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438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compared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in Korea with reference to theories on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from Gyosuyomok period up to the 7th ...

      This thesis compared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in Korea with reference to theories on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from Gyosuyomok period up to the 7th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are as follows.
      Gyosuyomok period is a founding period of social studie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children-based curriculum. The 1st period corresponds to the subject-centered curriculum. The 2nd period is a settlement period constituted with empirical curriculum. The 3rd is an indigenous period focusing on academic-oriented curriculum. The 4th is a period of maturity with human-centered curriculum. The 5th period extends to preparation for localization and liberalization by mature period. The 6th period might be the essence embodiment period stressing the problem-solving ability. The 7th period directs grades curriculum aiming at holistic growth and nurturing creative human being. The holistic person as a desirable human suggested in the 7th curriculum can be summarized as morality and integrity. However,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lacking knowledge-centered study and integrity. Accordingly it is highly recommended to reinforce education on moral values and integrity to develop the subje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ⅵ
      • Ⅰ. 서론 ……………………………………………………… 1
      • Abstract ……………………………………………………… ⅵ
      • Ⅰ. 서론 ……………………………………………………… 1
      •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 1
      • 2. 연구대상 및 방법 ……………………………………… 2
      • 3. 연구내용 체계 …………………………………………… 3
      • Ⅱ. 이론적 배경 …………………………………………… 4
      • 1. 중학교 사회과 교육의 성격 ………………………… 4
      • 1) 사회과 교육의 개념 및 목적 ……………………… 4
      • 2) 사회과 교육의 본질모형 …………………………… 5
      • 3) 중학교 사회과 교육의 특징 ……………………… 7
      • 2. 사회과 교육과정의 의미 및 구성원리 …………… 9
      • 1) 사회과 교육과정의 의미 …………………………… 9
      • 2) 사회과 교육과정 구성원리와 조직형태 ……… 13
      • (1) 사회과 교육과정의 구성원리 …………………… 13
      • (2) 사회과 교육과정의 조직형태 …………………… 16
      • Ⅲ.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 ………… 20
      • 1. 개정배경 및 교육이념의 변천 ……………………… 20
      • 1) 교수요목의 시기 …………………………………… 21
      • 2) 제1차 교육과정의 시기 …………………………… 25
      • (1) 개정과정 및 이념상의 특징 ……………………… 26
      • (2) 구성방침 및 목표상의 특징 …………………… 28
      • 3) 제2차 교육과정의 시기 …………………………… 29
      • (1) 개정과정 및 이념상의 특징 ……………………… 30
      • (2) 구성방침 및 목표상의 특징 …………………… 33
      • 4) 제3차 교육과정의 시기 …………………………… 35
      • (1) 개정과정 및 이념상의 특징 ……………………… 37
      • (2) 구성방침 및 목표상의 특징 …………………… 40
      • 5) 제4차 교육과정의 시기 …………………………… 43
      • (1) 개정과정 및 이념상의 특징 ……………………… 45
      • (2) 구성방침 및 목표상의 특징 …………………… 46
      • 6) 제5차 교육과정의 시기 …………………………… 48
      • (1) 개정과정 및 이념상의 특징 ……………………… 50
      • (2) 구성방침 및 목표상의 특징 …………………… 52
      • 7) 제6차 교육과정의 시기 …………………………… 54
      • (1) 개정과정 및 이념상의 특징 ……………………… 56
      • (2) 구성방침 및 목표상의 특징 …………………… 60
      • 8) 제7차 교육과정의 시기 …………………………… 64
      • (1) 개정과정 및 이념상의 특징 ……………………… 65
      • (2) 구성방침 및 목표상의 특징 …………………… 67
      • 2. 교육과정 내용의 변천 ………………………………… 72
      • 1) 교수요목의 시기 …………………………………… 72
      • 2) 제1차 교육과정의 시기 …………………………… 73
      • 3) 제2차 교육과정의 시기 …………………………… 77
      • 4) 제3차 교육과정의 시기 …………………………… 80
      • 5) 제4차 교육과정의 시기 …………………………… 83
      • 6) 제5차 교육과정의 시기 …………………………… 88
      • 7) 제6차 교육과정의 시기 …………………………… 93
      • 8) 제7차 교육과정의 시기 ………………………… 101
      • 3.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발전방향 …………… 108
      • Ⅳ. 요약 및 결론 ……………………………………… 110
      • 참고문헌 …………………………………………………… 1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