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형상의 폭력에 표현된 까뮈의 ‘부조리 감성’ - 프란시스 베이컨 회화를 중심으로 = Camus’s ‘Absurd sensibility’ Expressed in the Violence of Human Shape - Focusing on Francis Bacon’s Painting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549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raws attention to the ‘violence’ of Francis Bacon’s deconstructed and deformed shapes, reading them grotesque and interpreting them in terms of ‘absurdity’. First of all, the ‘cruelty’ and ‘violence’ of the shapes and colors described as ‘meatballs’ are the result of Bacon’s experimental attitude to embracing the tragic finite, anxiety and pain inherent in life. The shock and embarrassment presented by this non-normative shape of Bacon can be said to express the hidden nature of man and the opacity of unpredictable life. This can be linked to Camus’s discussion of the absurdity of a life filled with pain and insignificance. So this study interprets the ‘cruelty’and ‘violence’ of Bacon’s paintings, expressed in grotesque shapes, that is, the expression of bizarre transformations, as they face, accept and overcome the pain inherent in human and life, and connects it with the ‘sensibility of absurdity’ that Camus speaks of.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these grotesques lies in the fact that by facing uncomfortable strangeness and shock, they can create a new perspective that can reinterpret humans, and that can help them understand and embrace absurdity-filled lives. Camus, who says that man is great by himself, who is lonely in the midst of an absurd life, and Bacon, who gives him the courage to recognize and look at the hidden nature and essence of man in grotesque shapes, all show in their own realms that ‘Life is willing to live nevertheless.’
      번역하기

      This study draws attention to the ‘violence’ of Francis Bacon’s deconstructed and deformed shapes, reading them grotesque and interpreting them in terms of ‘absurdity’. First of all, the ‘cruelty’ and ‘violence’ of the shapes and col...

      This study draws attention to the ‘violence’ of Francis Bacon’s deconstructed and deformed shapes, reading them grotesque and interpreting them in terms of ‘absurdity’. First of all, the ‘cruelty’ and ‘violence’ of the shapes and colors described as ‘meatballs’ are the result of Bacon’s experimental attitude to embracing the tragic finite, anxiety and pain inherent in life. The shock and embarrassment presented by this non-normative shape of Bacon can be said to express the hidden nature of man and the opacity of unpredictable life. This can be linked to Camus’s discussion of the absurdity of a life filled with pain and insignificance. So this study interprets the ‘cruelty’and ‘violence’ of Bacon’s paintings, expressed in grotesque shapes, that is, the expression of bizarre transformations, as they face, accept and overcome the pain inherent in human and life, and connects it with the ‘sensibility of absurdity’ that Camus speaks of.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these grotesques lies in the fact that by facing uncomfortable strangeness and shock, they can create a new perspective that can reinterpret humans, and that can help them understand and embrace absurdity-filled lives. Camus, who says that man is great by himself, who is lonely in the midst of an absurd life, and Bacon, who gives him the courage to recognize and look at the hidden nature and essence of man in grotesque shapes, all show in their own realms that ‘Life is willing to live neverthele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미셸 아솅보, "화가의 잔인한 손" 강 1998

      2 조선미, "화가의 자화상" 예경 1995

      3 조영아, "현대미술에서 그로테스크 표현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4 진 로버트슨, "현대 테마 미술 노트" 두성북스 2011

      5 데이비드 실베스터, "프랜시스베이컨: 나는 왜 정육점의 고기가 아닌가?" 디자인하우스 2015

      6 이재걸, "프랜시스 베이컨의 작품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7 (17): 455-467, 2016

      7 한의정, "프랜시스 베이컨의 <십자가책형을 위한 세 개의 습작> 연구 : 메를로-퐁티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미학예술학회 34 : 255-280, 2011

      8 미하일 바흐친,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2004

      9 이민수,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회화의 이론적 재조명 : 리얼리즘의 이중구조에 대한 분석적 고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10 심웅택,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작품분석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7

      1 미셸 아솅보, "화가의 잔인한 손" 강 1998

      2 조선미, "화가의 자화상" 예경 1995

      3 조영아, "현대미술에서 그로테스크 표현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4 진 로버트슨, "현대 테마 미술 노트" 두성북스 2011

      5 데이비드 실베스터, "프랜시스베이컨: 나는 왜 정육점의 고기가 아닌가?" 디자인하우스 2015

      6 이재걸, "프랜시스 베이컨의 작품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7 (17): 455-467, 2016

      7 한의정, "프랜시스 베이컨의 <십자가책형을 위한 세 개의 습작> 연구 : 메를로-퐁티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미학예술학회 34 : 255-280, 2011

      8 미하일 바흐친,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2004

      9 이민수,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회화의 이론적 재조명 : 리얼리즘의 이중구조에 대한 분석적 고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10 심웅택,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작품분석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7

      11 이민수, "프란시스 베이컨 회화의 리얼리즘 연구: 이미지의 二重性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미술사연구회 (23) : 371-396, 2009

      12 오수영, "프란시스 베이컨 회화의 내면적 공간과 인간형상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3 김성곤, "탈구조주의의 이해" 민음사 1988

      14 이서규, "카뮈의 부조리철학에 대한 고찰" 철학연구소 35 : 139-178, 2013

      15 움베르토 에코, "추의 역사" 열린책들 2015

      16 필리프 코마르, "인체-에로티시즘과 해부학" 시공사 2001

      17 김종우, "오이디푸스를 통해 보는 부조리 인식 -카뮈의 <시지포스 신화> 읽기의 한 방식-" 한국프랑스학회 71 : 47-68, 2010

      18 오스카 와일드, "오스카 와일드 예술평론" 예림기획 2001

      19 김혜련, "예술과 사상" 이화여대출판부 2003

      20 하버트 리드, "영국의 현대미술" 청우 출판사 1983

      21 Camus, Albert, "시지프 신화" 민음사 2021

      22 김화영, "시지프 신화" 민음사 2021

      23 김찬자, "빅토르 위고 연극과 그로테스크 미학 - 『크롬웰Cromwell』 서문과 『뤼 블라스Ruy Blas』를 중심으로" 한국프랑스학회 69 : 45-70, 2010

      24 이재걸, "북유럽 르네상스 회화와 그로테스크- W. 카이저와 B. 바흐친의 이론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문화연구원 (3) : 117-155, 2015

      25 이희경, "부조리 철학과 그로테스크 신체 표현 연구­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16

      26 크리스토프 도미노, "베이컨 : 회화의 괴물" 시공사

      27 움베르토 에코, "미의 역사" 열린책들 2014

      28 이광래, "미술을 철학한다" 미술문화사 2007

      29 볼프강 카이저, "미술과 문학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아모르문디 2011

      30 지그문트 프로이트, "두려운 낯설음" 열린책들 2015

      31 이기언, "까뮈의 <두 얼굴>에 관한 고찰" 한국불어불문학회 23 (23): 171-188, 1988

      32 김혜련, "그로테스크의 시각성과 존재론적 함의" 한국가톨릭철학회 (12) : 203-232, 2009

      33 류은영, "그로테스크와 카타르시스의 정신분석학적 상관성 연구: 미셸 레리스의 자서전을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소 (63) : 51-72, 2016

      34 김석원, "그로테스크와 니체의 ‘사티로스’에나타난 웃음의 역할" 동서미술문화학회 19 (19): 75-98, 2021

      35 박슬기, "그로테스크 미학의 존재론적 기반과 의의" 인문학연구원 (58) : 177-202, 2007

      36 필립 톰슨, "그로테스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37 Deleuze, Gilles, "감각의 논리" 민음사 1995

      38 김세리, "‘부조리 회화(L'art de l'absurde)’의 정립 가능성" 프랑스학회 (29) : 297-320, 2004

      39 Ades, Dawn, "Francis Bacon, exhibition catalogue" Tate Gallery; Harry N. Abrams 1985

      40 Archimbaud, Michel, "Francis Bacon inconversation with Michel Archimbaud" Phaidon Press 1993

      41 Cappock, Marfarita, "Francis Bacon and the tradition of art" Seipel, Wilfried 2003

      42 Russell, John, "Francis Bacon" Graghic Society

      43 루이지 피카치, "Francis Bacon" 마로니에북스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