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중인문학 30년 회고와 전망 = Transition and Outlook of Academic Exchange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827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cept, category and timing of Korea-China relations were reviewed, and based on this, the 30 years of Korean-Chinese humanities were reviewed and the prospects were presented. The period of 30 years of Korean-Chinese humanities was set in Januar...

      The concept, category and timing of Korea-China relations were reviewed, and based on this, the 30 years of Korean-Chinese humanities were reviewed and the prospects were presented. The period of 30 years of Korean-Chinese humanities was set in January 1990 and the period from December 2009 when he resigned as the president of the Korea-China Humanities Association was described as the center of academic activities, and from 2009 until recently, he described the project related to the promotion of Korean studies. Realizing the importance of oral history, I investigated and organized records of exchanges with researchers of Korean studies in the Republic of China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Korea had maintained close relations with the Republic of China until it established diplomatic ties with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Korean-Chinese humanities meant the humanities of Korea and the Republic of China. With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Korean-Chinese humanities have come to encompass the humanities of Korea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Korea and the Republic of China. In the Republic of China, the Korean Studies Research Institute was established in 1956 in the East Defense Literature Society, and in 1963, the Oriental Literature Research Institute, the Modern History Research Institute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Studies, the Dong-A Research Center of the National Political Science University, the Institute for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the Chinese Academy of Chemical Technology were established or opened in earnest. In March 1980, the Chinese Association for Korean Studies was founded and the inaugural issue of the journal ‘Korean Studies’ was published in 1981. Since then, it has grown into an academic organization that studies Korean studies in the Republic of China and has engaged in practic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Exchanges between Korea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ere not active except for visits to the continent by the Korean government's college student training group or exchanges with companies operating on the continent. The Korea-China Humanities Exchange began in earnest with the hosting of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in October 1995 and the Korea-China Humanities Association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in December 1996.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hich has been equipped with education and research infrastructure through academic conferences, has recorded the highest selection rate in the Korean Studies Promotion Project.
      With the discussion of the unification method by the Chinese system in 1982, China was recognized as a concept encompassing the Chinese People's Republic system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nd the Chinese People's Party's system of the Republic of China. However, the recent exposure of differences over the one-state system has led to confusion in setting up the concept for China, as the situation of claim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Republic of China as separate countries has developed. It is cautious whether the term ‘Greater China’ should be used instead of ‘China’, as it does not only refer to the humanities of Korea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but also covers the humanities of Korea and the Republic of Chin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중관계의 개념과 범주 그리고 시점 문제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중인문학 30년을회고하고 전망을 제시하였다. 한중인문학 30년의 기점을 1990년 1월로 설정하고 한중인문학회 회장을 ...

      한중관계의 개념과 범주 그리고 시점 문제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중인문학 30년을회고하고 전망을 제시하였다. 한중인문학 30년의 기점을 1990년 1월로 설정하고 한중인문학회 회장을 사임한 2009년 12월까지는 학회 활동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2009년부터 최근까지는 한국학진흥사업과 관련하여 서술하였다. 구술사의 중요성을 실감하고 中華民國과 中華人 民共和國 한국학 연구자들과의 교류에 대한 기록을 조사하고 정리하였다. 한국은 中華人民共和國과 수교하기 전까지는 中華民國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고, 한중인문학은 곧 한국과 中華民國의 인문학을 의미했다. 한국과 中華人民共和國이 수교하면서 한중인문학은 한국과 中華人民共和國, 한국과 中華民國의 인문학을 포괄하게 되었다. 中華民國에서 한국학연구는 1956년 東方語文學系에 韓國語文組가 설립되고, 1963년 中國文 化大學에 東方語文學系 韓文組, 國立中央硏究院 근대사연구소, 中華民國史料硏究中心, 國 立政治大學 東亞硏究所와 國際關係硏究所, 中華學術院 韓國硏究所가 설립되거나 개설되면서 본격화되었다. 1980년 3월 中華民國韓國硏究學會(Chinese Association for Korean Studies)를 창설하고, 1981년 학회지 韓國學報 창간호를 발간하였다. 이후 中華民國에서한국학을 연구하는 학술단체로 성장하고 실질적인 한중인문 교류가 이루어졌다. 한국과 中華人民共和國과의 교류는 한국 정부에서 진행하고 있던 대학생 연수단 대륙방문이나 대륙에 진출한 기업과의 교류를 제외하면 활발한 편이 아니었다. 1995년 10월 韓國傳統文化國際學術 硏討會와 1996년 12월 한중인문학회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 것을 필두로 한중인문 교류가본격화되었다. 학술대회를 통해 교육과 연구 인프라를 갖추게 된 中華人民共和國의 한국학과는 한국학진흥사업에서 가장 높은 선정률을 기록하게 되었다. 1982년 一國兩制에 의한 통일방식이 논의되면서 中國은 中國共産黨의 中華人民共和國 체제와 中國國民黨의 中華民國체제를 아우르는 개념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최근 一國兩制에 대한 이견이 노출되면서 中華人民共和國과 中華民國을 별개의 국가로 주장하는 상황이전개되고 있어서 中國에 대한 개념 설정에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한중인문학은 한국과 中華人民共和國의 인문학만을 지칭하지 않고 한국과 中華民國의 인문학까지 포괄하기에 中國이아닌 中華圈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야 할 것인지 조심스럽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中華民國韓國硏究學會 (1- 25) : 1981

      2 한계전, "한중인문학회 20년 역사의 회고" 54 : 2017

      3 송현호, "한중간 학술교류의 변천과 전망 -한중인문학회의 학회사와 학술대회 추진과정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54) : 1-27, 2017

      4 유성선, "한중간 철학사상 연구의 성과와 전망 -한중인문학회 20주년 변화와 모색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54) : 45-58, 2017

      5 한용수, "한중간 언어, 문화, 교육 연구의 성과와 전망" 한중인문학회 (54) : 59-75, 2017

      6 송현호, "한중 인문교류와 한국학연구 동향" 태학사 2018

      7 김하림, "한중 수교 20년, 인문학 교류의 의미와 과제" 한중인문학회 (39) : 1-23, 2013

      8 문철영, "한ㆍ중 역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동아시아사로서의 한국사 서술을 중심으로" 2016

      9 김상대, "학회 창립 20 주년을 축하하며" 54 : 2017

      10 송현호, "중국에서의 한국학연구 동향"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33 : 2004

      1 中華民國韓國硏究學會 (1- 25) : 1981

      2 한계전, "한중인문학회 20년 역사의 회고" 54 : 2017

      3 송현호, "한중간 학술교류의 변천과 전망 -한중인문학회의 학회사와 학술대회 추진과정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54) : 1-27, 2017

      4 유성선, "한중간 철학사상 연구의 성과와 전망 -한중인문학회 20주년 변화와 모색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54) : 45-58, 2017

      5 한용수, "한중간 언어, 문화, 교육 연구의 성과와 전망" 한중인문학회 (54) : 59-75, 2017

      6 송현호, "한중 인문교류와 한국학연구 동향" 태학사 2018

      7 김하림, "한중 수교 20년, 인문학 교류의 의미와 과제" 한중인문학회 (39) : 1-23, 2013

      8 문철영, "한ㆍ중 역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동아시아사로서의 한국사 서술을 중심으로" 2016

      9 김상대, "학회 창립 20 주년을 축하하며" 54 : 2017

      10 송현호, "중국에서의 한국학연구 동향"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33 : 2004

      11 이인순, "중국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 -4년제 대학의 한국어교육을 중심으로" 2013

      12 송현호, "중국 지역의 한국학 현황" 한중인문학회 (35) : 463-504, 2012

      13 심정창, "북경대학의 중한인문교류와 한중인문학회" 54 : 2017

      14 최병우, "<한중인문학연구>로 본 한중 인문학 연구사" 한중인문학회 (54) : 29-44, 2017

      15 심정창, "21세기 중국의 정치와 경제현황 및 전망" 아주대학교 국제대학원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1 0.80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