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일생의례의 동아시아적 보편성과 고유성을 밝히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한 분석 기준은 동아시아가 유교문화권에 있기 때문에 유교식 관혼상제를 일생의례의 보편성으로 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37469
2009
Korean
일생의례 ; 보편성 ; 고유성 ; 유교식 ; 유교문화권 ; 관혼상제 ; 관례 ; 혼례 ; 상례 ; 제례 ; life-long ceremonies ; universality ; peculiarity ; Confucian style ; Confucian culture ; the four ceremonial occasions ; the one of coming-of-age ; the one of marriage ; the one of funeral ; and the one of ancestral worship
KCI등재
학술저널
69-96(28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일생의례의 동아시아적 보편성과 고유성을 밝히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한 분석 기준은 동아시아가 유교문화권에 있기 때문에 유교식 관혼상제를 일생의례의 보편성으로 보...
한국 일생의례의 동아시아적 보편성과 고유성을 밝히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한 분석 기준은 동아시아가 유교문화권에 있기 때문에 유교식 관혼상제를 일생의례의 보편성으로 보았다. 보편성과 고유성은 상대적이기 때문에 동아시아적 보편성이 서구의 입장에서는 고유성이 될 수 있고, 그 반대의 논리도 가능하다.
한국 일생의례의 동아시아적 보편성은 다른 민족이나 국가와 마찬가지로 관혼상제의 전통을 수용하고 있는 점이다. 이에 반해 한국 일생의례의 고유성은 첫째, 동아시아에서 유교식 관혼상제가 가장 온전한 형태로 남아 있다는 것이다. 둘째, 유교식 일생의례를 한국의 고유한 문화에 맞게 변용하여 수용한 것이라고 하겠다. 셋째는 기존의 고유신앙과 유교식 관혼상제가 융화하여 한국의 고유성을 강하게 드러나게 했다는 것이다.
산업화 도시화로 인해 유교적 성격이 가장 강한 한국의 일생의례 역시 간소화와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하나의 습관이 형성되면 변화를 통해 지속되듯, 이러한 외형적 변화는 한국 일생의례의 고유성을 지속하는 하나의 원리라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rying to look into the East Asian universality and peculiarity of Rites of Passage. The analytical method is that since East Asia is being sit in the middle of the Confucian culture, the four ceremonial occasions such as the one of comi...
This paper is trying to look into the East Asian universality and peculiarity of Rites of Passage. The analytical method is that since East Asia is being sit in the middle of the Confucian culture, the four ceremonial occasions such as the one of coming-of-age, the one of marriage, the one of funeral and the one of ancestral worship are conceived as universality of Rites of Passage.
However, the universality and peculiarity can be relative in nature. For example, from the Westerners’ perspective, the East Asian universality can be peculiarity and vice versa.
The East Asian universality of Rites of Passage has in common with other ethnics or countries is that Koreans accept the tradition of the four ceremonial occasions as well.
On the contrary, there are three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peculiarity of Korean Rites of Passage has; the first one is that Korea is the only place where the Confucian four ceremonial occasions are remained as a fully intact form. The second one is that the Confucian Rites of Passage were being accepted and fit into the Korean culture. In other words, the Confucian Rites of Passage were transformed and emerged into the Korean culture. The third one is that harmonizing folk beliefs and myth with the Confucian Rites of Passage strongly shows Korean peculiarity.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Korean Rites of Passage having the rigid Confucian style are changing such as the ceremonies themselves getting simplified.
Once a kind of custom is patterned, it will be continued through the constant changes. Accordingly, these kinds of external changes can be defined as one principle maintaining the peculiarity of Korean Rites of Passag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禮記"
2 "梁書"
3 장철수, "한국의 평생의례에 나타난 생사관. in:동아시아 기층문화에 타나난 죽음과 삶" 민속원 2001
4 Martina Deuchler, "한국사회의 유교적 변환" 아카넷 2005
5 이필영, "한국고대의 장례의식 연구" 한남대학교 17 : 1987
6 변태섭, "한국고대의 계세사상과 조상숭배신앙" 역사교육연구회 (3-4) : 1958
7 Roger L. Janelli, "한국 조상숭배 의식의 연구" 한국문화인류학회 7 : 1975
8 장철수, "한국 전통사회의 관혼상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9 김시덕, "한국 유교식 상례의 연구" 고려대학교 2007
10 장주근, "한국 민간신앙의 조상숭배-유교 제례 이외의 전승 자료에 대하여" 한국문화인류학회 15 : 1983
1 "禮記"
2 "梁書"
3 장철수, "한국의 평생의례에 나타난 생사관. in:동아시아 기층문화에 타나난 죽음과 삶" 민속원 2001
4 Martina Deuchler, "한국사회의 유교적 변환" 아카넷 2005
5 이필영, "한국고대의 장례의식 연구" 한남대학교 17 : 1987
6 변태섭, "한국고대의 계세사상과 조상숭배신앙" 역사교육연구회 (3-4) : 1958
7 Roger L. Janelli, "한국 조상숭배 의식의 연구" 한국문화인류학회 7 : 1975
8 장철수, "한국 전통사회의 관혼상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9 김시덕, "한국 유교식 상례의 연구" 고려대학교 2007
10 장주근, "한국 민간신앙의 조상숭배-유교 제례 이외의 전승 자료에 대하여" 한국문화인류학회 15 : 1983
11 송재용, "한․중․일․의례에 나타난 공통성과 다양성" 비교민속학회 21 : 2001
12 김영재, "중국의 혼례문화" 국립민속박물관 2008
13 지두환, "조선왕실의 통과의례 관혼상제"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4
14 최길성, "조상숭배의 한 일 비교" 한국문화인류학회 18 : 1986
15 이창기, "제주도 제사분할의 사례연구"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3 : 1992
16 김미영, "제사 모셔가기에 나타난 유교이념과 양반지향성"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9) : 1999
17 임재해, "장례 관련 놀이의 반의례적 성격과 성의 생명 상징" 비교민속학회 12 : 1995
18 한양명, "일생의례의 축제성 : 장례의 경우. in:아시아일생의례의 비교연구" 비교민속학회 2009
19 김시덕, "유교식 제사 실천을 위한 감모여재도. in:종교와 그림" 민속원 2009
20 홍순창, "신라 유교사상의 재조명"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2 : 1991
21 이문주, "성인식으로서의 관례의 구조와 의미분석" 한국유교학회 17 (17): 25-50, 2002
22 장철수, "사당의 역사와 위치에 관한 연구" 문화재관리국 1990
23 고원, "박정희정권 시기 가정의례준칙과 근대화의 변용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역사학회 9 (9): 191-223, 2006
24 장주근, "무속의 조상숭배" 한국문화인류학회 18 : 1986
25 양승윤, "동남아의 장례문화"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6
26 김시덕, "도시 장례식장에서 지속되는 상례의 문화적 전통" 실천민속학회 9 : 107-135, 2007
27 전경수, "관혼상제의 전통 만들기 : 동아세아 유교문화와 주변문화론의 적실성" 한국역사민속학회 (19) : 53-77, 2004
28 권순형, "고려시대 婿留婦家婚에 대한 연구" 이대사학회 30 : 1997
29 김시덕, "고구려 상례문화의 정체성" 한국역사민속학회 (18) : 385-416, 2004
30 김시덕, "가정의례준칙이 현행 상례에 미친 영향" 한국역사민속학회 12 : 2001
31 최홍기, "가정의례. in: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32 "高麗史節要"
33 "高麗史"
34 "高麗史"
35 "順菴先生文集"
36 도민재, "社會變化에 따른 祭禮의 諸問題" 한국유교학회 16 (16): 49-77, 2002
37 "磻溪隧錄"
38 "燃藜室記述"
39 "東國李相國集"
40 "朝鮮王朝實錄"
41 上野和男, "新版 民俗調査ハンドブック" 吉川弘文館 1987
42 "家禮"
43 육정임, "宋代 祖上祭祀와 祭禮의 再構想 -계급의 表象에서 宗族결집의 수단으로-" 고려사학회 27 (27): 313-349, 2007
44 "四禮便覽"
45 "喪禮備要"
46 鈴木清一, "台湾旧慣 冠婚葬祭と年中行事" 南天書局有限公司 1934
47 "南史"
48 "北史"
49 宮田登, "冠婚葬祭" 岩波書店 1999
50 鈴木保, "儀礼-文化と形式的行動" 東京大学出版会 1988
51 倉石あつこ, "人生儀礼事典" 初学館 2000
52 陶立璠, "中國民俗學의 理解" 집문망 1997
53 "三峰集"
54 "三國志"
55 "三國史記"
56 Robert Redfild, "The Social Organization of Tradition. in:Peasant Society A reader" University of California 1967
57 Roger L. Janelli, "Ancestor Worship and Korean Societ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2
‘신성과의 소통방식’을 통해 본 무속의례와 신화의 공간성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4 | 0.79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