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건 남자들 놀이야”: 만 5세 여자유아들의 대립적 젠더구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82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사례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만 5세 여자유아들이 이분법적 젠더체제 내에서 구성한 (남자유아와) 대립적인 젠더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 학기 동안 서울에 소재한 ...

      본 사례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만 5세 여자유아들이 이분법적 젠더체제 내에서 구성한 (남자유아와) 대립적인 젠더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 학기 동안 서울에 소재한 사립 유치원의 한 학급에서 참여관찰, 음성녹음, 면담과 연구자저널을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결과는 여자유아들이 두 개의 젠더범주 한 쪽에 자리매김하면서 이분법적 젠더체제가 규정하는 협소한 방식으로 젠더를 구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여자유아들은 젠더 경계선을 중심으로 분리된 공간을 사용하고 놀이주제 혹은 놀잇감에 대한 젠더화된 선호를 보이며 남자유아와는 대립적 젠더를 구성했다. 또한 이들은 두 범주 사이의 모호한 젠더를 구성하는 또래를 대상으로 범주유지 작업(Davies 2003)을 벌여 교실에서 이분법적 젠더체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 기관에서 양성평등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y conceptualizing gender as a social construction, this study is to explore Korean girls' constructions of oppositional gender in a kindergarten class for 5-year-olds, located in Seoul. For doing this, I collected and analyzed the four sets of qualit...

      By conceptualizing gender as a social construction, this study is to explore Korean girls' constructions of oppositional gender in a kindergarten class for 5-year-olds, located in Seoul. For doing this, I collected and analyzed the four sets of qualitative data (fieldnotes from participant observation, audiotapes, interviews and research journals). The findings illustrate that the girls constructed themselves as oppositional beings against boys by correctly positioning themselves within the gender binary. The girls occupied separate space from boys, made gendered choices in indoor free-choice activity, and categorized play themes and/or materials according to gender. Ambiguous or vague positions between the binary categories provoked category maintenance work in the research setting. By participating in category maintenance work, the girls normalized and legitimized themselves as separate, distinct, and even oppositional beings from boy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reswell,J.W, "질적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전통" 학지사 2005

      2 김경옥, "유아의 성역할 사회화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K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2004

      3 박선영, "유아의 성 인식과 성역할 고정관념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중앙대학교 2001

      4 구광현,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역할 정체성과 성역할에 관한 자녀양육태도" 9 : 197-218, 2001

      5 황정아, "보육시설 교사들의 성역할 의식에 다른 양성평등 의식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2002

      6 MacNaughton,G, "‘You can be dad’: Gender and power in domestic discourses and fantasy play within early childhood" 1 : 93-101, 1994

      7 Walcott,H.F, "Writing up: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2001

      8 Martin,K.A, "William wants a doll. Can he have one?:Feminist, child care advisors, and gender-neutral child rearing" 19 (19): 456-479, 2005

      9 Danby,S, "The serious and playful work of gender: Talk and social order in a preschool classroom. In Gender in early childhood" Routledge 175-203, 1998

      10 Reay,D, "Spice girls’, ‘nice girls’, ‘girlies’, and ‘tomboys’: Gender discourses, girls’ cultures and femininities in the primary classroom" 13 (13): 153-166, 2001

      1 Creswell,J.W, "질적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전통" 학지사 2005

      2 김경옥, "유아의 성역할 사회화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K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2004

      3 박선영, "유아의 성 인식과 성역할 고정관념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중앙대학교 2001

      4 구광현,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역할 정체성과 성역할에 관한 자녀양육태도" 9 : 197-218, 2001

      5 황정아, "보육시설 교사들의 성역할 의식에 다른 양성평등 의식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2002

      6 MacNaughton,G, "‘You can be dad’: Gender and power in domestic discourses and fantasy play within early childhood" 1 : 93-101, 1994

      7 Walcott,H.F, "Writing up: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2001

      8 Martin,K.A, "William wants a doll. Can he have one?:Feminist, child care advisors, and gender-neutral child rearing" 19 (19): 456-479, 2005

      9 Danby,S, "The serious and playful work of gender: Talk and social order in a preschool classroom. In Gender in early childhood" Routledge 175-203, 1998

      10 Reay,D, "Spice girls’, ‘nice girls’, ‘girlies’, and ‘tomboys’: Gender discourses, girls’ cultures and femininities in the primary classroom" 13 (13): 153-166, 2001

      11 Eder, D, "School Talk: Gender and adolescent culture" Rutgers Univ. Press 1995

      12 MacNaughton,G, "Rethinking gende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aul Chapman 2000

      13 Merriam,S.D,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 in education" Jossey-Bass publishers 1998

      14 Blaise,M, "Playing it straight: Uncovering gender discourses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Routledge 2005

      15 Maccoby,E.E, "Perspectives on gender development" 1 : 93-101, 2000

      16 Francis,B, "Oppositional positions: Children's construction of gender in talk and role plays based on adult occupation" 40 (40): 31-43, 1998

      17 Knaak,S, "On the reconceptualizing of gender: Implications for research design" 74 (74): 301-317, 2004

      18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85

      19 Lather,P.A, "Getting smart: Feminist research and pedagogy with/in the postmodern" Routledge 1991

      20 Leaper,C, "Gender, affilination, assertaion, and the interactive content of parent-child play" 36 (36): 381-393, 2000

      21 Bem,S.L, "Gender schemata theory and its implication for child development: Raising gender-aschematic children in a gender schematic society" 8 (8): 598-616, 1983

      22 Thorne,B, "Gender play: Girls and boys in school" Rutgers University Press 1993

      23 Sclaes, B, "Gender in narrative and Play: A view from the frontier" 5 : 167-195, 1993

      24 Ebbeck,M, "Gender in early childhood revisited" 23 (23): 29-34, 1998

      25 Butler,J, "Gender Trouble: Feminisms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10th anniversary ed.)" Routledge 1999

      26 Davies,B, "Frog and snails and feminist tales:Preschool children and gender(Rev.ed)" Hampton Press Inc. 2003

      27 Harper, L. V, "Free play use of space by preschoolers from diverse backgrounds: Factors influencing activity choices" 44 (44): 423-436, 1998

      28 Cannella,G.S, "Deconstruc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Social justice and revolution" P.Lang 1997

      29 Martin, C. L, "Children’s search for gender cues: Cognitive perspectives on gender development" 13 (13): 67-70, 2004

      30 Stake,R.E, "Case studies. In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435-450, 2000

      31 Paley,V.G, "Boys & Girls: Superheroes in the doll corne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4

      32 Yelland, N, "Blurring the edges. In Gender in early childhood" Routledge 1-11, 1998

      33 Glesne,C,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2nd ed.)" Longman 1999

      34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1998

      35 Änggård,E, "Barbie princesses and dinosaur dragons: narration as a way of doing gender" 17 (17): 539-553, 2005

      36 Messner,M.A, "Barbie girls versus sea monsters: Children constructing gender" 14 (14): 765-784, 2000

      37 Kohlberg,L.A, "A cogntive-developmental analysis of children sex-role concepts and attitude. In The development of sex differences" Standford University Press 87-173, 196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