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는 전공 체험 학습을 통한 고교생의 진로 및 전공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23년 5월 2주 충청남도 소재 C 대학교의 'Open University' 프로그램 유아교육과 체험 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전공 체험 학습을 통한 고교생의 진로 및 전공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23년 5월 2주 충청남도 소재 C 대학교의 'Open University' 프로그램 유아교육과 체험 학...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전공 체험 학습을 통한 고교생의 진로 및 전공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23년 5월 2주 충청남도 소재 C 대학교의 'Open University' 프로그램 유아교육과 체험 학습에 참여한 S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공 체험 학습 후 연구 참여자들에게 학과 및 전공 체험에 대한 저널쓰기를 실시하였다. 수집 자료는 범주화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육 전공 체험 학습 참여 고교생들은 유아교육과 전공 학습에 대한 놀라움, 당혹감을 느끼면서 유아교육에 대한 재인식의 모습을 보였다. 둘째, 유아교육 전공 체험 학습 참여 고교생들은 자신의 적성 및 성향과 특성에 맞는 진로를 진지하게 성찰하는 모습을 보였다. 학생들은 현재 희망 진로는 아니나 자신의 성향을 발견하고 유아교육의 특성과 전공과 잘 맞을 수 있다는 인식을 보였다. 또한, 자신의 학창시절 체육 시간의 부적절한 훈육과 교육 경험을 반추하면서 의미 있고 적절한 동작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을 나타내었다.
결론 첫째, 유아교육을 전공하고자 하는 고교생이 유아교육과 유아교사직에 대한 실제 이해를 도울 수있도록 고교와 대학이 연계된 전공 체험 기회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고교생의 진로 의식을 발달을 위해 자신감 증진, 학교 현장의 적절한 지도가 요청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nd major recognition through major experiential learning. Methods: S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n “Open University” program at C university in Chungcheongn...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nd major recognition through major experiential learning.
Methods: S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n “Open University” program at C university in Chungcheongnamdo were targeted.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a journal about their departmental and major experiential learning.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and content analysis wasconducted.
Results: First, the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major experiential learning expressed both astonishment and perplexity while re-evaluating Childhood Education. Seco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examined their propensities and careers in earnest. Although Childhood Education was not their current desired career path, students discovered their interests and the recognition that it could fit with their individual propensities emerged. Furthermore, student sreflected on their past inappropriate discipline and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recognized the value and importance of appropriate movement education.
Conclusion: First, opportunities for experiential majors linked to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should be continuously provided to help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o develop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wareness, confidence enhancement and appropriate guidance at school are required.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희, "활동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 박주현 ; 서경혜, "학생들의 고교학점제 과목선택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연구소 42 (42): 91-112, 2021
3 김봉환,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2006
4 조은숙, "청소년인턴십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4 (24): 191-208, 2011
5 안현선 ; 이지수, "청소년의 진로성숙, 자아개념, 자기조절의 변화 추이 및 종단적 관계 검증" 한국교육방법학회 34 (34): 537-555, 2022
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 직업체험 및 아르바이트 실태조사 연구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7 박윤희, "진로탐색 및 직업체험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서울 소재 S대학교 3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165-183, 2016
8 김영식 ; 이기정, "진로체험활동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경향점수매칭과 분위회귀분석을 이용한 접근" 교육과학연구소 47 (47): 125-143, 2016
9 조연희, "진로체험학습이 학습동기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일반학교와 대안학교의 비교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1 (21): 33-56, 2019
10 김기헌 ; 유홍준 ; 오병돈, "진로체험의 효과: 진로성숙도와 학업성취도"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19-36, 2014
1 김명희, "활동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 박주현 ; 서경혜, "학생들의 고교학점제 과목선택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연구소 42 (42): 91-112, 2021
3 김봉환,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2006
4 조은숙, "청소년인턴십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4 (24): 191-208, 2011
5 안현선 ; 이지수, "청소년의 진로성숙, 자아개념, 자기조절의 변화 추이 및 종단적 관계 검증" 한국교육방법학회 34 (34): 537-555, 2022
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 직업체험 및 아르바이트 실태조사 연구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7 박윤희, "진로탐색 및 직업체험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서울 소재 S대학교 3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165-183, 2016
8 김영식 ; 이기정, "진로체험활동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경향점수매칭과 분위회귀분석을 이용한 접근" 교육과학연구소 47 (47): 125-143, 2016
9 조연희, "진로체험학습이 학습동기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일반학교와 대안학교의 비교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1 (21): 33-56, 2019
10 김기헌 ; 유홍준 ; 오병돈, "진로체험의 효과: 진로성숙도와 학업성취도"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19-36, 2014
11 정문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진로성숙과 내적통제성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12 어윤경, "진로성숙도를 매개로 한 진로체험 활동의 창의성 함양 효과 연구" 안암교육학회 21 (21): 197-219, 2015
13 김충기,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동문사 2000
14 김신영, "진로 체험학습에서 학생⋅교사의 주도성이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미치는 효과" 27 (27): 71-93, 2014
15 한상근, "직업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중⋅고등학생의 요구분석" 22 (22): 19-38, 2009
16 심재희, "중학생의 진로교육 및 진로 체험활동과 진로성숙도 향상 효과" 2 (2): 67-92, 2017
17 최윤정 ; 김지은, "중·고등학생의 진로발달 관련 변인 및 진로교육 경험과 자기주도 학습태도와의 관계: 다수준 분석의 적용" 교육연구소 13 (13): 81-106, 2012
18 김재희, "저소득가정 고등학생의 진로교육경험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32 (32): 1-24, 2019
19 장현진,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개인, 가정, 학교 및 진로활동 경험의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32 (32): 43-64, 2019
20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유아교육과"
21 권혜진, "원인연쇄분석을 활용한 영아반 신체활동수업컨설팅 과정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247-278, 2016
22 김홍길 ; 이진화,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가 교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육아지원학회 14 (14): 189-204, 2019
23 박은혜 ; 조운주,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교사 이미지의 변화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1 (11): 225-246, 2007
24 권혜진, "예비유아교사가 교사양성과정에서 경험하는 학업과 진로에 대한 어려움 탐색" 교육연구원 33 (33): 1-22, 2017
25 진성미, "서울시 초·중·고교생의 진로성숙도 관련변인별 집단 비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9 (29): 133-156, 2011
26 이나경 ; 안권순, "삶과 과제의 의미가 진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2 (22): 727-753, 2015
27 박인숙 ; 안성식, "사회적 지지와 긍정적 심리자본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간호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취업진로학회 9 (9): 27-53, 2019
28 안병순, "무용 즐거움 요소로 예측한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한국체육학회 50 (50): 259-267, 2011
29 소용준 ; 박준성, "대학생활 적응에 따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취업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취업진로학회 6 (6): 23-44, 2016
30 고경필 ; 심미영,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관계 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19-38, 2014
31 김영천, "교육에서의 질적연구 : 방법과 적용" 교육과학사 1998
32 김봉환 ; 박현주, "고등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419-440, 2006
33 김소라 ; 황영준, "고등학생 진로체험과 프로그램 평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167-190, 2016
34 이주연 ; 우라미, "고교학점제에 따른 학교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학생 참여의 양상 및 쟁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4 (24): 59-83, 2021
35 교육부,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 계획(안)" 교육부 2017
36 정은선 ; 임은미, "고교시절 진로체험 횟수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 대한 진로체험 도움정도의 조절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32 (32): 289-306, 2019
37 박지혜, "고교생의 진로 역량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경기 꿈의 대학’의 성과와 개선 방안 탐색" 한국교육학회 58 (58): 221-244, 2020
38 서재복 ; 임명희, "고교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4 (4): 235-246, 2014
39 Steger, M. F.,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 assessing the presence of and search for meaning in life" 53 (53): 80-93, 2006
40 Stake, E.,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Sage Publications 1995
41 Daring-Hammond, L., "Teacher education around the world: What can we learn from international practice?" Routledge 2012
42 Hughes, K. L., "School-to work: Making a difference in education"
43 Spradly, J., "Participation observation" Holt, Rinehart and Winston 1980
44 Scanlan, T. K., "Motivation in sport and exercise" Human Kinetics 199-215, 1992
45 Sulman, L., "Knowledge and teaching : Foundation of the new reform" 57 (57): 1-22, 1987
46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1985
47 Lynch, R. L., "High school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for the first decade for the 21st century" 25 (25): 155-198, 2000
48 Lin, Y.,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image and their classroom practice" 1994
49 Super, D. E., "Career choice development" Jossey-Bass 1990
50 Crites, J. O, "Career Maturity Inventory: theory and research handbook" CTB/McGrawhill 1978
51 교육부, "2021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 결과 발표"
입학 초기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생활 적응 과제에 대한 개념도 분석
아동기에 겪은 트라우마 증상 대처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탐구
교사전문성 개발 활동이 교실 수업에서의 활용에 미치는 영향 ICT -상호학습 및 구조화된 학습의 비교-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빅 아이디어 기반 음악 중심 통합단원 설계 방안