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화장품 전 성분 표시제에 대한 소비자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Consumers' Recognition on Full Ingredient Labeling System for Cosme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112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work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full ingredient labeling system of cosmetics on the cosmetic product selection when the women see if a certain kind that they purchase fits them after choosing a group of women at the age from the 20s to the 50s and analyzing how well they are aware of this system. According to the finding, most of the consumer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know well what the full ingredient labeling system of cosmetics is. Though recognized by part of them, it was indicated that they were in the recognizable level only enough to say "There is an overall marking on the cosmetic ingredients," and this belonged to the highest percentile group out of the recognized users. Thus, there is yet to be improved on this system. The indicative part that the consumers pay attention to carefully was the product name and brand with the highest responding rate. The next was the production number and date and then all ingredients used for production of cosmetics. Judging from this fact, it can be inferred that many of the consumers regard most important the product name and its brand and that the full ingredient labeling system does not give much influence on their purchasing behavior for cosmetics. This implies that som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think over the effectiveness about the full ingredient labeling system of cosmetics which was adopted as mandatory by the government in 2008.
      번역하기

      This work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full ingredient labeling system of cosmetics on the cosmetic product selection when the women see if a certain kind that they purchase fits them after choosing a group of women at the age from the 20s to the 50s ...

      This work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full ingredient labeling system of cosmetics on the cosmetic product selection when the women see if a certain kind that they purchase fits them after choosing a group of women at the age from the 20s to the 50s and analyzing how well they are aware of this system. According to the finding, most of the consumer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know well what the full ingredient labeling system of cosmetics is. Though recognized by part of them, it was indicated that they were in the recognizable level only enough to say "There is an overall marking on the cosmetic ingredients," and this belonged to the highest percentile group out of the recognized users. Thus, there is yet to be improved on this system. The indicative part that the consumers pay attention to carefully was the product name and brand with the highest responding rate. The next was the production number and date and then all ingredients used for production of cosmetics. Judging from this fact, it can be inferred that many of the consumers regard most important the product name and its brand and that the full ingredient labeling system does not give much influence on their purchasing behavior for cosmetics. This implies that som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think over the effectiveness about the full ingredient labeling system of cosmetics which was adopted as mandatory by the government in 2008.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여성 20대〜50대 이상을 대상으로 소비자가 화장품 전 성분 표시제를 얼마나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한 뒤, 화장품 구매 시 본인에게 맞는 화장품을 선택하는데 화장품 전 성분 표시제가 얼마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는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화장품 전 성분 표시제에 대해 잘 모른다고 응답하였으며 화장품 성분 표시제에 대해 알고 있어도 화장품 성분 표시사항에 대해 “전체적으로 표시가 있다”는 정도만 확인하는 소비자들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들이 주의 깊게 살펴보는 표시사항의 요인으로는 제품의 명칭과 브랜드가 가장 높은 응답비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제조번호 및 제조년월일, 화장품 제조에 사용된 모든 성분 순으로 나타난 것을 볼 때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제품의 명칭과 브랜드를 가장 중요시 여기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화장품 전 성분 표시제가 화장품 구매 시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2008년 도입된 화장품 전 성분 표시제의 의무화 정책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하는 점을 시사 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여성 20대〜50대 이상을 대상으로 소비자가 화장품 전 성분 표시제를 얼마나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한 뒤, 화장품 구매 시 본인에게 맞는 화장품을 선택하는데 화장품 전 성...

      본 연구에서는 여성 20대〜50대 이상을 대상으로 소비자가 화장품 전 성분 표시제를 얼마나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한 뒤, 화장품 구매 시 본인에게 맞는 화장품을 선택하는데 화장품 전 성분 표시제가 얼마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는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화장품 전 성분 표시제에 대해 잘 모른다고 응답하였으며 화장품 성분 표시제에 대해 알고 있어도 화장품 성분 표시사항에 대해 “전체적으로 표시가 있다”는 정도만 확인하는 소비자들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들이 주의 깊게 살펴보는 표시사항의 요인으로는 제품의 명칭과 브랜드가 가장 높은 응답비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제조번호 및 제조년월일, 화장품 제조에 사용된 모든 성분 순으로 나타난 것을 볼 때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제품의 명칭과 브랜드를 가장 중요시 여기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화장품 전 성분 표시제가 화장품 구매 시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2008년 도입된 화장품 전 성분 표시제의 의무화 정책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하는 점을 시사 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2 이성하, "화장품성분학 : 피부미용실에서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화장품의 주요성분 및 효능"

      3 김인옥, "화장품 표시 사항이 소비자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4 한국소비자보호원, "화장품 표시 및 유통 실태 조사"

      5 정승현, "화장품 접촉피부염 및 국내 화장품 성분 표기 현황"

      6 정재용, "화장품 전 성분 표시제도 시행과 의의"

      7 "화장품 신문"

      8 하병조, "화장품 성분표기제와 명명법에 대한 조사연구"

      9 이근광, "화장품 성분과학" 현문사 2004

      10 김귀정, "화장품 성분 사전" 정담 2005

      1 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2 이성하, "화장품성분학 : 피부미용실에서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화장품의 주요성분 및 효능"

      3 김인옥, "화장품 표시 사항이 소비자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4 한국소비자보호원, "화장품 표시 및 유통 실태 조사"

      5 정승현, "화장품 접촉피부염 및 국내 화장품 성분 표기 현황"

      6 정재용, "화장품 전 성분 표시제도 시행과 의의"

      7 "화장품 신문"

      8 하병조, "화장품 성분표기제와 명명법에 대한 조사연구"

      9 이근광, "화장품 성분과학" 현문사 2004

      10 김귀정, "화장품 성분 사전" 정담 2005

      11 심현숙, "화장품 사용관점에서 소비자인식과 사용안전에 관한 연구"

      12 백경진, "화장품 구매행동과 영향 변인 연구"

      13 이명희, "화장품 구매성향과 구매 후 만족도에 관한 연구"

      14 김기정, "화장품 관련규정 및 해설" 홍익기술출판 2000

      15 정효정, "천연 화장품의 인식 정도와 만족도 연구"

      16 김영찬, "주요 국가의 화장품 규정과 비교한 우리나라의 화장품 법령 개정방안"

      17 식품의약품안전청, "전성분표시제대비 화장품 성분관리방안 연구"

      18 정지훈, "전성분표시제대비 화장품 성분 관리방안 연구"

      19 "일본화장품 협회"

      20 이영희,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화장품 구매행동 소비자 불만에 관한 연구"

      21 김현정,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화장품 구매동기와 구매후 만족에 관한 연구"

      22 배유경, "우리나라 여성들의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지식 및 이용행태 연구"

      23 "여성환경연대"

      24 "식품의약품안전청"

      25 전향희, "소비자의 쇼핑가치, 브랜드인지도 그리고 다발가격 화장품의 판촉유형이 화장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26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미국화장품시장의 인허가제도"

      27 "미국화장품 협회"

      28 "데일리코스메틱"

      29 "대한화장품협회"

      30 구희연, "대한민국 화장품의 비밀" 거름 2009

      31 임도연, "나라별 화장품의 성분 및 사용기한 표시 실태 조사"

      32 Stiens, Rita, "깐깐한 화장품 사용설명서" 전나무 숲 2009

      33 한국소비자보호원, "고령화 사회대비 상품 선택 정보 개선 방안 : 고령 친화용품의 표시를 중심으로"

      34 임효정, "가격 및 인지도가 화장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35 조수진, "Active aging 세대 여성의 미용관심도에 따른 화장품 사용 행태 조사"

      36 최성문, "20~30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과 추구가치에 관한 연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8-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주식회사 진셀팜 -> 한국피부과학연구원
      영문명 : Korea Institute for Skin and Clinical Sciences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KCI등재
      2016-04-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아시안뷰티화장품저널 ->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KCI등재
      2016-0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피부미용학회지 -> 아시안뷰티화장품저널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Society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5 0.60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