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아초월증진프로그램이 중년기의 자아초월 심리에 미치는 효과 연구로서 혼합연구(Mixed Methods Design)방법을 이용하였다. 중년기를 대상으로 자아초월감(성)을 증진시키는 연구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830384
서울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학위논문(박사)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 자연치유학과 상담심리전공 , 2023. 8
2023
한국어
서울
ix, 164 p. ; 26 cm
지도교수: 정미숙
I804:11101-20000071482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아초월증진프로그램이 중년기의 자아초월 심리에 미치는 효과 연구로서 혼합연구(Mixed Methods Design)방법을 이용하였다. 중년기를 대상으로 자아초월감(성)을 증진시키는 연구는 ...
본 연구는 자아초월증진프로그램이 중년기의 자아초월 심리에 미치는 효과 연구로서 혼합연구(Mixed Methods Design)방법을 이용하였다. 중년기를 대상으로 자아초월감(성)을 증진시키는 연구는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에 자기초월성을 높이므로 삶의 태도를 향상 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S시 중년기로 실험군 29명, 대조군 30명, 총 59명으로 자아초월 프로그램을 주 2회 60분씩, 6주 동안 총 12회를 2022년 6월 20일부터 11월 30일 사이에 제공하였고, 프로그램 전·후 자아초월감,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여 검증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자아초월감, 자아존중감, 안녕감, 생활만족도, 긍정·부정 정서 척도, 우울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험군 12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경험에 따른 변화 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증은 x2-test, t-test로 분석하고, 프로그램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종속변수의 차이는 ANCOVA로 분석하였다. 질적자료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자아초월 프로그램 적용 후 자기초월감, 심리적 안녕감, 자아 통합감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노화 불안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반면 자아초월 프로그램의 자아초월심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효과는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정감과 삶의 태도에서 긍정적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죽음 태도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중립적 수용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분석 결과, 6개의 범주를 통해 3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주제는 ‘나를 돌아보기’로 두 가지 범주 ‘어두운 과거의 나를 바로 바라봄’과 ‘용서를 통해 나를 바라보기’를 포함한다. 두 번째 주제는 ‘작은 변화로 자신감 갖기’로 ‘표현하기’와 ‘타인과의 관계 개선’ 2가지 범주에서 도출되었다. 세 번째 주제인 ‘삶의 의미 발견하기’는 두 가지 범주 ‘다짐하기’와 ‘함께 살아가기’를 포함한다.
본 연구의 결과 자아초월 심리증진 프로그램은 중년들의 자기초월감을 높이고, 심리적 안녕감에서 생활만족도와 긍정 정서에서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하며, 우울 감소와 노화불안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used a mixed research method to study the effect of the transpersonal promotion program on middle-aged transpersonal psychology. I believe that research to promote self-transcendence in middle-aged people is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
This study used a mixed research method to study the effect of the transpersonal promotion program on middle-aged transpersonal psychology. I believe that research to promote self-transcendence in middle-aged people is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improve the attitude on life by increasing self-transcendence in old age.
The study subjects were 59 middle-aged people in S city, 29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people in the control group, The transpersonal program was provided twice a week for 60 minutes each, a total of 12 times over 6 weeks between June 20 and November 30, 2022 It was verified by measuring the sense of transcendence,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elf-transcendence, self-esteem, well-being, life satisfaction, positive/negative emotion scale, and depression scale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In addition,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2 of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explore the process of change according to program experience. To analyze, The SPSS WIN 23.0 program was used. Preliminary homogeneity verific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analyzed by x2-test and t-test, and the difference in dependent variables was analyzed by ANCOVA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the program.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the content analysis method.
First, after the transpersonal promotion program, self-transcendenc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integr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aging anxiety was significantly reduced. On the other hand, the positive effect of the transpersonal promotion program on transpersonal psycholog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in self-esteem, psychological stability and life attitude, and on the attitude toward death,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neutral acceptance attitude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as a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three themes were derived whithin six categories. The first theme is ‘Looking back at myself’, which includes two categories ‘Looking at myself in the dark past’ and ‘Looking at myself through forgiveness’. The second theme, ‘Becoming confident with small changes’, was drawn from two categories: ‘Expression’ and ‘Improve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third theme, ‘discovering the meaning of life’, also includes two categories, ‘making a commitment’ and ‘living togethe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nspersonal psychological promotion program increased the sense of self-transcendence of middle-aged people, improved life satisfaction and enhance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positive emotions. It also had positive effects on reducing depression and anxiety about aging.
목차 (Table of Contents)
1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p.268-269, 2000
2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2nd rev. ed, 1963
3 김명권, "자아초월심리학", 한국카운슬러협회, 44, 57-68, 2009
4 Shackelford, T. K., "Self-esteem in marriage", 30(3), 371-390, 2001
5 김종성, 한성열, 안상섭, "영성의 긍정적 기여", 한국심리학회지, 15(1), 207-226, 2009
6 Maslow , A. H.,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50(4), 370-396, 1943
7 강성례, "영성간호의 개념분석", 대한간호학회, 36(5), 803-812, 2006
8 Maslow, A. H.,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 3rd ed., 1999
9 장인협, 최성재, "고령사회의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 화원, 2010
10 이화진, 정영숙, "중년의 죽음태도와 행복",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1(1), 129-149, 2018
1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p.268-269, 2000
2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2nd rev. ed, 1963
3 김명권, "자아초월심리학", 한국카운슬러협회, 44, 57-68, 2009
4 Shackelford, T. K., "Self-esteem in marriage", 30(3), 371-390, 2001
5 김종성, 한성열, 안상섭, "영성의 긍정적 기여", 한국심리학회지, 15(1), 207-226, 2009
6 Maslow , A. H.,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50(4), 370-396, 1943
7 강성례, "영성간호의 개념분석", 대한간호학회, 36(5), 803-812, 2006
8 Maslow, A. H.,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 3rd ed., 1999
9 장인협, 최성재, "고령사회의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 화원, 2010
10 이화진, 정영숙, "중년의 죽음태도와 행복",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1(1), 129-149, 2018
11 Campbell, L., "Hopelessness : A concept analysis", 25(2), 18-22, 1987
12 강지혁, 정재필, 이은령, "노인 우울에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3(7), 290-300, 2013
13 강경아, "영성(Spirituality) 개념 분석", 한국간호과학회, 30(5), 1145-1155, 2000
14 김선미, "일상에서 찾는 소박한 행복", 서울: 샘터사, 2020
15 김용태, "초월의 현상으로서 범주 확장",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7, 20-44, 2004
16 Piaget, J, "The construction of reality in the child", 19(1), 77, 1955
17 김 욱, "대학생의 노화불안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6, 27-56, 2011
18 Lerner, J. S., "Fear, anger, and risk. Fear, anger, and risk", 81(1), 146–159, 2001
19 Neff, K. D., "Self-compassion, self-esteem, and well-being", 5(1), 1-12, 2011
20 김용태, "[논평] 우울하고 사는게 힘들어요", 상담사례연구집, 26-31, 2011
21 Flood, M., "Amid-range nursing theory of successful aging", 9(2), 35-39, 2005
22 Bowen, S., Marlatt, A, Leigh, J., "Spirituality, mindfulness and substance abuse", 30, 1335 – 1341, 2005
23 Chancellor, J., Ruberton, P. M., Lyubomirsky, S., Kruse, E., "An upward spiral between gratitude and humility", 5(7), 805-814, 2014
24 유미애, 이혜진,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측정도구 개발", 간호과학연구, 49(1), 14-25, 2019
25 김용태, "초월의 기초로서 실존주의 심리치료",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3, 100-125, 2007
26 김우준, 박성수, "마약류 수용자의 처우 프로그램 효과", 한국콘텐츠학 회. 10(4), 348-358, 2010
27 김동희, 박경연, 김명수, "치매노인 간병 여성의 건강과 삶의 질", 한 국성인간호학회, 8(2), 180-188, 2007
28 윤현위, "한국 인구 고령화의 지역적 전개 양상", 한국지리학회, 47(3), 359-374, 2012
29 Beck, A. T., Weissman, A., Trexler, A, Lester, D., "The measurement of pessimism: The hopelessness scale", 42(6), 861-865, 1974
30 Tornstam, "Gerotranscendence; The contemplative dimension of aging", 11(2), 143-154, 1997
31 정현애, "노인 우울증의 중재방안에 대한 문헌고찰", 고령자 치매작업 치료학회, 2(1), 59-67, 2008
32 권중돈, 조주연,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 노년학회. 3 (61-76), 2000
33 Rogers, C., "Future of the Roy model: Challenge to redefine adaptation", 10(1), 42-48, 1971
34 강선희, 정남운,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 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4), 705-723, 2002
35 Crocker, J, "Self-Objectification and Well-Being in Women's Daily Lives", 34(5), 234-255, 2008
36 Hadzi-Pesic, M., Stojanovic, D., Mitrovic M., Milicevic, N., "Personality traits and global self-esteem of alcohol addicts", 127, 255 – 259, 2014
37 권미형, 박경은, 권영은, "여성노인의 우울, 죽음불안, 삶의 질의 관 계.", 한국보건간호학, 27(3), 527-538, 2013
38 강연욱, 이주일, 유경, 김지현, "한국판 노인용 사기 척도(PGCMS)의 타당화 연구", 한국노년학회, 32(1), 1225-1356, 2012
39 구본훈, 정성덕, 염형욱, 서완석, 배대석, "노년기 영성과 불안, 우울 및 삶의질과의 관계", 영남의대학술지, 22(1), 27-41, 2005
40 김연신, 최한나, "Schwartz의 보편적 가치 이론의 적용 타당성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1), 1-16, 2009
41 Jaspers, E. D., Pieters, R. G., "Materialism across the life span: An age-period-cohort analysis", 111(3), 451-473, 2016
42 유수현, 허준수, "노인의 우울레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 신보건과사회사업, 13(1), 7-13, 2002
43 송미령, 유수정, "시설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이행 정도와 예측요인", 한 국간호교육학, 13(2), 301-309, 2007
44 박종효, "용서 심리이론과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개관연구", 인간발달 연구, 13(1). 117-134, 2006
45 Calhoun, L. G., Tedeschi, R. G.,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15(1), 1-18, 2004
46 Neff, K. D.,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2(3), 223-250, 2003
47 Koenig, H. G., "A commentary: The role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at the end of life", 42 (suppl_3), 20-23, 2002
48 김미령, "자기초점주의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영성의 조절효과", 한국 종교교육학회, 44, 21-44, 2014
49 Coward, D. D., Kahn, D. L., "Transcending breast cancer: Making meaning from diagnosis and treatment", 23(3), 264–283, 2005
50 안숙희, "신생아 중환자의 안전한 약물사용을 위한 약료서비스", 한국 임상약학회, 30(3), 143-147, 2020
51 유정호, 추석규, 최혜정,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우울과 인지의 관계에 관한연구", 동서의학연구소, 16(2), 131-137, 2010
52 Bottorff, J. L., Long, B. C., Collie, K., "A Narrative View of Art Therapy and Art Making by Women with Breast Cancer", 11(5), 761-775, 2006
53 Vaughan, F., "Identity, maturity and freedom: transpersonal and existential perspectives", 2(1), 2-9, 2010
54 전영민, "자발적으로 입원한 알코올 의존자의 변화동기 하위유형", 한 국심리학회지, 24(2), 311-326, 2005
55 Kesebir, P., "A quiet ego quiets death anxiety: Humility as an existential anxiety buffer", 106(4), 610-623, 2014
56 Crocker, J, "Health-Enhancing Physical Activity: Associations with Markers of Well-Being", 4(2), 127-150, 2012
57 장민희, "자기중심성과 자기초월이 삶과 죽음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58 권혜진, 최미혜, 박윤자, 김수강, 김경희, "심리적 영적 요인이 재가노 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19(1), 96-105, 2010
59 서성우, 허정훈, "엘리트 선수의 게임즈맨십 인식과 태도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31(3), 27-43, 2020
60 임영진, "주요우울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긍정심리치료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31(3), 679-692, 2012
61 장민희, 정태연, "호스피스 봉사 경험이 삶과 죽음 태도 변화에 미치 는 영향", 스트레스硏究, 26(2), 95-102, 2018
62 Feather, N. T., "Judgments of deservingness: Studies in the psychology of justice and achievement", 3(2), 86-107, 1999
63 박상규, "약물 중독자를 위한 자기사랑하기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 과", 한국 심리학회지, 21(4), 693-703, 2002
64 김경아, "독거노인의 죽음 태도에 관한 질적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4
65 이근영, "긍정심리자본이 죽음태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17
66 김태경,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위와 갱년기 증상, 우울과의 관계연 구", 한국보건교육진흥학, 19(1), 133-147, 2002
67 Connelly, J., McCarthy, V. L., Hall L. A., Crawford, T. N., "Facilitating Self-Transcendence: An Intervention to Enhance Well-Being in Late Life", 40(6), 854-873, 2018
68 Seligman, M. E., Peterson, C., Park, N., "Orientations to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full life versus the empty life", 6(1), 25-41, 2005
69 나승일, 문세연,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와 관련 변인에 대한 국내연 구 메타분석", 한국산업교육학, 17, 1-22, 2008
70 Neff, K.,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2(2), 85-101, 2003
71 김순이, 이정인, "“중년기 성인의 노화, 불안,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한국기본간호학회, 14(1), 103-109, 2007
72 최혜진, "중년 여성의 노후 준비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73 김지현, "죽음에 대한 공포와 수용 및 죽음대처 유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74 성경미, 정덕이, "통합관리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기후증상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연구논문, 17(1), 40-47, 2011
75 서경현, "한국여성 독거노인을 위한 웰빙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4), 595-615, 2015
76 이정애, "우울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집단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77 박규리, 안정신, "남녀노인의 상실 경험과 우울이 자아통합감과 초월에 미치 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 27(3), 405-418, 2016
78 강숙, 김정선,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돌봄 부담감, 노화불안, 노후준 비 및 삶의 질", 한국보건간호학회, 26(3), 440-452, 2012
79 강영미, 김석선, "오진아 한국어판 영관점척도와 자기초월척도 번역과 심리측정시험", 서울: 글로벌한인간호재단(GKNF), 2012
80 Tangney, J. P., "Humility: Theoretical perspectives, empirical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19, 70–82, 2000
81 오현수, 정혜선, "노인의 자아무결성과 우울증 사이의 상호관계: 다 차원적 영향 요인", 한국성인간호학, 3(26), 272-300, 2015
82 박상규, "약물중독치료의 행복 48단계 프로그램. 2011년 법무부연구 용역보고서", 국립법무병원, 2011
83 정영수, "생활체육참여자의 기본심리욕구, 감각추구, 몰입과 운동중독 에 관계", 한국스포츠학회, 21(1), 367-376, 2023
84 이종대, "노인 신체활동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신라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85 Britt, T., Penn, P. E., Kline-Leidy, N., Haase, J. E., Coward, D. D., "Simultaneous concept analysis of spiritual perspective, hope, acceptance and self-transcendence", 24(2), 141–147, 1992
86 김연희, "자아초월을 위한 영성교육 탐구:동사섭을 중심으로. 전북대 학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87 Barrett, A. E., Robbins, C., "The multiple sources of women's a ging anxiet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distress", 20(1), 32-65, 2008
88 Ardelt, M., "Effects of religion and purpose in life on elders' subjective well-being and attitudes toward death", 14(4), 55-77, 2003
89 Reed, P. G., "The theory of self-transcendence, In P. R. Smith& M. J. Liehr(ed.), Middle range theory for nursing", 145-165, 2008
90 김연실, "약물중독자를 위한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의 효과.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91 김경옥, "강의 평가 경험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C대학 간호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2), 929-946, 2021
92 김용일, "대학생 진로 스트레스에 따른 여가기능과 여가제약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31(11), 477-492, 2019
93 김윤민, 신창환, 손영은, "사회복지사 경력신고제 도입에 관한 연구: 포커스그룹 인터뷰(FGI)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3(2), 225-247, 2021
94 김영희, 김은주, "성공적인 노화 이론(SAT)에 근거한 한국 노인 여 성의 성공적인 노화 예측 인자",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17(4), 378-387, 2017
95 유경미, 조용태, "예술심리치료에서 대학생의 인생곡선 반응특성과 회복 탄력성 관계 예비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10(2). 179-198, 2014
96 김진숙, "재가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 교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97 강진호, 한승태, 손정민,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활용한 대학 신입생들 의 비대면 강의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 집. 14(7), 397-408, 2020
98 유채영, 차진경, "알코올중독자의 음주상황,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용 성과 영적 건강 간의 관계", 한국알콜올과학학회, 15(1), 17-32, 2014
99 Kernis, M. H., "Measuring self-Esteem in Context: The Importance of Stability of Self-Esteem in Psychological Functioning", 73(6), 1569-1605, 2005
100 김세봉, 변상해, "영성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소진과 심 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2(1), 447-459, 2012
101 Hayes, S. C.,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d the new behavior herapies: Mindfulness, acceptance, and relationship", 1-29, 2014
102 장라미, "간호사의 품위 있는 죽음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산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2
103 이효빈,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조망수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5(3), 61-81, 2019
104 김지현, 민경환, "노년기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 대처 유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4(1), 11-27, 2010
105 조영선, "자존감, 사회적지지, 돈에 대한 몰두 간의 관계: 지지에 대 한 반응성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06 박나영, 황정해, 최윤경, 이연경, 박성희,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한 모 바일 헬스케어 이용자의 경험분석: 포커스 그룹 인터뷰",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36(3), 97-111, 2019
107 오숙자, "노인의 성격특성 및 사회활동참여가 죽음태도에 미치는 영 향.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08 Kirk, E., Stinson, C. K., "Structured reminiscence: An intervention to decrease depression and increase self-transcendence in older women", 15(2), 208-218, 2006
109 Bockweg, A., McCarthy, V. L., "The role of Transcendence in a Holistic view of successful aging; A concept analysis and model of transcendence", 31(2), June. 84-92, 2013
110 김춘경, 여인숙, "노년기 우울과 죽음불안 감소를 위한 생애 회고적 이야기치료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 24(5), 113-128, 2006
111 간순옥,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12 김정희, 이경열, "영성증진 훈련프로그램이 영성, 자기존중감,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15(4), 711-728, 2005
113 김형선, "방문건강관리사업 담당자의 공공부문 사례관리 연계협력 경 험: 포커스 그룹 인터뷰", 한국산학기술학회, 21(8), 160-169, 2020
114 정미영, "삶의 의미발견과정에 관한 연구 : 의미추구, 의미발견, 사생관 및 가 치관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15 박민애, 오현수, "자기초월 중재 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자기초월 감, 노화불안, 안녕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10, 139-139, 2020
116 Harmon, J. A., Zhang, A. Y., Werkner, J., McCormick, R. A., "Impacts of motivation for change on the severity of alcohol use by patients with severe and persistent mental illness", 65(3), 392, 2004
117 이해숙,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 과 연구. 선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3
118 박선애,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죽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 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19 Dambrun, M., & Ricard, M., "Self-centeredness and selflessness: A theory of self-based psychological functioning and its consequences for happiness", 15, 138–157, 2011
120 이성숙, "포커스그룹 인터뷰 방법을 통하여 살펴본 학습 장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5
121 고영미, 김광수, "긍정 심리학 기반의 행복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이 아동의 행복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 22(3), 129-152, 2011
122 이주희, 최문기, 조혜원, 조성혜, "도시지역 중년 성인의 노화와 신체 활동에 대한 기대치의 관계: Pender의 건강증진 모델기반", 대한간 호학회, 45(1), 14-24, 2015
123 안정신, 조설애, 정여진, 장영숙, "한국 노인의 삶의 의미 원천으로서 가족관계와 자기초월가치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 학회, 25(1), 19-41, 2012
124 어은경,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125 Bowland, S., McCarthy, V. L., Hall, L. A., Connelly, J., "Developing the PATH Program: An intervention to foster self-transcendence and well-being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82(1), 3-29, 2015
126 Chang, J. T., Rubenstein, L. Z., Morton, S. C., "nterventions for the prevention of falls in older adul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clinical trials", 17, 365–72, 2004
127 양은호,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이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28 강영화, "죽음에 대한 태도가 중년의 주관적 안녕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129 장여진,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및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 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30 Baltes, P. B, "On the incomplete architecture of human ontogeny: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as foundation of developmental theory", 52(4), 366-380, 1997
131 Ashktorab, T., JadidMilani, M., "The impact of self-transcendence on physical health status promotion in multiple sclerosis patients attending peer support groups", 21(6), 725-732, 2015
132 손정락, 조중현,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프로그램이 마약중독자의 우울, 충동성 및 단약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32(1), 13-31, 2013
133 김은정, 이진주, "우울증상 감소 및 행복증진을 위한 수용적 긍정심 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포스터발표", 한국심리학회 연 차 학술발표논문집, 1, 260-260, 2013
134 박경례, 박재연, "학교에서 근무하는 전문상담사의 직무와 소진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포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7(3), 171-202, 2020
135 윤지민, "평생교육에서 도자공예 프로그램이 성인학습자의 심리적 안 녕감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36 하태민,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뇌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 청 소년을 중심으로. 국제뇌종합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37 Bergold, A. N., Leippe, M. R., Eisenstadt, D., "Prejudice and terror management at trial: Effects of defendant race/ethnicity and mortality salience on mock-jurors’ verdict judgments", 157(3), 279-294, 2017
138 이정화,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사 회적지지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139 김근영, "노인의 노화지식수준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노인에 대 한 태도, 자아존중감 및 우울을 매개로하여", 상담학연구, 10(2), 651-668, 2009
140 Silbersweig, D. A, Vago, D. R., "Self-awareness, self-regulation, and self-transcendence (S-ART):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neurobiological mechanisms of mindfulness", 6, 296, 2012
141 지혜, "마음챙김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유연성과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2
142 이문희, 이영순, "성격 강점에 기반 한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탄력성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 학회지, 25(4), 813-831, 2013
143 김수린, "여성결혼이민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적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44 장희정, "영성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동사섭(同事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45 박도위,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물질주의와 사회비교의 순차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2
146 김연수, "자기자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공상의 자각과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검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47 김송희, "병리적 자기애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탈중심화와 경 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검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48 최희진, "도박 중독 예방 치유 프로그램의 효과 : 도박 중독 회복, 우 울증 및 자아 존중감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49 송인영, "성화죽음준비교육이 축복가정의 죽음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 구 : 대구가정교회를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50 배정섭, 이문진, 서광봉, "포커스그룹 인터뷰(FGI)를 통한 토요스포츠 데이 강사들이 인식하는 토요스포츠데이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고 찰",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3(2), 13-22, 2019
151 지미예, "가정어린이집 원장과 교사가 느끼는 CCTV 설치 의무화의 의미 탐색: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총신대 학교 교육대학원, 2017
152 최월순, "중년 기혼여성의 자기효능감, 가족 스트레스,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18
153 장원호, "초등학교 1학년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운영실태 :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 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54 윤소현, "노인의 죽음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활 동 참여 만족도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9
155 김동진,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 감능력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22
156 안혜진, 이승하, "청년창업 멘토링이 기업가 정신과 초기 기업의 창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심층 인터뷰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7), 560-575, 2020
157 류윤희, "임종간호 종사자의 죽음태도, 간호태도, 그리고 직무소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요양병원을 중심으로. 동명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7
158 Frankl, J,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Breast Cancer-Specific Quality-of-Life Questionnaire Module: First Results From a Three-Country Field Study", 14(10), 2756-2768, 1996
159 Ardelt, M., "Self-development through selflessness: The paradoxical process of growing wiser In H. A. Wayment & J. J. Bauer (Eds.) Transcending self-interest: Psychological explorations of the quiet ego", pp. 221-233, 2008
160 박수용, "중소기업 경영자의 긍정적 리더십, 구성원의 긍정적 삶의태 도, 학습조직 활동, 직무열의, 조직성과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숭 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