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적 도구와 가상도구가 가진 서로 다른 도구적 특성은 사용자의 지식획득과 개념 이해에 있어 각기 다른 기제로 작용하여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왔다. 본 개관연구는 문헌고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751765
2023
Korean
affordance ; cognitive engagement ; physical tools ; virtual tools ; 행동유도성 ; 인지적 개입수준 ; 물리적 도구 ; 가상도구
KCI등재
학술저널
154-166(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물리적 도구와 가상도구가 가진 서로 다른 도구적 특성은 사용자의 지식획득과 개념 이해에 있어 각기 다른 기제로 작용하여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왔다. 본 개관연구는 문헌고찰...
물리적 도구와 가상도구가 가진 서로 다른 도구적 특성은 사용자의 지식획득과 개념 이해에 있어 각기 다른 기제로 작용하여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왔다. 본 개관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물리적 도구와 가상도구의 사용을 통한 학습과정을 도구가 부여하는 행동유도성의 관점과 인지적 개입의 깊이에 따른 관점에서 정리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기존에 수행된 물리적 도구와 가상도구의 사용을 통한 학습수행 정도를 비교한 연구의 결과들을 재해석하였다. 비록 물리적 도구와 가상도구의 사용에 있어 각기 다른 행동유도성이 관여되긴 하지만 실제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상도구를 사용하느냐 혹은 물리적 도구를 사용하느냐가 아니라, 도구가 제공하는 새롭고 부가적인 정보의 양과 학습자가 도구를 이용한 다양한 학습활동을 통해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지적 개입의 깊이에 달려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들이 물리적 및 가상도구를 사용하여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돕기 위한 학습 시 행동유도성과 인지적 개입의 관점에서 수업 계획을 세울 때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has been known that the tool characteristics embedded in physical tools and virtual tools act with different underlying mechanisms in a user's knowledge acquisition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This overview study examines the learning process thr...
It has been known that the tool characteristics embedded in physical tools and virtual tools act with different underlying mechanisms in a user's knowledge acquisition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This overview study examines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use of physical and virtual tools from the perspective of conceptual frameworks, affordability that tools present, and the depth of cognitive engagement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learning concepts through various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s, the results of previous comparative studies were reinterpreted. It was found that what mattered for learning is the amount of new information that a tool provides and the different level of cognitive engagement that students use through various learning activities. Finally, the implications to be considered when teachers use physical and virtual tools to help students better understand various concepts are discussed.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각론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초등학생의 디지털 소양 함양을 위한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 수업 실행 탐색
액션러닝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1920년대 통신교육 교재 『중학강의록』의 화학강의 내용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