례리 구석기유적 발굴조사개요" 제41회 전국역사학대회준비위원회 1998

      31 최복규, "동해 구미동 구석기 유적" 강원고고학연구소 2004

      32 강원문화재연구소, "동해 고속도로 확장공사 구간 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동해 기곡유적-" 2005

      33 이헌종, "동북아시아 후기구석기 최말기의 성격과 문화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고고학회 39 : 1998

      34 이선복, "동북아시아 구석기 고고학과 민족기원론 in: 한국민족의 기원과 형성(상)" 도서출판 소화 1996

      35 이홍종, "대정동 유적" 고려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ㆍ대전광역시 도시개발 공사 2002

      36 이융조, "단양 수양개 구석기유적 발굴조사 보고, 충주댐수몰지구 문화유적 연장발굴 조사 보고서" 충북대학교박물관 1985

      37 이융조, "단양 수양개 구석기유적 발굴조사 보고, 충주댐 수몰지구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충북대학교박물관 1984

      38 손보기, "단양 도담리 금굴유적 발굴조사보고, 충주댐 수몰지구 문화유적 연장발굴 조사 보고" 충북대학교 박물관 1985

      39 이융조, "단양 구낭굴유적(Ⅱ)-1998년도 조사-" 충북대학교 박물관ㆍ단양군 1999

      40 기전문화재연구원, "남양주 호평동 구석기 유적(1지역) 추가 시굴조사 지도위원회 자료"

      41 기전문화재연구원, "남양주 사능-호평간 도로구간 내 문화재 발굴조사 3차 지도위원회 자료"

      42 이헌종, "나주 당가유적ㆍ촌곡리 유적" 목포대학교 박물관 2004

      43 한국문화재보호재단, "김포 장기지구 문화유적 시ㆍ발굴조사-3차지도위원회 자료-"

      44 한국문화재보호재단, "김포 장기지구 문화유적 발굴조사-5차지도위원회의 자료"

      45 국립공주박물관, "금강의 구석기 문화"

      46 정영화, "구석기시대 회고와 전망,1973-1975" 72 : 1976

      47 배기동, "구석기 유적의 쐐기형 땅문양의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서울경기고고학회 2004

      48 이선복, "구석기 고고학의 편년과 시간층위 확립을 위한 가설" 한국고고학회 42 : 2000

      49 한창균, "광주 삼리 구석기유적" 경기문화재단부설 기전문화 연구원 ㆍ광주시ㆍ2001세계도자기엑스포조직위원회 2003

      50 김기태, "경기도 광주 삼리 구석기유적(2지역)의 석기 연구" 4 : 2001

      51 高星, "關于"中國舊石器時代中期"的探討" 中國科學院古脊椎動物與古人類硏究所 18 (18): 1999

      52 배기동, "朝鮮半島における舊石器時代考古學の最近の發展 in: 舊石器時代の考古學" 學生社 1998

      53 松䕨和人, "日本의 舊石器文化" 3 : 2001

      54 王建, "下川文化-山西下川遺蹟調査報告" 3 : 1973

      55 Hong, S., "Y-Chromosome Evidence of Southern Origin of the East Asian-Specific Haplogroup O3-M122" 77 : 408-419, 2005

      56 Otte, M., "The transition from the Middle to Upper Paleolithic in North Eurasia. In: The Middle to Upper Paleolithic Transition in Eurasia, hypothesis and Facts" Institute of Archaeology and Ethnography Press 20-31, 2005

      57 Derevianko, A.P., "The earliest human migration in Eurasia and the origin of the Upper Paleolithic. In: The Middle to Upper Paleolithic Transition in Eurasia,hypothesis and Facts" Institute of Archaeology and Ethnography Press 5-19, 2005

      58 Mellars, P., "The Upper Paleolithic revolution. In: Prehistoric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42-78, 1998

      59 Wang, Y.P., "The Upper Paleolithic in China, Evaluating the Cultural Features of the Sinbuk Upper Paleolithic Site in the Northeastern Asia" Jangheung County and Chosun University Museum 101-107, 2004

      60 Bae, K. D., "The Siginificance of the Chongokni Paleolithic Stone Industry in the Paleolithic Tradition of East Asia" Univ. of California 1988

      61 Wang, Y.P., "The Pleistocene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of the Paleolithic Cultures in south China" Beijing University Press 1997

      62 Derevianko, A. P., "The Mousterian to Upper Paleolithic transition though the example of the Altai cave and open air site" 2 : 1997

      63 Derevianko, A.P., "The Middleto Upper Paleolithic transition in the Altai (Mongolia and Siberia). In: The Middle to Upper Paleolithic Transition in Eurasia, hypothesis and Facts" Institute of Archaeology and Ethnography Press 183-216, 2005

      64 Klein, R. G., "The Human Career Human biological and Cultural Origins. 2nd e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9

      65 손보기, "The Early Paleolithic Industries of Sokchangni, Korea in: Early Paleolithic in South and East Asia" 233-245, 1978

      66 Mellars, P., "Technological Changes at the Middle-Upper Paleolithic Transition: Economic, Social and Cognitive Perspectives in: The Human Revolution" Edinburgh University 1989

      67 Bae, K.D., "Radiocarbon dates from Paleolithic sites in Korea" 44 : 473-476, 2002

      68 Lbova, L.V., "Problems of dating of the early Upper Paleolithic in the Transbaikal Region" Publishing Department of the Institute of Archaeology and Ethnography 78-82, 2008

      69 Bae, K.D., "Origin and development of Upper Paleolithic industries in the Korean peninsula" 17 (17): 101-103, 2003

      70 Kuzmin, Y.V., "Geoarchaeological Aspects of the origin and spread of microblade technology in Northern and Central Asia In: Origin and Spread of Microblade Technology in Northern Asia and North America" Simon Frazer University 115-124, 2007

      71 Derevianko, A.P., "Formation of the Upper Paleolithic Transition in the Altai, Archaeology" 3 (3): 12-40, 2004

      72 松䕨和人, "A cultural exchange between Kyushu Island and the Korean Peninsula in the Upper Paleolithic age in: 수양개와 그 이웃들 2" 1997

      73 寧夏博物館, "1980年水洞溝遺蹟發掘報告" 439-450,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Asian Culture Studies -> Asian Cultural Studies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6 0.974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