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일본어의 지정문(指定文)에 관한 연구는 명사술어문 「AがBだ」문에 한정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일본어의 지정문의 범위를 확대하여, 형용사문과 동사문을 고찰의 대상으로 포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75928
2016
-
0
학술저널
75-101(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일본어의 지정문(指定文)에 관한 연구는 명사술어문 「AがBだ」문에 한정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일본어의 지정문의 범위를 확대하여, 형용사문과 동사문을 고찰의 대상으로 포함...
지금까지 일본어의 지정문(指定文)에 관한 연구는 명사술어문 「AがBだ」문에 한정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일본어의 지정문의 범위를 확대하여, 형용사문과 동사문을 고찰의 대상으로 포함시킬 것을 주장하는 것이다. 먼저 명사술어문 「AがBだ」문이 지정문으로 해석되는 이유가 문형이 아니라 문맥에 있음을 밝히고, 문맥에 따라서는 각각의 문(文)을 조정문으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경우가 있음을 제시했다. 이러한 사실에 비추어볼 때, 「AがBだ」문의 실체는 중립적인 문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위의 사실을 바탕으로 하여 형용사문과 동사문의 경우에도 지정문의 해석이 성립할 가능성이 있음을 밝혔다. 또, 형용사문과 동사문의 경우에도 명사문의 지정문과 마찬가지로 도치지정문(倒置指定文)이 성립할 가능성을 확인했다. 또한, 지정문이 실제로는 중립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음에 반해 도치지정문은 그러한 중립적인 의미가 지정의 의미로 고정되는 경향을 보인다는 사실에도 주목하였다. 지정문과 도치지정문의 이러한 경향은 각각에 쓰인 조사「ga(が)」와「wa(は)」의 성질에 의한 것으로 짐작된다.
식민지기 일본어 조선종교관련 단행본 목록작성에 관한 소고
Effects of Awareness of Stress And Intonation on Listening Comprehen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