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일부지역의 식도암 발생 위험요인과 관련된 요인 = Factors Related to the Risk Factors of Esophageal Cancer Incidence of Local Area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62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on esophageal cancer incidence of local area in Korea. A total of 76 incident cases of esophageal cancer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 a general hospital form December 1, 2015 to January 31, 2016 were compared with 76 matched controls admitted to same hospital in same period. Factors associated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dical behaviors were performed using Chi-square test. Odds ratio between risk factors of esophageal cancer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for family history, case groups who have family histor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X2=1.67, p<.05). Secondly, case group who have hyperten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X2=2.96, p<.05). Thirdly, for gender, 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3.12 times than women in risk factor of esophageal cancer(OR=3.12, 95% Cl=1.57-8.64). Fourthly, through the logisticregression, it were statistically associated factors with esophageal cancer in subjects who were abdominal obesity, diabetes mellitus, current smoking(p<.05). Based on this study, for effective prevention of the esophageal cancer, it is required to education and screening examin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on esophageal cancer incidence of local area in Korea. A total of 76 incident cases of esophageal cancer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 a general hospital form December 1...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on esophageal cancer incidence of local area in Korea. A total of 76 incident cases of esophageal cancer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 a general hospital form December 1, 2015 to January 31, 2016 were compared with 76 matched controls admitted to same hospital in same period. Factors associated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dical behaviors were performed using Chi-square test. Odds ratio between risk factors of esophageal cancer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for family history, case groups who have family histor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X2=1.67, p<.05). Secondly, case group who have hyperten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X2=2.96, p<.05). Thirdly, for gender, 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3.12 times than women in risk factor of esophageal cancer(OR=3.12, 95% Cl=1.57-8.64). Fourthly, through the logisticregression, it were statistically associated factors with esophageal cancer in subjects who were abdominal obesity, diabetes mellitus, current smoking(p<.05). Based on this study, for effective prevention of the esophageal cancer, it is required to education and screening examin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일부지역의 식도암 발생 위험요인과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자료는 2015년 12월 1일부터 2016년 1월 31일까지 서울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 내과에 내원한 환자군 76명, 대조군 76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의료행태와 관련된 요인은 Chi-square test를 시행하였다. 식도암 위험요인간의 교치비를 구하기 위해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력을 보면 가족력이 있는 경우 환자군이 60.6%로 대조군의 39.4%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X2=1.67, p<.05). 둘째, 고혈압여부는 고혈압이 있는 경우 환자군은 67.3% 대조군은 32.7%로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분포를 보였다(X2=2.96, p<.05). 셋째, 성별은 여성에 비해 남성에서 식도암의 위험요인이 4.28배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OR=3.12, 95% Cl=1.57-8.64) 넷째, 남성, 현재흡연을 할수록, 당뇨병과 복부비만이 있는 경우 식도암 위험요인이 유의하게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식도암의 효과적인 예방은 교육 및 검진이 요구된다고 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내 일부지역의 식도암 발생 위험요인과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자료는 2015년 12월 1일부터 2016년 1월 31일까지 서울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 내과에 내원한 환...

      본 연구는 국내 일부지역의 식도암 발생 위험요인과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자료는 2015년 12월 1일부터 2016년 1월 31일까지 서울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 내과에 내원한 환자군 76명, 대조군 76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의료행태와 관련된 요인은 Chi-square test를 시행하였다. 식도암 위험요인간의 교치비를 구하기 위해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력을 보면 가족력이 있는 경우 환자군이 60.6%로 대조군의 39.4%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X2=1.67, p<.05). 둘째, 고혈압여부는 고혈압이 있는 경우 환자군은 67.3% 대조군은 32.7%로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분포를 보였다(X2=2.96, p<.05). 셋째, 성별은 여성에 비해 남성에서 식도암의 위험요인이 4.28배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OR=3.12, 95% Cl=1.57-8.64) 넷째, 남성, 현재흡연을 할수록, 당뇨병과 복부비만이 있는 경우 식도암 위험요인이 유의하게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식도암의 효과적인 예방은 교육 및 검진이 요구된다고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 D. Urschel, "Salvage or Planned Esophagectomy After Chemoradiation Therapy for Locally Advanced Esophageal Cancer" 16 (16): 60-62, 2003

      2 K. C. Calman,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An Hypothesis" 10 (10): 124-127, 2004

      3 P. A. Ganz, "Quality of Life Assessment : An Independent Prognostic Variable for Survival in Lung Cancer" 67 : 3131-3135, 2001

      4 H. C. Fernando, "Quality of Life After Esophageal Surgery" 14 (14): 367-374, 2004

      5 D, Vallbohmer, "Predictive and Prognostic Molecular Markers in Outcome of Esophageal Cancer" 19 : 425-431, 2006

      6 A. S. Bloch, "Nutrition Management of the Cancer Patient" Aspen Publishers 317-325, 2000

      7 C. E. Kight, "Nutrition Considerations in Esophagectomy Patients" 23 (23): 521-528, 2008

      8 X. Zhang, "Neoadjuvant Chemoradiotherapy for Esophageal Carcinoma" 18 : 104-105, 2005

      9 B. R. Ferrell, "Measure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 Cancer Survivors" 4 (4): 523-531, 2005

      10 J. B. Dimick, "Hospital Volume is Related to Clinical and Economic Outcomes of Esophageal Resection in Maryland" 72 : 334-346, 2001

      1 J. D. Urschel, "Salvage or Planned Esophagectomy After Chemoradiation Therapy for Locally Advanced Esophageal Cancer" 16 (16): 60-62, 2003

      2 K. C. Calman,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An Hypothesis" 10 (10): 124-127, 2004

      3 P. A. Ganz, "Quality of Life Assessment : An Independent Prognostic Variable for Survival in Lung Cancer" 67 : 3131-3135, 2001

      4 H. C. Fernando, "Quality of Life After Esophageal Surgery" 14 (14): 367-374, 2004

      5 D, Vallbohmer, "Predictive and Prognostic Molecular Markers in Outcome of Esophageal Cancer" 19 : 425-431, 2006

      6 A. S. Bloch, "Nutrition Management of the Cancer Patient" Aspen Publishers 317-325, 2000

      7 C. E. Kight, "Nutrition Considerations in Esophagectomy Patients" 23 (23): 521-528, 2008

      8 X. Zhang, "Neoadjuvant Chemoradiotherapy for Esophageal Carcinoma" 18 : 104-105, 2005

      9 B. R. Ferrell, "Measure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 Cancer Survivors" 4 (4): 523-531, 2005

      10 J. B. Dimick, "Hospital Volume is Related to Clinical and Economic Outcomes of Esophageal Resection in Maryland" 72 : 334-346, 2001

      11 M. Keane, "Encyclopedia and Dictionary of Medicine, Nursing and Allied Health" Saunders 2007

      12 W. Wei, "Current Status of Pharyngolaryngo-esophagectomy and pharyngogastric anastomosis" 20 : 240-242, 2008

      13 Statistics Korea,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13-15, 2016

      14 J. M. Blazeby,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Examing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Esophageal Carcinoma" 88 (88): 1781-1787,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