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주의와 인정의 정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904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현대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정당성을 탐구하고, 이에 대한 결론으로 새 로운 이론적 토대에 다문화주의를 정초하고자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많은 다문화주의 옹 호자들은 자유주의나 공동체주의 맥락에서 다문화주의를 전개, 변용, 발전시켜 왔지만 오 늘날 이런 사상적 흐름은 이론적 측면에서나 현실의 다양한 맥락에서 비판받고 그 유용성 이 의심받고 있다. 1970년대 이후 다문화주의가 소수자 문제를 제기하며 사회의 실질적 평등을 위한 대안적 또는 보완적 이론으로 각광받아 왔으나, 2000년대 이후 다양한 영역 에서 다문화주의 실패가 선언되고 있다. 이런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에 직면하여 필자는 이런 원인을 지금까지의 다문화주의가 자유주의나 공동체주의의 한 측면만을 강조하여 다 문화주의가 추구하고자 하는 다양성과 사회적 통합이라는 이중적 가치를 제대로 실현하지 못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따라서 필자는 먼저 다문화주의 실패에 대한 대응을 자유주의 자인 윌 킴리카의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와 공동체주의자인 찰스 테일러의 공동체주의적 다문화주의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그 후 각각의 이론이 다양성과 통합이라는 다원주의의 가치를 제대로 실현하지 못함을 지적하고 이를 종합한 이론적 토대에서 현대 사회에 적절 할 수 있는 다문화주의 이론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이 글의 목적은 현대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정당성을 탐구하고, 이에 대한 결론으로 새 로운 이론적 토대에 다문화주의를 정초하고자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많은 다문화주의 옹 호자들은 자...

      이 글의 목적은 현대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정당성을 탐구하고, 이에 대한 결론으로 새 로운 이론적 토대에 다문화주의를 정초하고자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많은 다문화주의 옹 호자들은 자유주의나 공동체주의 맥락에서 다문화주의를 전개, 변용, 발전시켜 왔지만 오 늘날 이런 사상적 흐름은 이론적 측면에서나 현실의 다양한 맥락에서 비판받고 그 유용성 이 의심받고 있다. 1970년대 이후 다문화주의가 소수자 문제를 제기하며 사회의 실질적 평등을 위한 대안적 또는 보완적 이론으로 각광받아 왔으나, 2000년대 이후 다양한 영역 에서 다문화주의 실패가 선언되고 있다. 이런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에 직면하여 필자는 이런 원인을 지금까지의 다문화주의가 자유주의나 공동체주의의 한 측면만을 강조하여 다 문화주의가 추구하고자 하는 다양성과 사회적 통합이라는 이중적 가치를 제대로 실현하지 못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따라서 필자는 먼저 다문화주의 실패에 대한 대응을 자유주의 자인 윌 킴리카의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와 공동체주의자인 찰스 테일러의 공동체주의적 다문화주의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그 후 각각의 이론이 다양성과 통합이라는 다원주의의 가치를 제대로 실현하지 못함을 지적하고 이를 종합한 이론적 토대에서 현대 사회에 적절 할 수 있는 다문화주의 이론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a theoretical justification for multiculturalism. Since the 1970s, multiculturalism has been recognized in the West as a new political idea for social integration. However, the recognition of diversity advocated by multiculturalism has led to division and discrimination rather than social integration. Thus, failures of multiculturalism have been declared in Europe since the 2000s. This reflects the situation in which multiculturalism is in trouble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Therefore, I want to reflect on this multiculturalism situation and seek for a version of multiculturalism that can combine recognition of diversity and social integration. To this end, we will first examine liberal philosopher Will Kymlicka's claim of liberal multiculturalism and communitarian philosopher Charles Taylor's multiculturalism. These two philosophers aim to respond to the failure of multiculturalism in the view of synthesizing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However, my position is that both liberal and communitarian multiculturalism theories have limitations. Therefore, I will need recognition of multi-identity and interculturalism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multiculturalism and to justify the theory of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ism should continue to spread for recognition of diversity and social integration.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at a theoretical justification for multiculturalism. Since the 1970s, multiculturalism has been recognized in the West as a new political idea for social integration. However, the recognition of diversity advocated by multiculturalism ...

      This paper aims at a theoretical justification for multiculturalism. Since the 1970s, multiculturalism has been recognized in the West as a new political idea for social integration. However, the recognition of diversity advocated by multiculturalism has led to division and discrimination rather than social integration. Thus, failures of multiculturalism have been declared in Europe since the 2000s. This reflects the situation in which multiculturalism is in trouble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Therefore, I want to reflect on this multiculturalism situation and seek for a version of multiculturalism that can combine recognition of diversity and social integration. To this end, we will first examine liberal philosopher Will Kymlicka's claim of liberal multiculturalism and communitarian philosopher Charles Taylor's multiculturalism. These two philosophers aim to respond to the failure of multiculturalism in the view of synthesizing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However, my position is that both liberal and communitarian multiculturalism theories have limitations. Therefore, I will need recognition of multi-identity and interculturalism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multiculturalism and to justify the theory of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ism should continue to spread for recognition of diversity and social integr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머리말
      • 2. 다문화주의의 이론과 현실
      • 3. 다문화주의의 대응
      • 가.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
      • 요약문
      • 1. 머리말
      • 2. 다문화주의의 이론과 현실
      • 3. 다문화주의의 대응
      • 가.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
      • 나. 공동체주의적 다문화주의
      • 4. 다시 쓰는 다문화주의
      • 5.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윌 킴리카, "현대 정치철학의 이해" 동명사 2016

      2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3 김비환, "한국사회의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 통합: 다문화주의의 한국적 변용과 시민권 문제" 10 (10): 2007

      4 오경석, "한국 다문화주의의 재모색" 국제언어인문학회 12 (12): 447-478, 2010

      5 한건수, "한국 다문화주의의 성찰과 전망" 아연출판부 2014

      6 윤인진, "한국 다문화주의의 성찰과 전망" 아연출판부 2014

      7 윤인진, "한국 다문화주의의 성찰과 전망" 아연출판부 2014

      8 김희강,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 앨피 2016

      9 이진형,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 앨피 2016

      10 이용승,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 앨피 2016

      1 윌 킴리카, "현대 정치철학의 이해" 동명사 2016

      2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3 김비환, "한국사회의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 통합: 다문화주의의 한국적 변용과 시민권 문제" 10 (10): 2007

      4 오경석, "한국 다문화주의의 재모색" 국제언어인문학회 12 (12): 447-478, 2010

      5 한건수, "한국 다문화주의의 성찰과 전망" 아연출판부 2014

      6 윤인진, "한국 다문화주의의 성찰과 전망" 아연출판부 2014

      7 윤인진, "한국 다문화주의의 성찰과 전망" 아연출판부 2014

      8 김희강,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 앨피 2016

      9 이진형,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 앨피 2016

      10 이용승,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 앨피 2016

      11 김희강,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 앨피 2016

      12 김순양, "한국 다문화사회의 이방인: 사회적 배제와 정책적 대응" 집문당 2013

      13 세일라 벤하비브, "타자의 권리" 철학과현실사 2008

      14 이연희, "찰스 테일러의 윤리사상 연구-실천학으로서 윤리학의 재건과 관련하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6

      15 앤드류 포터, "진정성이라는 거짓말" 마티 2016

      16 아마르티아 센, "정체성과 폭력" 바이북스 2009

      17 이상환, "정체성 정치의 두 얼굴: 정체성 정치에서 탈중심화된 시민권으로" 대동철학회 87 : 177-202, 2019

      18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 서광사 1992

      19 김현미, "이주자와 다문화주의" (26) :

      20 김남국, "심의 다문화주의: 문화적 권리와 문화적 생존" 한국정치학회 39 (39): 87-108, 2005

      21 송은영, "세계화 시대의 다문화주의와 메트로폴리탄 주체"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0) : 65-87, 2009

      22 김창근, "상호문화주의의 원리와 과제: 다문화주의의 대체인가 보완인가?" 한국윤리학회 1 (1): 183-214, 2015

      23 케빈 올슨, "불평등과 모욕을 넘어" 그린비 2016

      24 프랑수아 줄리앙, "문화적 정체성은 없다" 교유서가 2020

      25 정미라, "문화다원주의와 인정윤리학" 범한철학회 36 (36): 211-233, 2005

      26 임현묵, "문화다양성의 정치 연구 :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와 그 비판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2

      27 문재원, "로컬리티와 다문화의 대화성: 자기서사 구성하기" 인문과학연구소 (71) : 35-66, 2014

      28 장의관, "다문화주의의 한국적 수용: 주요 쟁점의 분석과 정책 대응" 세종연구소 17 (17): 123-148, 2011

      29 전형권, "다문화주의의 정치사상적 쟁점 : ‘정의’와 ‘인정’ 그리고 ‘소통’으로 서의 다문화 정치" 24 (24): 2014

      30 김정현,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의 차이에 대한 한 해석 찰스 테일러의 견해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82 : 70-99, 2017

      31 손철성, "다문화주의와 관련된 몇 가지 쟁점들" 대한철학회 107 : 1-26, 2008

      32 윌 킴리카, "다문화주의 시민권" 동명사 2010

      33 윌 킴리카, "다문화주의 개론" 실크로드 2013

      34 Amy Gutmann, "Multiculturalism: Examining the politics of recogni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53 1.021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