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글문화의 정신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531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언어문화의 정신사는 한자문화와 한글문화의 정신사로 나뉘는데 그중에 한글문화의 정신사는 세종 정신, 훈민과 정음의 정신, 한글정신으로 나눌 수 있다. 세종정신은 ‘훈민정음 어제...

      한국언어문화의 정신사는 한자문화와 한글문화의 정신사로 나뉘는데 그중에 한글문화의 정신사는 세종 정신, 훈민과 정음의 정신, 한글정신으로 나눌 수 있다. 세종정신은 ‘훈민정음 어제서문’에 나타난 자주, 애민, 실용의 정신이다. 훈민과 정음의 정신은 국민 교육용으로 나온 ‘용비어천가’ 편찬과한자음 표준화를 목적으로 한 ‘동국정운’ 편찬에서 드러난다. 한글 정신은 개화기에 국망의 운명 속에 문맹 타파를 위한 한글 보급의 계몽 정신과 서재필, 주시경, 이승만 등 개화파 지식인들의 한글체논설 운동을 통한 한글문체 수립 운동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한글정신사의 흐름 속에 누적된 지도부의 부패와 국민의 우민화는 조선의 식민지화로 귀결되고 민족과 한국어는 시련기를 겪으나 한글정신사를 잇는 주시경과 그 제자들의 조선어학회가 중심이 되어 문화적으로 극복하였다. 해방 후 한글은 문맹퇴치의 도구로 언어 활력의 빛을 발해 대한민국번영의 기초가 되었다. 한국어의 인구자본, 정치자본, 경제자본, 문화자본이 동력이 된다면 한글의 정신사는 한국어의 국제화에 큰 동력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s divided into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culture of Chinese characters and that of the Hangeul culture.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Hangeul culture is subdivided into Sejong, Hunmi...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s divided into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culture of Chinese characters and that of the Hangeul culture.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Hangeul culture is subdivided into Sejong, Hunminjeongeum, and Hangeul spirits.The Sejong spirit is the spirit of autonomy, love for the people, and pragmaticality, which appear in the preface of “Hunminjeongeum”. As hunmin refers to educating people and jeongeum means a right sound, the Hunminjeongeum spirit is found in publishing “Yongbieocheonga,” targeting national education, and “Dongkukjeongwoon(the right sound of Chosun),” for standardizing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The Hangeul spirit is subdivided into the Hangeul enlightenment spirit, as indisseminating Hangeul to eliminate illiteracy in the time of enlightenment, and Hangeul style of writing spirit, which was promoted by the Hangeul-style editorial movement by intellectuals such as Jaepil Seo, Shikyung Joo, and Syngman Rhee. The corruption of the leadership and obscurantism of the people that accumulated in the course of the above intellectual history of Hangeul led to the colonialization of Joseon, which affected the Korean language negatively and caused much suffering to the people of Joseon. The Korean Language Society led by Shikyung Joo and his students, which is in line with the intellectual history of Hangeul, overcame this ordeal by promoting the anti-Japanese cultural movement. After the liberation, Hangeul became a foundation of the prosperity of Korea as a tool to eradicate illiteracy and to emit the light of language vitality. The intellectual history of Hangeul will be a dynamic force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with power supplied by population capital, political capital, economic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of the Korean langu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머리말
      • 2. 한글문화의 정신사
      • 2.1. 세종 정신: 자주, 애민, 실용 정신
      • 2.2. ‘훈민’과 ‘정음’의 정신
      • Abstract
      • 1. 머리말
      • 2. 한글문화의 정신사
      • 2.1. 세종 정신: 자주, 애민, 실용 정신
      • 2.2. ‘훈민’과 ‘정음’의 정신
      • 2.3. 한글 정신
      • 3. 국치의 언어적 원인: ‘문맹과 불통’의 심화
      • 3.1. 보편적 공교육의 부재와 문맹의 심화
      • 3.2. 권위주의적 체제와 국민 불통의 심화
      • 4. 한글 정신: 한국어 활력의 동력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구, "李承晩, 『獨立精神』 — 나라의 독립! 정신의 독립? —" 한림과학원 (14) : 245-253, 2014

      2 정다함, "麗末鮮初의 동아시아 질서와 朝鮮에서의 漢語, 漢吏文, 訓民正音" 고려사학회 (36) : 269-305, 2009

      3 이정식, "해방전후사의 재인식 2" 책세상 2006

      4 한글학회, "한글학회 100년사" 한글학회 2009

      5 국립한글박물관, "한글이 걸어온 길" 국립한글박물관 2014

      6 노마 히데키, "한글의 탄생" 돌베개 2011

      7 김정수, "한글의 역사와 미래" 열화당 1990

      8 이규수, "한글에 빛을 밝힌 어문민족주의자 주시경" 역사공간 2014

      9 최경봉, "한글민주주의" 책과함께 2012

      10 백두현, "한글문헌학" 태학사 2015

      1 이경구, "李承晩, 『獨立精神』 — 나라의 독립! 정신의 독립? —" 한림과학원 (14) : 245-253, 2014

      2 정다함, "麗末鮮初의 동아시아 질서와 朝鮮에서의 漢語, 漢吏文, 訓民正音" 고려사학회 (36) : 269-305, 2009

      3 이정식, "해방전후사의 재인식 2" 책세상 2006

      4 한글학회, "한글학회 100년사" 한글학회 2009

      5 국립한글박물관, "한글이 걸어온 길" 국립한글박물관 2014

      6 노마 히데키, "한글의 탄생" 돌베개 2011

      7 김정수, "한글의 역사와 미래" 열화당 1990

      8 이규수, "한글에 빛을 밝힌 어문민족주의자 주시경" 역사공간 2014

      9 최경봉, "한글민주주의" 책과함께 2012

      10 백두현, "한글문헌학" 태학사 2015

      11 허 웅,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4

      12 김영명, "한글 창제의 목적과 정치적 의미"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2 (12): 63-86, 2013

      13 박은식, "한국통사" 아카넷 [서울] 2012

      14 김승태, "한국의 독립운동가들: 독립협회를 창설한 개화 · 개혁의 선구자서재필" 역사공간 2011

      15 이상억, "한국어와 한국문화" 소통 2011

      16 민현식,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창간) : 1-48, 2015

      17 조항록, "한국어 교육 현황 점검 및 교육 지원 전략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3

      18 한국교열기자회, "한국신문방송 말글변천사(상 · 하)" 한국교열기자회 1996

      19 임경순, "한국문화의 이해" 한국외국어대출판부 2009

      20 김종서, "한국 문맹률의 검토" 한국교육학회 2 : 15-26, 1964

      21 이상규, "한국 국어 정책의 미래" 한국어문학회 (122) : 95-153, 2013

      22 엄훈, "학교속의 문맹자들" 우리교육 2012

      23 이승만, "풀어쓴 독립정신" 청미디어 2008

      24 김세한, "주시경전" 정음사 1982

      25 송철의, "주시경의 언어이론과 표기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 2010

      26 임홍빈, "주시경과 한글 명칭"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3 : 21-41, 1996

      27 이상각, "주시경과 그의 제자들: 조선어학회, 47년간의 말모이 투쟁기" 유리창 2013

      28 김민수, "주시경 연구" 탑출판사 1986

      29 최낙복, "주시경 문법의 형성론" 경진 2013

      30 최규수, "주시경 문법론과 그 뒤의 연구들" 도서출판 박이정 2005

      31 김석득, "주시경 문법론" 형설출판사 1982

      32 I. B. Bishop, "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 한말외국인기록 21" 집문당 2000

      33 우남 이승만문서편찬위원회, "이화장 소장 우남 이승만 문서 동문편제1권 이승만 저작 1: 독립졍신"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부설 현대한국학연구소 1998

      34 오인환, "이승만의 삶과 국가" 나남 2013

      35 김용삼, "이승만의 네이션빌딩: 대한민국의 건국은 기적이었다" 북앤피플 2014

      36 이덕주, "이승만의 기독교 신앙과 국가건설론 -기독교 개종 후 종교활동을 중심으로(1899~1913)-" 한국기독교역사학회 (30) : 35-88, 2009

      37 손세일, "이승만과 김구(전 7권)" 조선뉴스프레스 2015

      38 이주영, "이승만 평전" 살림출판사 2015

      39 유영익, "이승만 대통령 재평가"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6

      40 인보길, "이승만 다시 보기: 우리가 버린 건국의 아버지" 기파랑 2011

      41 유영익, "우남 이승만의 독립정신론" 178 : 66-73, 2004

      42 김욱동, "소설가 서재필"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0

      43 김영욱, "세종이 발명한 최고의 알파벳 한글" 루덴스 2007

      44 유미림,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4 (4): 147-175, 2005

      45 김슬옹,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2009

      46 서재필기념회, "선구자 서재필: 개화 독립운동가로 언론인으로 의사로" 기파랑 2011

      47 서재필기념회, "선각자 서재필: 민족을 위한 「희망의 씨앗」을 뿌리다[화보집]" 기파랑 2014

      48 이광린, "서재필의 개화사상"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 : 1-60, 1978

      49 고 유, "서재필 광야에 서다" 문이당 2008

      50 신복룡, "서양인의 눈에 비친 조선," 문화재청 71 : 12-17, 2010

      51 이응호, "미군정기의 한글운동사" 성청사 1974

      52 정우락, "문화어문학: 어문학에 대한 문화론적 혁신" 한국문학언어학회 (60) : 9-41, 2014

      53 정진석, "문자보급운동교재" LG상남언론재단 1999

      54 이승만, "독립졍신" 대동신서관 1910

      55 F. A. cKenzie, "대한제국의 비극 한말외국인기록 2" 집문당 1999

      56 H. B. Hulbert, "대한제국 멸망사 한말외국인기록 1" 집문당 1999

      57 이영훈, "대한민국 이야기" 기파랑 [서울] 2007

      58 이영훈, "대한민국 역사: 나라 만들기 발자취 1945-1987" 기파랑 2013

      59 이현희, "대한민국 어떻게 탄생했나" 대왕사 2007

      60 양동안, "대한민국 건국사: 해방 3년의 정치사" 현음사 2001

      61 김욱동, "근대의 세 번역가: 서재필, 최남선, 김억" 소명출판 2010

      62 허재영, "근대계몽기 이후 문맹퇴치 및 계몽운동의 흐름"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3 : 577-605, 2004

      63 국립국어원, "국민의 언어의식 조사" 국립국어원 2015

      64 이정식, "구한말의 개혁 독립투사 서재필"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65 유영익, "건국대통령 이승만: 생애 사상 업적의 새로운 조명" 일조각 2013

      66 안병훈, "건국 대통령 이승만의 생애: 젊은 세대를 위한 바른 역사서" 기파랑 2015

      67 안성호, "『훈민정음』과 강남한음" 대동문화연구원 (95) : 61-84, 2016

      68 고영근, "‘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이종일, 최남선 소작설과 관련하여," 국립국어연구원 13 (13): 131-150, 2003

      69 任洪彬, "‘한글’ 命名者와 史料 檢證의 問題-고영근(2003)에 답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5 (35): 7-34, 2007

      70 Kim, Choong Soon, "Way Back into Korea: A New Insight by a Native Anthropologist Come Home" Ilchokak 2014

      71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The World Migration Report 2013:Migrant Well-being and Development" 2014

      72 OECD, "PISA 2012 Results in Focus: What 15-Year-Olds Know and What They Can Do with What They Know" OECD 2013

      73 Landry, R., "Maintenance and Loss of Minority Language" John Benjamins 1992

      74 Schiffman, H., "Linguistic Culture and Language Policy" Routeledge 1996

      75 Goldberg, D., "Enrollments in Languages Other Than English in United States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Fall 2013" The Modern Language Association of America 2015

      76 OECD, "Education At a Glance(EAG)2014" OECD 2014

      77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Democracy Index 2014, Democracy and Its Discontents: A Report from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2014

      78 김슬옹, "28자로 이룬 문자 혁명" 아이세움 2007

      79 민현식, "(한)국어 문화교육의 개념과 실천방향"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 (1): 59-103,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07 1.737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