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엑스플로 74가 한국교회와 선교운동에 미친 영향 = Explo 74 and Its Historical Meaning in the Korean Church and Mission M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237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70년대 한국은 경제와 정치의 총체적 문제를 안고 미래를 개척하던 시기였다. 이 시기에 한국교회에 일어났던 엑스플로 ’74 대회는 급격한 변화와 위기를 경험하던 상황을 잘 극복하고 한국 민족과 교회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를 잘 보여준 역사적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엑스플로 ’74의 역사적 배경을 1970 년대 한국 사회와 교회의 상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 대회에 미친 김준곤 목사의 영향력을 고찰하는 가운데, 엑스플로 ’74의 한국교회사적 의미는 첫째로, 한국교회 평신도운동의 토대와 교회연합운동의 발판 마련했다는 점이다. 둘째로, 대중전도운동과 교회성장의 기반 조성했다는 것이다. 셋째로는 김준곤 목사의 한국교회 결집과 민족복음화운동 및 세계선교운동의 저변을 확대하는 데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이다. 김준곤 목사는 초기의 귀한 신앙적인 특성과 전통을 해방과6.25전쟁 이후에도 한국교회와 사회에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혼신의 힘을 다한 구국적 교회 지도자였다. 초기의 선교사들과 한국교회 지도자들이 참여한 개화와 민족운동, 복음전도를 강조하며부흥을 이루어 나가면서도 사회참여를 통해 한국사회에 지대한 공헌을 했던 아름다운 유산들을 김준곤은 그의 민족복음화운동에 담아 새로운 시대와 상황에 적용하기 위해 자신의 삶을 드린 것이다. 그런 면에서, 김준곤 목사의 민족복음화운동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문화명령(창 1:28)과 선교·전도대사명(마 24:18-20)을 한국교회사 속에서 가장 잘 구현한 운동 중의 하나이며, 엑스플로 ’74 는 그러한 좋은 역사적 실례라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1970년대 한국은 경제와 정치의 총체적 문제를 안고 미래를 개척하던 시기였다. 이 시기에 한국교회에 일어났던 엑스플로 ’74 대회는 급격한 변화와 위기를 경험하던 상황을 잘 극복하고 한...

      1970년대 한국은 경제와 정치의 총체적 문제를 안고 미래를 개척하던 시기였다. 이 시기에 한국교회에 일어났던 엑스플로 ’74 대회는 급격한 변화와 위기를 경험하던 상황을 잘 극복하고 한국 민족과 교회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를 잘 보여준 역사적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엑스플로 ’74의 역사적 배경을 1970 년대 한국 사회와 교회의 상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 대회에 미친 김준곤 목사의 영향력을 고찰하는 가운데, 엑스플로 ’74의 한국교회사적 의미는 첫째로, 한국교회 평신도운동의 토대와 교회연합운동의 발판 마련했다는 점이다. 둘째로, 대중전도운동과 교회성장의 기반 조성했다는 것이다. 셋째로는 김준곤 목사의 한국교회 결집과 민족복음화운동 및 세계선교운동의 저변을 확대하는 데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이다. 김준곤 목사는 초기의 귀한 신앙적인 특성과 전통을 해방과6.25전쟁 이후에도 한국교회와 사회에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혼신의 힘을 다한 구국적 교회 지도자였다. 초기의 선교사들과 한국교회 지도자들이 참여한 개화와 민족운동, 복음전도를 강조하며부흥을 이루어 나가면서도 사회참여를 통해 한국사회에 지대한 공헌을 했던 아름다운 유산들을 김준곤은 그의 민족복음화운동에 담아 새로운 시대와 상황에 적용하기 위해 자신의 삶을 드린 것이다. 그런 면에서, 김준곤 목사의 민족복음화운동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문화명령(창 1:28)과 선교·전도대사명(마 24:18-20)을 한국교회사 속에서 가장 잘 구현한 운동 중의 하나이며, 엑스플로 ’74 는 그러한 좋은 역사적 실례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1970s, South Korea was developing its future while the nation was facing general economic and political problems. Explo ’74, the five-day evangelistic training event that took place in a Korean church in Seoul during that period, considered a historical event that was able to overcame rapid changes as well as crisis and displayed the direction excellently in which both Koreans and Korean churches should head.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Explo ’74; the focus will be on the situation of both society and the church in Korea in the 1970s, and its three historical significances as it reflects on Rev. Dr. Joon Gon Kim’s influence on this international Christian congress. First, it established a foothold for the foundation of the lay movements in the Korean churches and for the church union movements. Second, it made preparations for the Mass Evangelism Movement and the church growth. Third, Dr. Kim had a great capacity to have an effect on uniting Korean churches and expanding the base of the National Evangelism Movement and the World Missionary Movement. Rev. Dr. Joon Gon Kim was a South Korean church leader who did his very best to fulfill the valuable faithful characteristics and traditions of the early days effectively in the Korean church and society even after the days of the country’s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He gave his own life in order to apply the beautiful legacies, which he contributed greatly made to Korean society through his social participation, in new generations and situations by capturing them into his national evangelism movement as he emphasized the enlightenment, the nationalist movement, and evangelism in which early missionaries and Korean church leaders participated, and achieved revival. In that respect, his national evangelism movement is one of the movements that best embodies two thing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both the cultural mandate (Gen esis 1:28) and the Great Commission (Matthew 24:18-20) that God has given to us; and Explo ’74 can be considered a good historical example.
      번역하기

      During the 1970s, South Korea was developing its future while the nation was facing general economic and political problems. Explo ’74, the five-day evangelistic training event that took place in a Korean church in Seoul during that period, consider...

      During the 1970s, South Korea was developing its future while the nation was facing general economic and political problems. Explo ’74, the five-day evangelistic training event that took place in a Korean church in Seoul during that period, considered a historical event that was able to overcame rapid changes as well as crisis and displayed the direction excellently in which both Koreans and Korean churches should head.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Explo ’74; the focus will be on the situation of both society and the church in Korea in the 1970s, and its three historical significances as it reflects on Rev. Dr. Joon Gon Kim’s influence on this international Christian congress. First, it established a foothold for the foundation of the lay movements in the Korean churches and for the church union movements. Second, it made preparations for the Mass Evangelism Movement and the church growth. Third, Dr. Kim had a great capacity to have an effect on uniting Korean churches and expanding the base of the National Evangelism Movement and the World Missionary Movement. Rev. Dr. Joon Gon Kim was a South Korean church leader who did his very best to fulfill the valuable faithful characteristics and traditions of the early days effectively in the Korean church and society even after the days of the country’s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He gave his own life in order to apply the beautiful legacies, which he contributed greatly made to Korean society through his social participation, in new generations and situations by capturing them into his national evangelism movement as he emphasized the enlightenment, the nationalist movement, and evangelism in which early missionaries and Korean church leaders participated, and achieved revival. In that respect, his national evangelism movement is one of the movements that best embodies two thing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both the cultural mandate (Gen esis 1:28) and the Great Commission (Matthew 24:18-20) that God has given to us; and Explo ’74 can be considered a good historical exampl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