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보통합의 현황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nteg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759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아교육·보육의 통합은 이원화 되어있는 유아교육과 보육 간의 격차를 해소하고, 효율적으로 통합·관리하여 0-5세 영유아의 발달에 맞는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부모의 선택권 및 편의...

      유아교육·보육의 통합은 이원화 되어있는 유아교육과 보육 간의 격차를 해소하고, 효율적으로 통합·관리하여 0-5세 영유아의 발달에 맞는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부모의 선택권 및 편의성을 보장하는 것은 의미 있는 추진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유보통합의 초기 과정부터 유보통합의 취지와 목적 대한 다양한 이해와 관점을 가지고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으며, 각계의 이익에 치중되어 정책타당성이 낮다고 판단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적극적인 주도에 의해 유보통합의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가 완료되었고, 그 구현과 관련한 정책적 결정이 남겨져 있는 현시점에 도달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유보통합의 현황 및 추진과정을 토대로 향후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유보통합에 대한 진중한 성찰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s a significant effort for solving dualistic problem and effectively manag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This effort is expected to provide qua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s a significant effort for solving dualistic problem and effectively manag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This effort is expected to provide qua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service appropriate to young children of age 0 through to five and ensure parental accessibility and right of choice. There were some concerns about purposes and meaning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 the beginning of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with limited validity of political decision. However, studies and researches o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have been politically conducted and decision-making on that issues is requested. This study aimed to suggest some ways for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m based on the current review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설, "표준보육과정의 연계를 위한 현황과 과제" 59-72, 2015

      2 정선아, "통합의 시대를 향한 유아교육과정의 방향" 55-70, 2016

      3 오경미, "통합시대를 향한 유아교육 정책의 방향" 74-82, 2016

      4 이미화, "통합시대를 향한 유아교사 양성의 방향" 74-82, 2016

      5 이미정, "통합교사 자격체계 방안의 모색" 한국보육학회 13 (13): 387-402, 2013

      6 박은혜, "통합 요소별로 살펴본 8개국의 유아교육과 보육 통합 현황 비교: 노르웨이, 뉴질랜드, 덴마크, 스웨덴, 영국, 일본, 프랑스, 핀란드" 교육과학연구소 45 (45): 149-180, 2014

      7 김은설, "육아지원기관 행․재정 체계 통합추진을 위한 단·중기 전략" 육아정책연구소 2011

      8 김창복, "유치원 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비교와 개편방향" 33 (33): 49-67, 2010

      9 고민경,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방안 고찰"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1 (11): 49-79, 2007

      10 고민경,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방안 고찰"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1 (11): 49-79, 2007

      1 김은설, "표준보육과정의 연계를 위한 현황과 과제" 59-72, 2015

      2 정선아, "통합의 시대를 향한 유아교육과정의 방향" 55-70, 2016

      3 오경미, "통합시대를 향한 유아교육 정책의 방향" 74-82, 2016

      4 이미화, "통합시대를 향한 유아교사 양성의 방향" 74-82, 2016

      5 이미정, "통합교사 자격체계 방안의 모색" 한국보육학회 13 (13): 387-402, 2013

      6 박은혜, "통합 요소별로 살펴본 8개국의 유아교육과 보육 통합 현황 비교: 노르웨이, 뉴질랜드, 덴마크, 스웨덴, 영국, 일본, 프랑스, 핀란드" 교육과학연구소 45 (45): 149-180, 2014

      7 김은설, "육아지원기관 행․재정 체계 통합추진을 위한 단·중기 전략" 육아정책연구소 2011

      8 김창복, "유치원 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비교와 개편방향" 33 (33): 49-67, 2010

      9 고민경,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방안 고찰"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1 (11): 49-79, 2007

      10 고민경,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방안 고찰"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1 (11): 49-79, 2007

      11 이일주, "유아교육과 보육 이원화 체제의 문제점과 대안"

      12 지성애, "유아교육ㆍ보육 통합 모델 구축"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5-29, 2015

      13 조양순, "유아교육․보육 현장에서 보는 바람직한 통합 유아교사 양성체제 연구" 544-544, 2015

      14 송기창, "유아교육․보육 통합을 위한 재정 시스템 설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197-216, 2009

      15 임승렬, "유아교육․보육 통합을 위한 교원 정책 방안: 오래된 우리의 숙제" 60-64, 2013

      16 조부경, "유아교육․보육 통합을 위한 교원 정책 방안" 15 (15): 25-53, 2013

      17 장신애, "유보통합법을 위한 영유아보육법과 유아교육법의 비교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18 장명림, "유보통합모형 탐색과 통합 추진 현황" 60-64, 2013

      19 정미야, "유보통합 추진현황 및 쟁점"

      20 신미경, "유보통합 추진과제 현황과 향후 전망" 65-70, 2015

      21 김현경, "어린이집 만 2세 표준보육과정과 3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연계성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503-523, 2013

      22 강현구, "아동권리관점에서 본 영유아보육법과 유아교육법의 형성과정 및 법령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3 김진석, "무상보육과 누리과정,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은 어디까지인가?" 201 : 5-9, 2016

      24 하봉운, "리과정예산편성문제의쟁점과해법" 39-58, 2016

      25 이정욱, "단계별 유보통합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221-240, 2015

      26 이정욱, "누리과정예상편성 문제의 쟁점과 해법" 61-76, 2016

      27 이영환, "건강하고 행복한 영아발달을 지원하기 위하여. 표준보육과정의 연계를 위한 현황과 과제" 544-544, 2015

      28 문무경, "OECD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 향상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10-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 1.63 1.78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